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언어발달지연 의심 영유아의 교육 경험과 언어치료 서비스에 대한 요구 분석

        손은남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infants and toddlers suspected of having language development delays(ITSLDD) among teachers at general daycare centers and to determine the level of demand for speech therapy(ST).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102 teachers at day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who are in charge of infants and toddlers under 3 years of age. The survey questions consisted of 20 single-response and multiple-response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Research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general daycare centers with ITSLDD, 84.3%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 with ITSLDD. In addition, the response that there were infants and toddlers receiving ST du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nure was very high at 72.5%.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emand for S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t general daycare centers, 100%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ir workload would be reduced if there were a speech therapist, and ST are very necessary for ITSLDD language development. He said it was. Regarding the reason why ST are not provided in daycare centers, 35.7% answered ‘because there is no support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34% answered ‘lack of information about speech therapy.’ These results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early screening of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infants and toddlers and for teachers to develop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자발화를 통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뇌혈관성 치매의 언어 특성 연구

        손은남,박선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Language damage of dementia is found later than other cognitive damages, which is because it is detected later than other neuro-speech disorders and moreover, because injuries of semantics is harder to be found than expressive speech. It is hard to find these speech specifications of dementia through standard speech tests. Therefore, they need considering by speech analysis on dis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into communication problems of dementia as a result of discourse specification on types and degrees of dementia through discourse analysis. The types of dementia in this study are Alzheimer’s dementia and cerebrovescular dementia, and the severe degrees are measured through the scores of ‘Clinical Dementia Rating’. Research groups are AD group 44(10-14 per each CDR rating), VD group 40(10 per each CDR rating). The result of study follows below. First, after comparison of discourse specification on types of dementia between group AD and VD, we find ou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maintaining ability but in other h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delivery ability. In negative elements of discours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 I have no idea’ speech and whole negative elements of discourse between group AD and VD. Group AD shows higher score in the average of ‘ I have no idea’ speech than group VD. When it comes to the comparison of discourse specification between group AD and VD on degre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peech quantity, information-conveying ability,‘ I have no idea’speec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ld group AD and mild group VD for them whil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derate groups for subject-maintaining abilit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vere groups for ‘I have no idea’ speech. 치매 환자의 언어적 손상이 다른 신경언어장애에 비해 비교적 질병이 진행된 이후에 나타난다. 표현 언어보다는 잘 드러나지 않는 의미론적 측면의 손상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표준화된 언어 검사 과업을 통해서는 치매 노인의 이러한 언어 특징을 거의 잘 알아내지 못한다. 이러한 언어 특징은 담화 수준에서의 언어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고려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담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치매의 유형에 따른 언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선정한 치매 유형은 알츠하이머형 치매(AD), 뇌혈관성 치매(VD)이며, 치매의 심한 정도는 치매임상평가척도(CDR: clinical dementia rating)에서의 척도 점수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AD집단 44명, VD집단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발화 수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형식의 담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일련의 활동에 따른 촉진 질문을 이용하여 발화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발화의 분석요소들은 담화의 긍정적 요소, 부정적 요소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체 AD 집단과 VD 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담화의 긍정적 요소인 정보전달능력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주제유지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담화의 부정적요소에서는‘모른다’는 발화, 담화의 부정적요소 전체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발화를 통해 임상에서 치매인의 발화 능력에 대한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본다.

      • KCI등재

        주요 개념 분석법을 이용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와 우반구 손상자의 담화 특성 비교

        손은남,김효정,박선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6 No.4

        There are common features on right-hemisphere-damaged and dementia. Those are showed subject cohesion, conversation depart from main concept, misunderstanding main concept, and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conversation specification of right-hemisphere- damaged and Alzheimer’s disease use analyze method of main concept, literal concept, and interpretive concept(Nicholas & Brookshire, 1995).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each 5 persons in right-hemisphere- damaged, Alzheimer’s disease, and normal group. And gathered conversation samples use‘cookie theft’pictures. Conversation samples were analyzed with main concept, literal concept, and interpretive concep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main concept analyze, Alzheimer’s disease group acquired high score on AB factor which is not show main concept, and showed low performance on conversation. Second, the result of analyze with literal concept and interpretive concept, the average on right-hemisphere-damaged and normal group is similar, and Alzheimer’s disease group showed very low score. To infer from these results, method of main concept analyze will be more proper tools to explain conversation specifications on Alzheimer’s disease and right-hemisphere-damaged. 주요 개념 분석법은 우반구 손상자, 치매 환자나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처럼 언어의 문법적 측면의 손상은 적지만, 의사소통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거나,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화자들의 담화 특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우반구 뇌손상자와 여러 원인에 의한 증후군의 일종인 치매환자가 담화 능력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우반구 손상자, 정상 성인 각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개념 분석 결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정상 집단,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또한 정상 성인이나 우반구 손상자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들의 발화의 양이 현저하게 부족한 것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이것은 우반구 손상환자나 치매환자들의 담화 능력 평가에서 가장 적절한 평가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에 관한 연구

        손은남,강수균,백은아,박선희,이현혜,최경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4

        A preliminary study of elderly people's capacity to retell stories is presented : 20 subjects were grouped by age, gender, and years of formal education. Narrative speech was analyzed both for expression of plot line, story theme and the protagonists' misadventures in the story; and for expression of first, middle and the final portion of the story. The group with more educational experience expressed more plot line, thematic content, and protagonists' misadventure than the group with less educational experience. The more educated elderly also recalled information units of all three first, middle, end portions of the story. Age and gender had no influence on the story retelling performance. We suggest that education enhances the story grammar knowledge and information recalling ability involved in story reproduction. 본 연구는 정상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의 질적인 특성이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60세 이상의 노인 20명(남성 10명, 여성 1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69.8세(SD=6.74)였으며, 60세 이상 70세 미만의 노인은 11명(평균연령=64.91, SD=2.17), 70세 이상의 노인은 9명(평균연령=75.78, SD=5.38)이었다. 대상자들의 이야기 표본을 수집하기 위하여 ‘개굴아, 어디 있니?' (원제 : Frog, Where Are you?)라는 글씨 없는 그림책에서 발췌한 12개의 흑백 그림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들려주고, 대상자는 그림을 보지 않고 다시 이야기를 하도록 하였다. 정상 노인의 이야기 다시하기의 능력이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조사한 결과 학력수준에 따라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치매의 유형 및 중증도에 따른 결속표지 특성

        손은남,박선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2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utterance of dementia are use of irrelevant words about information, repetition of platitude, and lack of ability to maintain subjects. It is hard to find these speech characteristics of dementia through standard speech te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hesive device in the spontaneous speeches of dementia. The speeches were collected after a series of activities in order to control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speech. Narrative discourse, procedural discourse, expository discourse and conversational discourse are included with promotive questions. Cohesive device was analyzed as an index of ability of surmising the cohesion of a subj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Group AD showed higher cohesive device than group Va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in VaD group, cohesive device showed lowest score in the potential dementia group while the other three dementia groups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in AD group, cohesive device showed highest score in the mild group which the other three dementia groups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와 뇌혈관성 치매 환자의 결속표지 사용 특성과 치매의 중증도에 따른 결속표지 사용의 특성에서 어떠한 차이점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65~79세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알츠하이머형 치매(AD) 44명(CDR 등급별 10-14명), 뇌혈관성 치매(VaD) 40명(CDR 등급별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대화 형식의 발화를 유도하여 다양한 형태의 담화를 포함한 자발화에서 결속 표지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유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치매의 중증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만 나타났다. AD 집단과 VaD 집단의 중증도에 따른 결속표지는 치매의심군에서 경도군으로 갈수록 평균 점수가 급격히 높아지다가 경도 이후 치매의 중증도가 심해짐에 따라 결속표지의 평균 점수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D 집단이 VaD 집단보다 전체적으로 결속표지의 사용이 높게 나타났으나 심도에서는 VaD 집단이 AD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AD 집단의 경우 결속표지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경도 치매군을 제외한 나머지 치매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치매의심군과 심도치매군, 중도치매군와 심도치매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VaD 집단의 경우 치매 의심군과 나머지 치매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경도, 중등도, 심도 치매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매체순환연소공정용 CaSnO3 산소전달입자의 산화⋅환원 특성 연구

        손은남,백승훈,이루세,손정민 한국공업화학회 2019 공업화학 Vol.30 No.1

        본 연구는 매체순환연소공정용 산소전달입자로서 CaSnO3 입자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CaSnO3은 페롭스카이트 구조를 가지고, 반복되는 환원-산화 반응 후에도 구조적안정성을 보였다. 산소전달량은 환원 반응 시 결정구조 변화를 통해 계산된 이론 수치와 거의 동일한 15.4 wt%를 가졌다. 10번의 환원과 산화 반응 후에, 산소전달량과산소전달속도는 작동 온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CaSnO3 입자는 CLC의 산소 운반체로서 좋은 대체물질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CoTiO3 산소전달입자의 산화환원반응 특성분석

        손은남,황종하,김수현,이루세,손정민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매체순환연소(Chemical Looping Combustion)에서 산소전달입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산소전달입자는 산소전달속도가 빠를수록, 산소전달량이 많을수록 좋은 입자라고 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산소전달입자로서 CoTiO3가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졸겔법으로 제조하여 분석하였다. TGA를이용하여 900 ℃에서 산화반응의 기체로서 공기를 환원반응의 기체로 15 % H2/N2를 사용하여 산소전달용량과 산소전달속도를 계산하였다. TPR과 TPO분석의 기체로는 5 % H2/Ar과 5 % O2/He을 사용하여 950 ℃까지 5 ℃/min의 승온속도로 TCD를 이용하여 CoTiO3입자의 온도별 흡착세기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XRD분석을 통해 입자의 결정상을 결정하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반응전과 반응후 입자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 KCI등재

        국내 성인 실어증 치료 동향에 관한 문헌 고찰

        손은남,이옥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국내 성인 실어증 치료 동향에 관한 문헌 고찰손 은 남**ㆍ이 옥 분*** 연구 목적: 급증하는 노인인구와 COVID-19에 따른 성인 및 노인들의 급성 실어증 발생, 그리고 원격기반 언어재활 서비스 요구 증가에 따라 다학문적 실어증 치료 구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어증 치료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추후 준비되어야 할 임상연구적 방향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논문 검색은 주요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어증”을 검색어로 수집하였다. 최근 10년간의 논문 중 선정 기준에 충족되는 13편의 논문을 채택하였고 이 논문들은 KCI 등재(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한 연구가 69%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는 남성 비율이 높았고, 50-60대가 많았다. 실어증 유형은 비유창성 유형(76%)이 많았고 중증도에서는 심도와 중등도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2017년 이전에는 손상기반 치료접근법의 빈번했던 것에 비해, 그 후 최근까지 컴퓨터 기반의 치료와 인지치료 접근이 진행되고 있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료 효과 분석은 통계적 검증방식에 의한 것이 가장 많았다. 결론 및 제언: 한국어를 사용하는 성인의 실어증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앞으로 노인인구의 급증을 대비하여 융합적 치료접근을 통한 양적, 질적 발전이 요구된다. 핵심어: 문헌연구, 노인 인구, 실어증, 치료접근, 효과분석 □ 접수일: 2022년 11월 10일, 수정일: 2022년 11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본 연구는 2022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주저자,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sen1397@gwangju.ac.kr)*** 교신저자, 대구사이버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aeguCyber Univ., Email: oblee@dcu.ac.kr) Literatures Review on Aphasia Treatment for Korean AdultsEunnam Sohn & Okbun Lee Abstract: Due to the rapidly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in Korea, the occurrence of acute aphasia among adults and the elderly due to COVID-19,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remote-based speech rehabilitation services, there is a need for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plan in Korea. The major databases were searched for relevant articles using the keywords Aphasia. Thirteen articles were selected for review and were identified that had been published in KCI accredited (candidate) journals in the last 10 years.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ies using a pre-post design accounted for 69%. Second, The proportion of male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high, and many were in their 50s and 60s. In the aphasia type, the nonfluency type was more common, and the ratio of severe to moderate was high in severity. Third, compared to the frequent injury-based treatment approaches before 2017, computer-based interventions and cognitive therapy approaches have been frequently conducted since then. Fourth, the analysis of treatment effect was most frequently performed by statistical verification method. Clinical studies on the treatment of aphasia in Korean-speaking adults are very limi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through a convergence treatment approach is required to prepare for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future. Key Words: Review, Elderly Population, Aphasia, Treatment, Efficacy Analysis

      • KCI등재

        개인적, 사회적 관계 상황에서 의사소통장애인에 대한 예비 언어치료사의 사회적 거리감 연구

        손은남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사회적 관계 상황에서 의사소통장애인에 대한 예비 언어치료사의 사회적 거리감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언어치료 전공을 포함한 대학생 181의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설문지의 응답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 번째, 사회적 거리감의 하위요인 ‘만남’과 ‘학교생활’에서 언어치료 전공 학생이 기타 전공 학생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가깝게 나타났다(p<.001). ‘관계’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의사소통 장애의 여섯 가지 유형 모두에서 언어치료 전공 학생이 기타 전공 학생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가깝게 나타났다(p<.05). 좀 더 깊은 관계 맺음에 해당하는 ‘관계’ 요인에서는 비교적 사회적 거리감이 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언어치료사에게 의사소통장애인의 이해 교육이 단순한 인지적 판단능력향상은 물론 정서적 공감능력 향상을 포함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추후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지역 및 성비를 균형있게 포함하고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distance of the preliminary speech-language therapists to the persons with communication disorder in the context of 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the questionnaire about social distance of 181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ech-language therapy majors showed closer social distance than the other majors in ‘meeting’ and ‘school life’,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distance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factor. Second, speech-language therapy majors showed closer social distance than the other majors in all six typ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p<.05). Speech-language therapy majors showed relatively farther social distance in ‘relationship’ factor, which is involved in having a deeper personal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for preliminary speech-language therapists to understand persons with communication disorder should focus on improving not only cognitive judgment but also emotional empathy. Subsequent studies need balanced inclusion of the region and gender ratio of the study subjects, as well as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