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reparation of MnOx/Carbon composites via spray pyrolysis and evaluation of ionic sorption capacitance

        배서,민병호,정경열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MnO-carbon composites have received a considerable amount of attention due to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batteries, supercapacitors, and electrochemical separation. When manganese oxide is deposited on carbon host including activated carbon, carbon nanotubes and mesoporous carbon, the performance for the energy storage is known to be improved due to the improv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 as well as the decease of the ionic mass-transfer resistance. In this work, MnOx/carbon composites having high surface area were directly synthesized by spray pyrolysis with changing the Mn Content. The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XRD, BET, SEM, TEM, CV, and EIS measurements.

      • KCI등재후보

        에티오피아 신종감염병 대응 비대면 호흡기 검체채취시스템 역량강화

        배서현(Seohyun Bae) 적정기술학회 2022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8 No.3

        신속하고 안전한 코로나 진단검사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에티오피아 정부는 현재의 감염 예방정책에서 검사자/피검사자의 안전 시책을 핵심 정책 방향으로 권고하고 있다. 건강보건요원(HCW)은 COVID-19 감염 위험이 10배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안전한 검사 및 근무환경을 구축하고 검사자와 피검사자 간 대면 접촉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을 줄일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단시간 대량 테스트에 대응할 수 있는 비대면/비접촉의 검사환경 구축과 만성질환 여부의 고위험군 맞춤형 개입을 위한 데이터 연계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에티오피아 오로미아 보건청(Oromiya Regional Health Bureau, ORHB)을 파트너로 보건청 공무원 및 시범사업 병원 관계자, 관련 기술 공무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문진의 코로나19 검체채취(sampling)시스템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개인 QR데이터 저장방식을 접목한 비접촉 검체채취 및 원격 데이터 전송프로그램이 탑재된 '스마트워크스루'의 저개발국 현지화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병원 기반 호흡기 신종감염병 신속 검체채취 모형을 기반으로 검사자와 피 검사자 간 비대면/비접촉으로 교차 감염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고 데이터 자동화로 안전한 비대면 검사환경에 따른 운영인력을 최소화한다. 또한, 감염병 검사 데이터를 중앙정부인 에티오피아 보건부 DHIS-2 연동으로 원인불명 확진자와 잠정 확진자와접촉 가능성 및 교차 감염의 위험성을 최대한 낮추어 ICT 기반 호흡기 검체채취 및 감염병 관리 역량 강화에 기여한다. As the need for rapid and safe COVID-19 diagnostic tests increases, the Ethiopian government recommends safety measures for health professional as a key policy direction in the current infection prevention policy. Health personnel (HCW) are reported to have a 10 times higher risk of COVID-19 infection, and the need to establish a safe COVID test and safe work environment to reduce the risk of infection from face-to-face contact is emphasizing. This study is about a non-contact, automatic sample collection using remote data transmission program for the COVID-19 sampling system. Based on the hospital-based rapid sample collection model, this study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cross-infection as much as possible between the inspectors and the subject, and minimizes the operational manpower according to a safe non-face-toface test environment with data automation. Training workshops was held with partners with Ethiopia's Oromiya Regional Health Bureau (ORHB)for health officials, pilot project hospital officials, and related technical officials in Ethiopia. In addition, the DHIS-2 link of the Ethiopian Ministry of Health, the central government,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ICT-based respiratory sample collection and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capabilities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contact with unknown and provisional confirmed patients.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반 무용극 <그 하늘 그 북소리>의 활성화 방안 연구

        배서,서용석,이동수,양근화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한국적 창작무용극의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설화는 한국의 문화 를 담고 있고 민족적 정서를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설화는 과거부터 존재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대중들에게 가장 익숙하게 공감을 일으킬 수 있는 스토리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콘텐츠의 원천소재로서 무궁무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설화에 주목했다. 또한, 본 연구에 서는 대중성을 갖춘 한국적 창작무용극의 발전을 위해 여러 방면의 분석 필요성을 가지고, 스토리텔링에 집중하여 연구했다. 특히, 과거부터 현재까지 OSMU(One Source Multi-Use)로 활용되고 있는 ‘호동설화’ 를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창작무용극 <그 하늘 그 북소리>에서의 ‘원작 텍스트 → 무용극을 위한 대본 → 무용극로 구현’되는 과정을 통해 텍스트가 춤으로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무용극에서 설 화가 가지는 소재로서의 가치와 이를 기반으로 한 스토리텔링의 필요성 및 텍스트를 춤으로 구현하는 과 정에서의 연출자의 중요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무용극 콘텐츠는 계속 변화하는 문화 트렌드를 반영 해야 하는 장르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면에서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특히, 한국적 무용극의 발전은 한국무용의 대중성뿐만 아니라 국가브랜드 구축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전통 설화를 중심으로 한 한국적 창작무용극의 발전과 미래 방향성에 대하여 제시 할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 creative dance drama. The tales are used as contents that conta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sentiment. Also tales can make bond of sympath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So, this study is focused on value of tales that can be expanded endless. To develop the Korea creative dance drama, there is need to analyze it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storytelling. This study selected ‘Tales of Ho-dong’ as main subject that is used as OSMU(One Source Multi-Use) from the past, and checked how the text converted to dance by studying the transition of ‘Original text → Script → Dance drama’ in creative dance drama <The sky, the sound of drum>. I found the value of tales as source in dance drama, need of storytelling based on tales, and importance of director in transforming text into dance. The dance drama contents reflect culture trends that change continuously, so the study of dance drama contents have to be investigated continuously in various aspect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Korea dance drama is closely related with popularity of Korean dance and estabilishment of national brand, so it is worth to be studied. I hope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for futur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Korea creative dance drama based on traditional tales.

      • 캄보디아의 비전염병(Non Communicable Diseases)예방 중요성 및 보건원조 지원전략 필요성

        배서 대한보건협회 2013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3 No.-

        연구배경 및 목적: 개도국의 빈곤극복과 경제발전을 위한 무상 원조사업과 국가개발전략 지원에서 효과적인 보건의료정책 및 사업의 실행은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확대와 발맞추어, 보건의료분야 지원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여 보건의료분야 사업추진을 선진화하고, 저 개발 국가를 포함한 세계를 무대로 보건 분야의 효과적인 원조를 수 행함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한정된 개발원조 재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국제협력 보건사업으로 이끌어 보건원조사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수원국 국가전략을 감안한 원조 전략을 개발하여야 한다. 80% 만성질환 사망자가 저/중 개발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국가에 있음을 감안하여, 캄보디아의 비전염병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보건원조 지원전략으로 개발한다. 연구방법: 1) 문헌조사: 문헌연구 및 캄보디아 국가개발전략계획서(National Strategy Development Plan), 캄보디아 인구건강 서베이 (Cambodian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캄보디아 보건분야개발 전략계획서 (Health Strategic Plan), 캄보디아 비전염병 국가개발전략계획서 (National Strategy Development Plan for Non Communicable Diseases) 등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2) 현장방문 및 인터뷰: 캄보디아 보건부 및 씨엠립주 보건성, 보건소 및 보건지소와 병원 등 보건의료기관방문과 관련 중앙 및 지방 공무원 인터뷰 연구결과 및 결론: 캄보디아의 영유아 사망률, 모성사망률, HIV/AIDS, 말라리아, 결핵 등 급만성 감염병 지표들은 개선되고 있는 반면, 비 전염병(Non Communicable Disease) 부담은 증가하고 있고, 운동부족, 흡연, 음주, 짜게 먹는 식습관 등 건강 위험요인 또한 국가의 주요 정책이슈가 되고 있다. 개도국의 비 전염병(Non Communicable Disease)은 개인적 고통과 더불어 개인이 속해있는 가족과 사회에 많은 사회경제적 부담을 초래하고 국가빈곤과도 관련한다. 그 동안 개도국에 집중되어왔던 감염병 질환 및 치료중심의 지원에서 지역사회기반 만성질환 예방을 목표한, 교육, 캠페인, 보건프로그램 등, 비전염병 보건중재전략이 개도국 원조 전략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비 전염병예방 보건사업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개발원조 재원을 사용할 수 있는 국제협력보건사업 보건지원전략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송범 작품에 나타난 상징적 의미 연구

        배서 영남춤학회 2024 영남춤학회誌 Vol.12 No.1

        본 연구는 소멸되어가는 송범 초기 신무용 작품에 대한 학문적 탐구의 필요성 아래 작품 <생령의 신음>의 심층분석을 통해 상징적 의미구조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송범의 초기 작품이 가지는 무용사적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송범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겪어낸 인물로 그는 작품 <생령의 신음>에서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사건을 상징적 동작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위와 아래, 확장과 축소, 빠른동작과 정지동작, 전진과 후진의 대조되는 동작을 연결하고 이를 반복구성하여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였다. 또한 연극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실성 있는 표현을 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송범의 초기 작품에 관한 후속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하며 이에 대한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derives a symbolic meaning structure through in-depth analysis focusing on the <Moan of the Living Spirit>, following the need for academic exploration of Song-Bum's early modern dance work due to its progressing vanishment. Through this, we intend to reveal the artistic value of Song-Bum's early dance. Song-Bum, who experienced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expressed historical periods and events through symbolic movements in the <Moan of the Living Spirit>. Especially, he connected and repeated contrasting movements such as up and down, expansion and constriction, swiftness and stationary, and back and forth to emphasize symbolic meanings. Also,his work is characterized by its use of theatrical elements, through which he created an effect of realism and realistic expressions. Starting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Song-Bum's early works will be able to be actively conducted, and that researchers will continue to see the importance of these studies.

      • KCI등재

        디지털 시민에 관한 초등학생의 개념 분석

        배서,최윤정,추병완,선우성경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9 초등도덕교육 Vol.0 No.66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recent discussions on digital citizenship is that the student's voice is completely absent. The definition of digital citizenship is also unilaterally determined by digital immigrants, and no one listens to the student's voice. Therefore,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re prone to errors that do not accurately reflect a student's developmental leve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dentify what they think digital citizens are like through expressions on writing assignments written by students in the fourth to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is article,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omposition tasks written by students were utilized in parallel. We found that the concept of digital citizen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reflecting most of the factors emphasized in the theories of digital citizenship. However,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critical resistance were not yet seen in the definitions of digital citize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ere were no obvious differences in gender, but there were subtle differences between grades.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최근 논의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학생의 목소리가 전적으로 빠져 있다는 사실이다.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 규정 역시 디지털 이주민인 성인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고 있으며, 어느 누구도 학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그러다보니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서 학생의 요구 사항이나 발달 수준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기 십상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작문 과제에 나타난 표현을 통해 그들이 생각하는 디지털 시민의 모습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작성한 작문 과제에 대한 질적 분석과 빈도 제시를 통한 양적 분석을 병행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디지털 시민 개념이 7개 범주로 구분될 수 있고, 디지털 시민성 이론에서 강조하는 대부분의 요소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디지털 시민의 개념 규정에서 적극적인 사회 참여와 비판적 저항의 모습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없었지만, 학년에 따른 미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무용극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 - 국립무용단 송범 작품 사례를 중심으로 -

        배서,서용석,이동수,양근화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송범 무용극 분석을 통해 한국무용극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찰과 함께 발전 방법을 모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무용극의 가치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을 느껴 질적 연구를 근거로 한 문헌연구 를 통해 무용극이 한국 춤 역사에서 가지는 예술성을 발견했다. 또한 융·복합 예술로서 무용극 장르가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양 춤에 영향을 받은 신무용 시대에 들어서면서 한 국 춤 역사에서 무용극은 무대예술로서 자리 잡았다. 초기 무용극의 기반을 마련한 인물은 조택원이라 할 수 있으나, 본격적으로 무용극을 양식화 한 인물은 국립무용단 초대 단장 송범이다. 그는 발레의 표현 양식을 한국 춤에 대입하여 창작한 무용극으로 국내·외적 성과를 거둔바 있으며, 국립무용단의 레퍼토 리 기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극의 선구자적 인물인 송범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도미부 인>, <은하수>, <그 하늘 그 북소리>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현대에 재창작된 작품인 <2012 도미부인>, <2022 무용극 호동>과 비교분석을 통해 현재 국립무용단이 시도하고 있는 무용극 미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국립무용단의 과거와 현재의 무용극 발전 동향과 함께 미래의 한국무용극 발전을 위한 필수적 과제 또한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관객이 공감가능 한 스토리를 바탕으 로 극 개발을 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한 공연을 목표로 무용극 레퍼토리화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국 춤이 가지는 특이성을 기반으로 미래의 무용극의 형태를 구축해나가야 한다. 본 연구결 과가 앞으로의 무용극 연구에 있어서 중간역할을 하는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 to develop Korean Dance Drama based on analysis of Song Bum’s dance drama. First of all, to verify the value of dance drama, the artistry of dance drama in Korean dance history is foun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f references. Also, the dance drama genre has enough competitiveness as a convergent art. In the New Dance era which is influenced by Western Dance, the dance drama is developed into the performing arts. The man who established initial dance drama is Cho Taek Won, but Song Bum made the dance drama into a kind of repertory. He applied ballet’s form to Korean dance and made Korean dance drama. Also, he mad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hievements by his own dance drama while working as a leader of National Dance Company. He established and developed National Dance Company’s original repertory of dance drama. This study focused his major works - <Madame Domi>, <Galaxy>, and <The Sky, the Sound of Drum>. And based on analysis, this study compared it with revised work by National Dance Company in nowadays - <2012 Madame Domi>, <2022 Dance Drama Hodong> - to analyze National Dance Company’s future directivit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out the trend of National Dance Company’s dance drama from the past to the future. and the tasks that are indispensable to develop Korean dance drama are drawn. First, the dance drama has to be developed based on popular and familiar stories. Second, the dance drama have to be repertory targeted to be sustainable show. Last, we have to establish the dance drama with uniqueness of Korean dance. I hop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ith intermediate role in further dance drama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