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프 쿤스 베르사유≫전을 통해 본 베르사유

        손정훈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09 불어문화권연구 Vol.19 No.-

        Cette étude s'interroge sur le statut de Versailles dans l'exposition ≪Jeff Koons Versailles≫ ayant eu lieu en 2008 à Versailles. Jeff Koons, artiste kitsch et du pop art, étant un des plus controversés de l'art contemporain, l'exposition fait l'objet de nombreuses critiques qui n'aiment pas voir dans la Chambre du roi, Labster rouge gonflable de l'artiste américain. Le débat se déroule donc principalement autour de l'univers artistique de Jeff Koons. Mais, nous croyons que cette rétrospective de Jeff Koons aura un sens particulier pour le château de Versailles même. Pour expliquer le rôle de Versailles, nous nous servons du concept 'Genius loci'. Ce dernier désigne un caractère spécifique d'un lieu exerçant l'influence sur tout objet et tout être qui se trouve dedans. Mais, 'Genius loci' n'est pas une entité invariable et fixée sur le passé mais un variable determiné par nos regards contemporains. L'initiateur de l'exposition ≪Jeff Koons Versailles≫ choisit comme Genius loci le fait que Versailles est depuis toujours un laboratoire de l'esthétique. Cette optique éclaire la nature (ou le statut) de Versailles dans cette exposition, ce qui est le cadre puissant de l'exposition, un cadre qui exerce l'influence sur l'acception par le public des œuvres exposées. Nous avons cité quelques exemples qui propose au public une autre façon de regarder Versailles, tels que <Self-portrait>, <Louis XIV> et <Moon (light blue)>. En effet, le Château de Versailles est doté d'une vocation du musée sous la règne de Louis-Philippe. Mais, comme il n'y guère de collections au sens strict du mot, l'image du château est dominante dans la représentation du public. Donc, au travers de cette exposition-événement, Versailles veut, nous semble-t-il, renforcer son statut d'un musée. Il se présente comme un maison-musée qui est tout à fait différent d'un musée tout court. Cette prise en position semble relever de la nouvelle stratégie de Versailles qui consiste à faire voir ce lieu autrement.

      • KCI우수등재

        선형 기반 내진설계 해석법에 따른 수직비정형성 건축물의 변위집중 분석

        손정훈,최인섭,김준희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6

        Recently, earthquakes with a magnitude of 5.0 or more have occurred in Pohang and Gyeongju in Korea, and the demands for seismicperformance evaluation of buildings has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hang earthquake induced a significant damage to themiddle and low rise piloti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placement concentration on the buildingswith the vertical irregularity subjected to horizontal shear forces. Displacement Concentration Factor (DCF) was defined as the displacementratio of the first story to the top story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egree of displacement concentration between equivalent static analysisand response spectrum analysis for the buildings with vertical irregularity. Displacement Concentration Amplification Factor (DCAF) wasdefined as the DCF ratio of the response spectrum method to the equivalent static analysis to compare displacement concentration on softstory. In this paper, DCAF according to the stiffness ratio of soft story and the number of story was analyzed through 2D model. AlsoDCAF value of 2D model was verified by 3D prototype model of 4-story piloti structure. The DCAF value tended to increase as thestiffness ratio decreased and the number of story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ponse spectrum method should be applied insteadequivalent static analysis when the DCAF value is 1.35 or mor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KBC 2016 최근 우리나라에도 포항과 경주에서 규모가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포항지진의 경우 수직비정형성을 갖는 중저층 필로티건축물에 대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여 이 건축물에 대한 내진 성능 확보가 요구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수직비정형성을 갖는 건축물에 수평전단력이 작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변위가 연층에 집중되는 현상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응답스펙트럼법으로 해석할 경우 등가정적해석보다 변위집중현상이 크게 나타났으며, 연층의 강성비와 건축물의 층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주, 연기지역 젖소의 Neospora caninum 항체 양성율 및 갓 태어난 송아지의 감염양상 조사

        손정훈,박배근,서상희,손화영,조성환,류시윤 한국임상수의학회 2011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8 No.1

        To examine the seroprevalence of Neospora caninum (N. caninum) infections in cattle raised at farms where an abortion had previously occurred in Gongju city and Yeongi-gun of Chungnam Province, 280 head of cattle from six farms were examined by ELISA. Thirty-two pregnant cattle from four farm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abortion rate in N. caninum-infected pregnant cattle and the infection pattern in newborn calves. The six farms where the abortions had previously occurred demonstrated positive reactions to N. caninum. Although the mean seropositive rate of the six farms was 17.5%, the range of seropisitivity was 3.4-57.1% due to the difference in seroprevalence between farms. The general pattern of seropositivity in cows was higher than in heifers. In addition, the abortion rate of N. caninumpositive in 18 out of 32 pregnant dams raised in four farms was 16.7%. The seroprevalence of newborn calves from N. caninum-positive pregnant animals differed according to the farm but was 86.7% overall. In contrast, 14 newborn calves from the N. caninum-negative pregnant cattle showed negative responses. This suggests that N. caninum is endemic and occurs through vertical transmission from chronically-infected dams. Therefore, aborted dams should be discarded.

      • KCI등재

        인문학 현상과 인문학 진흥정책 (2007∼2014)

        손정훈,김민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3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the Korean government policy interacts with the real-world humanities by comparing the humanities promo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henomenon of humanities from 2007 and 2014. The goal of “Basic Plan for Humanities Promotion” in 2007 was “to secure the Korean cultural capital for the future an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n the contrary, the rising tendency at the time was ‘alternative humanities’ —namely, practical humanities. It shows that humanities in 2007 tried to escape from the campus to concerns about civil life and engagement with society. Therefore, we can observe a slight gap between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response from the academic world of humanities in Korea. The social change between 2007 and 2014 can be summarized as increasing corporate interest in humanities and the growth of humanities lectures and books. The “7 Major Tasks for The Promotion of the Spiritual Culture of Humanities” in 2014 reflects these phenomena as research and education were reduced, whereas the spiritual culture of humanities was expanded as compared with 2007. The humanities promotion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2007 to 2014 has been consistently expanding humanities for the pubic and promoting humanities as basic culture and cultural capital. The direction of the policy explains how participatory humanities, which origniated from the social needs in the early 2000s, became public humanities or popular humanities.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n the government’s promotion policy. However, this direction is not a solution for the initial question of confronting the crisis of humanities. And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the government’s policy-based response to this matter and some critics from the academic world of humanities have claimed that the government has been ignoring the question itself by skirting the issue so far. 본 연구는 정부가 2007년과 2014년에 발표한 인문학 진흥정책과 그 시기의 인문학 현상을 비교함으로써 정부의 정책이 현실의 인문학 현상과 어떻게 조응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7년의 <인문학 진흥 기본계획>은 “미래한국의 문화자본 확보, 국가경쟁력 강화”를 궁극적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인문학 활성화를 통해 문화자본을 축적하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반해 당시 인문학적 대안을 이끌던 새로운 경향은 실천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이는 인문학이 강단을 벗어나 시민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에 참여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우리는 정책과 인문학계의 반응 사이에 괴리가 있음을 볼 수 있다. 2007년과 2014년 사이의 사회적 변화는 기업의 인문학에 대한 관심 그리고 인문학 베스트셀러와 인문학 강좌의 확산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2014년 발표된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7대 중점 과제>에 잘 반영된다. 이 정책에서는 2007년 계획에 비해 연구와 교육부분은 축소된 반면 인문정신문화의 확산 부분은 확대되어 있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정부의 인문학 진흥정책은 대중을 위한 인문학의 활용과 확산, 기본 교양과 문화자본으로서의 인문학이라는 방향으로 비교적 일관되게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방향성은 2000년대 초반 사회적 필요에 의해 생겨났던 실천적 인문학이 어떻게 2010년대 들어 대중의 교양을 위한 인문학으로 변화하였는지 부분적으로 설명해준다. 정부의 인문학 진흥 정책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과 비판의 시각이 공존한다. 그러나 인문학의 활용과 문화자본화라는 정책의 방향성이 인문학의 위기라는 출발점의 질문에 대한 진정한 해결책인지 아니면 쟁점을 피해감으로써 질문 자체를 묻어버린 것은 아닌지, 인문학의 열풍이 확산되는 이 시점에서 고민해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IFNγ Production, Antibody and Hormone Levels in Naturally Neospora caninum-infected Pregnant Dairy Cows

        손정훈,박배근,손화영,정주영,박상준,김태환,조성환,류시윤 한국임상수의학회 2010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7 No.6

        Neosporosis is a widespread parasitic disease caused by Neospora caninum, an intracellular protozoan parasite. It causes economic losses due to reproductive failure.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outcomes and levels of IFNγ, hormones, and antibodies in naturally N. caninum-infected cows was examined in the blood samples collected every 2 or 4 weeks in 26 pregnant cows from 4 different farms. The mean S/P value of seropositive nonaborting animals (n = 14) reached peak levels 15 weeks prior to parturition, and declined thereafter to parturition. The S/P value 13 weeks prior to abortion in seropositive aborting cows (n=3) remained at high levels, and abortions occurred at 20 (142 days), 26 (185 days), and 28 weeks (199 day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IFNγ levels in the seropositive non-aborting group varied by individuals and gestational periods; IFNγ levels stayed at elevated levels or increased abruptly close to abortion in seropositive aborting cows. IFNγ level patterns in the seronegative group (n = 9) were similar to the seropositive non-aborting group, although IFNγ amounts were lower than the seropositive group. The mean progesterone levels in the seropositive non-aborting and seronegative groups decreased markedly 7 weeks prior to parturition. The mean progesterone levels 5 and 7 weeks prior to abortion were lower than the other groups 5and 7 weeks prior to parturition. The mean 17β-estradiol levels in the seropositive aborting cows increased close to abortion; the produced amounts were lower than those of seropositive non-aborting and seronegative groups close to parturi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ower levels of progesterone and β-estradiol in Neospora-infected cows may lead to increases in IFNγ production and in turn may result in abortion.

      • KCI등재
      • 한국 자동차산업의 해외진출과 글로벌 경영전략

        손정훈,정중재 한국자동차산업학회 2003 자동차산업연구 Vol.1 No.-

        현대-기아자동차는 세계적 불황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어 대단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특히 미국시장에서의 성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가치가 있다. 낮은 브랜드 이미지와 판매실적 저하는 당연히 Dealer들의 판매의욕을 저하시켜 우수한 Dealer들의 이탈이 계속되었으며, 타사에 비해 현대자동차의 판매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1986년 미국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했던 현대자동차는 초기 저가모델을 통해 상당한 성공을 거두는 듯한 모습을 보였지만, 낮은 품질과 이로 인한 브랜드 파워의 열세로 상당 기간 고전을 면치 못했다. 1999년에 들어오면서, 엄청난 성공을 거두기 시작한다. 1%대에 머물렀던 미국의 승용차 시장 점유율 역시 3% 이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양적인 성장뿐만이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발전이 나타나고 있다. 고수익 차종의 판매비중은 그랜저XG, 싼타페가 추가되면서 2001년 그 비율은 42%로 높아지고 있다. 가격 중심의 마케팅을 품질 중심으로 변화시킴으로써 1999년 이래 현대자동차의 브랜드 이미지와 상품 신뢰성은 모두 획기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를 통해 현대자동차는 오랜 기간 동안 자신을 외면해왔던 상대적 고소득층을 새로운 주요 고객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되었다. 제품전략적인 측면에서, 현대-기아자동차는 기존의 저가 소형 승용차 중심에서 탈피하여, 그랜저 등의 중대형 승용차, Santa Fe를 통한 SUV 시장, 그리고 기아자동차의 미니밴 세도나 등을 투입하여 미 시장에서 픽업트럭과 고급세단을 제외한 전차종에서 경쟁자로 성공적으로 변신하고 있다. 서유럽 시장은 세계 최대의 승용차시장으로 현대-기아자동차가 절대로 성공해야 하는 시장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 현대-기아자동차는 북미시장에서의 성공경험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즉, 고객의 Needs를 명확히 파악하고 이에 기반한 브랜드 이미지 집중부각 전략과 Crossover 차종 등 고객선호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장기적으로는 이를 리드할 수 있는 전략을 구현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 모니터링 Web GIS 시스템 설계 및 구축 - ArcIMS 4.0을 활용하여 -

        손정훈,허용,변영기,김용일,유기윤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4 No.1

        본 연구는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탐지 성과물을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지도로 보여줄 수 있는 모니터링 Web GIS시스템을 설계하고 시험/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위성영상을 이용한 국외 주요 산불 모니터링 시스템을 조사, 분석하여 인터페이스 및 제공 서비스를 분석하고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설계, 구축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신논리적 DFD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프로세스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ERSI사의 ArcIMS 4.0과 Microsoft사의 Web 서버인 IIS 5.1을 이용하여 Web GIS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자료의 입력 및 변환의 측면에서는 국내외 산불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한 래스터 형태의 영상 성과물을 Web GIS에 접목시키기 위해 산불탐지 이진영상을 벡터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모듈을 자체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This paper has a goal to construct monitoring web GIS system which displays maps that are results of the fire detecting algorithms using MODIS image. To design and build more efficient system, foreign fire monitoring systems using satellite image are research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at, the information about interfaces and services provided by them are obtained. In concretely, new logical DFD is used to do a process modelling. ArcIMS 4.0 of ESRI, IIS 5.1 of Microsoft are utilized to build the web GIS System. In the aspects of data input and transfer, a specific module, which converts a binary image to a kind of vector file, is developed to adjust raster data to the web GIS system.

      • KCI등재

        전쟁기념관을 통한 기억의 재현- 프랑스의 1차 대전 기념관 사례 연구

        손정훈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3 불어문화권연구 Vol.23 No.-

        Cette étude vise à examiner comment la représentation muséale de la mémoire de la guerre a changé en France au fil du temps. Trois mémoriaux symboliques de la Grande Guerre ont été choisis pour la comparaison : Mémorial de la Grande Guerre de Verdun, l'Historial de la Grande Guerre de Péronne et le Musée de la Grande Guerre du Pays de Meaux. Fondé par d'anciens combattants en 1967, le mémorial de Verdun reconstitue de façon spectaculaire les scènes de batailles. L'Historial de la Grande Guerre, quant à lui, financé par les autorités régionales en 1992, évoque les thèmes de la “tragédie” et de la “douleur”, plus que ceux de l'agressivité ou de l'hostilité. Cette différence est principalement due (1) au développement du tourisme de mémoire promu par les instances locales et (2) aux perspectives transnationales nées dans le sillage de la construction européenne. Le Musée de Meaux, pour sa part, qui a vu le jour en 2011 grâce à l'implication d'un élu conservateur influent, adopte une approche résolument scientifique et pédagogique. Tout en présentant les armes et les soldats, le musée met en lumière l'histoire socioculturelle autour de la guerre et cherche ainsi à situer la Première Guerre mondiale dans le contexte historique du 20e siècle. Ce choix semble faire écho à la politique du gouvernement français du milieu des années 2000, qui souhaitait ainsi valoriser des aspects pédagogiques dans le tourisme de mémoi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France’s attitude towards representing war memories has changed in different social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three symbolic World War I memorials in France have been chosen for comparison: Mémorial de Grande Guerre de Verdun, Historial de la Grande Guerre de Péronne and Musée de la Grande Guerre de Pays de Meaux. Established by war veterans in 1967, the exhibition room of Verdun reconstructs dramatically battle scenes. On the other side, the Historial of Péronne, founded by the local government in 1992, is sending out the main message of ‘tragedy’ and ‘grief’, rather than aggressiveness. This dfference is mainly due to (1) the development of the war tourism pulled by the local governments and (2) the introduction of the transnational viewpoint followed by the advance of the European Union. In addition, the Museum of Meaux, set up by an influential Right-winger in 2011, seems to adopt a distinctly scientific and pedagogical approach. While presenting arms and soldiers, the Museum sheds light on the sociocultural history surrounding the War and seeks to situate the First World War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20th century. This choice seems to be echoing the policy of the French government in late 2000s, which is to focus on the educational aspect in the development of war tourism (tourisme of memory).

      • KCI등재

        대학 경영학교육 혁신사례

        손정훈,이진화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4 창조와 혁신 Vol.7 No.3

        21세기 심화되는 경쟁환경으로 인해 단순히 암기된 지식이 아니라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갖춘 인재에 대한 기업과 사회의 요구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문제해 결방식은 실천적인 지식의 교육에 특히 효과적이며, 대학의 경영학 교육과정에도 적 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학습자는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경영학적 문제를 실제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영학의 이론과 개념을 체화하게 되는데, 이 방식은 실천학문으 로서의 경영학 교육에 특히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자들에게 주어지는 경영 문제의 적합성과 수업의 운영방식은 PBL 방식의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PBL 방식을 활용한 실제 경영학 입문과목의 분석사례를 제시한다. 이 수업은 과제의 수행 자체에서 다양한 경영학적 문제가 발생하도록 설계되었다. 학습 자들은 자신에게 닥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영학의 이론과 개념을 직접 적용 하게 되며, 이 과정을 통해 경영학의 기본적인 지식을 체화하여 습득한다. 수업의 커 리큘럼과 운영방식은 드러커의 모델에 기반하여 설계되었으며, 특히 경영자의 자기 관리, 팀 운영관리 및 리더십, 그리고 혁신 등 세 가지 역량에 중점을 두고 있다. With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of the 21st Century, social demands for innovative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PBL, or problem based learning,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especially in the areas of university business education; students would not simply memorize the concepts and theories from the class, but would internalize them by applying them in solving real problems. The training effectiveness are affected by the nature and quality of the problems provided to the students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lass. This paper discusses a case study of an introductory business class at a university in Seoul. This class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students will encounter business problems in their attempt to complete class assignments, through which they will obtain first hand experiences of basic management theories and concepts. The class is designed based upon the core teachings of Peter Drucker and emphasize three core managerial values of self-management, team-management an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