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HTP 반응특성 비교

        손성화,강영심,김지훈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1

        사람얼굴, 눈, 코, 입, 귀, 목, 몸, 팔, 손, 손가락, 다리, 발, 발가락큰사람, 작은 사람, 사람의 팔이 몸에 붙어있음(교차), 양쪽다리가 붙음(교차), 양팔이 평형임, 딱딱한 자세 등 27개 요소.평정은 3년 이상의 경험자인 미술치료사 2명과 심리검사자 1명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각 문항별로 해당사항이 있는 경우는 1점, 해당사항이 없는 경우는 0점으로 채점하였다. 구체적인 채점과정은 먼저, 분석기준을 표로 만들어 3명의 평가자가 HTP 그림을 분석하였고, 채점기준의 각 항목에 해당할 경우 대상의 일련번호를 기입하였다. 기입된 채점표를 비교하여 평가자간 의견이 다른 항목의 그림에 대해서는 다시 살펴 확인하였고 이때 3명의 평가자가 100%일치 하였을 때만 점수를 부여하였다.

      • KCI등재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 개발

        손성화,김진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코칭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교육교수자들이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역량과 운영실태, 코칭과 관련한 문헌 자료를 조 사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생교육 현장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현장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대해 심층면담 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매트릭스 분석을 통하여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코칭모델을 개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에 의하면 제4차 산엽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수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코칭역량을 제시한다. 코칭역량으로 평생교육교수자는 평생교 육 관련 직업인으로서 평생교육 성인학습자를 가르치는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와 목적과 목표달성 등을 위하여 비전 설정, 목표세우기, 사명선언서 작성, 코칭기술, 코칭과정 진행, 장애물 관리, 코칭 교수법등의 역량을 제시한다. 둘째, 평생교육 현장전문가들이 요구하는 평생교육 교수역량을 모델에 적용함으로 평생교육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모델을 학습자 중심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 평생교육 현장전문가들은 평생교육 전문지식 습득, 소통역량, 성인학습자 이해, 대인관계 능력,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하였다. 셋째,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코칭모델 은 진입, 진행, 총평, 환류의 프로세스과정에서 제시하는 단계별 평생교육교수자 교수역량을 충분히 습득하고 실행하 는 것이다. 총평 단계가 끝나면 환류를 통하여 평생교육교수자 자신이 평생교육교수자로 추구하는 코칭역량을 바탕으 로 한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을 새롭게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aching model which can enhance teaching ability of lifelong educato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verifies and analyzes several documentary records related with diverse teaching capabilities, operation reality and coaching method run by lifelong educator. Furthermore, an in-depth interview about teaching capability was undertaken for field experts who have worked at the institu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more than 10 years. As a result, the study could develop a coaching model to identify teaching capability of lifelong educator by conducting matrix analysis. First, according to the documentary studies, the paradigm for lifelong education has been shifted to centralize learner’s demand with the adv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suggests coaching capability which could enhance educator’s capability should come first. A lifelong educator should have capabilities including identification of vision and goal, creation of mission declaration, development of coaching skill and procedure, management of crisis and coaching capability as an expert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Second, a model which can centralize learners could be developed for lifelong teaching capability by adopting a teaching capability suggested by field experts, According to the expert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program model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communication capability, understanding of adult learner, personal relations capability. If there is a model which can develop such capabilities, it is able to strengthen lifelong teaching capability to focus on learner’s demand, mainly adult learners, a major consumer of the field. Third, a coaching model to enhance teaching capability for an educator is to acquire and implement sufficient step-by-step teaching capability which has been suggested from a procedure comprised of entrance, progress, critique and return. This, present study suggests, after the critique, a lifelong educator oneself can newly develop and extend a teaching capability basis on pursuing teaching capability as a lifelong educator through the return process.

      • KCI등재

        Analysis of Gastric Body Microbiota by Pyrosequencing: Possible Role of Bacteria Other Than Helicobacter pylori in the Gastric Carcinogenesis

        손성화,김나영,조현진,김재연,박지현,남령희,석영재,김연란,이동호 대한암예방학회 2017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22 No.2

        Background: Gastric microbiota along with Helicobacter pylori (HP) plays a key role in gastric disease. The aim of our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human gastric microbiota between antrum and body according to disease (control vs. gastric cancer) and HP status. Methods: Each antrum and body biopsy was collected from 12 subjec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Gastric microbiota was analyzed by bar-coded 454 pyrosequencing of the 16S rRNA gene. Twelve subjects consisted of HP-negative control (n = 2), HP-negative cancer (n = 2), HP-positive control (n = 3), and HP-positive cancer (n = 5). The analysis was focused on non-HP urease-producing bacteria (UB) and non-HP nitrosating or nitroreducing bacteria (NB) between antrum and body. Results: Gastric body samples showed higher diversity compared to gastric antrum mucosa sampl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n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s was higher in HP(−) cancer than HP(+) cancer (antrum, 273.5 vs. 228.2, P = 0.439; body, 585.5 vs. 183.2, P = 0.053). The number of non-HP UB and non-HP NB was higher in HP(−) cancer groups than the others. These differences were more pronounced in the body (P = 0.051 and P = 0.081, respectively). Analysis of overlap of non-HP UB and non-HP NB revealed the higher composition of Streptococcus pseudopneumoniae, S. parasanguinis, and S. oralis in HP(−) cancer groups than the others, only in the body (P = 0.030) but not in the antrum (P = 0.123). Conclusions: Higher diversity and higher composition of S. pseudopneumoniae, S. parasanguinis, and S. oralis in HP(−) cancer group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body suggest that analysis of microbiota from body mucosa could be beneficial to identify a role of non-HP bacteria in the gastric carcinogenesis.

      • KCI등재

        정서지능 유형에 따른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차이

        손성화,강영심,전인주 한국통합교육학회 2022 통합교육연구 Vol.17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ense type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further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ensitivity to the disability human rights. The participants were 191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B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has been categorized into three group types. Second, th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ensitivity to the disability human righ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useful information that not onl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ut also support direction for assisting successful school life and integrated education. 본 연구는 비장애중학생의 정서지능 유형을 분석하고, 도출된 유형에 따라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재학 중인 비장애중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군집분석, 판별분석, 교차분석과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중학생의 정서지능 유형은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전반적 정서 취약형’, ‘정서조절 미숙 사고형’, ‘정서조절 우수 감정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중학생의 정서지능 유형에 따라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학생 수용태도는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장애인권감수성의 상황지각, 책임지각에서 정서조절 우수 감정형과 정서조절 미숙 사고형이 전반적 정서 취약형보다 높게 나타났고, 결과지각은 정서조절 우수 감정형이 전반적 정서 취약형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애학생 수용태도는 개인생활과 학교생활에서 정서조절 우수 감정형이 전반적 정서 취약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생활은 정서지능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된 내용을 중심으로 비장애중학생의 정서지능 유형별 고려해야 할 교육방안과 장애인권 및 수용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손성화,강영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happi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19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Busan, Ulsan, & Gyeong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rest, Pearson relationship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utonomy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happiness,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appi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happi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Third, autonomy and relationship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vel of happiness. This results suggest that autonomy and relationship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happi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의 수준을 살펴보고, 기본심리욕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 중·고등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분석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뒤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은 평균이상이었으며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즉,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영역인 자율성과 전반적인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심리욕구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적장애학생의 행복감에 자율성과 관계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적장애학생이 사회에서 독립적인 개인으로 행복하게 살아가도록 돕고 이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손성화,정현지,강영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1

        본 연구는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가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U도시의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 11명이며,이들을 대상으로 15시간의 생활원예와 관련된 직업교육 직무연수를 실시하였다. 연수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직업교육 효능감 24문항과 준비도 20문항으로 구성원 설문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사전-사후 간 Wilcoxon 검증을 통한 비모수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이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를 받기 전보다 받은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직업교육 효능감의 2가지 하위영역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개인적 효능감이 일반적 효능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준비도 역시 연수 전보다 연수 후에 유의미하게 높게 향상되었다. 직업교육 준비도의 3가지 하위영역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지식과 실천,책임감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식 영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생활원예 직업교육연수는 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직업교육 효능감과 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iving-horticultur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on special class teachers’s efficacy and preparation in the vocational edu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find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1 special class teachers who live in U city. The program consisted of 15 periods of living-horticultur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The questionnaire is used to measure teachers' 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living-horticulture. The scale has 24 items(personal efficacy 15, general efficacy 9). Another questionnaire is used to measure teachers' preparation in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living-horticulture. The scale has 20 items (knowledge 8, practice 10, responsibility 2).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ffect of living-horticultur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on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efficac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efficacy and sub-areas of efficacy (personal and general efficacy). The effect of living-horticultur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on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prepar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reparation and sub-categories of preparation (knowledge, practice, and responsibility).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preparation in the vocational education.

      • 드론 무선통신의 개요 및 이슈

        손성화,강진혁,박경준 한국통신학회 2016 정보와 통신 Vol.33 No.2

        본고에서는 최 근 각광받고 있 는 무인 항공기 (UAV, Unmanned Aerial Vehicle) 시스템인 드론(Drone)에 관하여 살펴본다. 드론은 군사적 목적으로 시작하였지만 현재는 오픈소스 드론의 영향으로 방송촬영, 통신중계, 농업, 정찰, 배송, 레저 등의 산업 및 민간 분야로 시장을 급속도로 넓혀나가고 있다. 드론은 그 자체만으로도 전도유망한 분야이지만 기존 서비스와의 창조적 융합을 통해 새로운 블루오션 마켓의 발생 또한 매우 기대된다. 드론에 관련된 다양한 기술, 연구, 이슈 등 많은 주제 중 본고에서는 특히 드론 시스템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드론 제어 전용 주파수할당 현황 관련 이슈를 소개한다.

      • KCI등재

        Q방법을 통한 발달장애대학생의 자립에 대한 인식유형과 특성 분석

        손성화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independent by applying the Q method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In order to select the Q sample, 93 statements were secur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lif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n 45 representative statements were selected in the first and 23 representative statements in the second through expert advisory processes. After that, Q-sample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on 7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result type 1 "emotion-based will type", type 2 "passive marginal recognition type", and type 3 "support-seeking role centered typ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specific support plan were presented to promote positive independence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인식개선 교양 교과목 수강을 통한 대학생의 장애태도 변화

        손성화,고혜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4 특수교육논총 Vol.4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식개선 교양 교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P대학의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장애인식개선 강좌를 수강한 대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양적․질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대학생의 수강 전․후 장애인에 대한 정량적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장애태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고, 소감문, 에세이,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장애에 대한 대학생의 정성적 태도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량적 장애태도 변화는 수강 이후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하위 유형인 일반적 거부, 추론된 정서적 결과, 타기능의 제한, 친교의 거부, 접촉 시 긴장에서 수업 전․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정성적 장애태도 변화는 ‘긴장과 걱정에서 존중과 포용의 마음으로’ 감정적 태도가 변화하였고, ‘무관심, 왜곡에서 성장과 확장적 사고로’ 인지적 태도가 변화하였으며, ‘지나친 의식과 회피에서 적극적인 실천의 행동으로’ 행동적 태도가 변화하였다. 결론: 장애인식개선 교양 교과목은 대학생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장애태도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장애인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포용사회를 이루기 위해 대학 기반 교양강좌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확인하였고 대학생의 장애태도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how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hange after taking a liberal arts course on disability awareness. Method: A mixed-methods study was conducted with 53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disability awareness course offered as a liberal arts subject at University P. Quantitative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were assessed by administering a disability attitude test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with the results statistically analyzed. Qualitative changes in attitudes were exam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reflections, essays, and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naires. Result: The study deriv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quantitativ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 disabilities positively improved after taking the cours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course in the subcategories of general rejection, inferred emotional consequences, restriction of other abilities, rejection of intimacy, and tension during contact. Second, the qualitative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were characterized by an emotional shift from tension and worry to respect and inclusion. Cognitively, attitudes changed from indifference and distortion to growth and expansive thinking. Behaviorally, attitudes shifted from excessive awareness and avoidance to proactive practice. Conclusion: The disability awareness liberal arts course positively influenced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disabilities, thereby demonstrating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This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university-based liberal arts courses to foster an inclusive society that embraces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dditionally, the necessary strategies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