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애말기 암환자의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의 이행과정에 참여한 의료진의 경험

        박혜주,서민정 한국생명윤리학회 2023 생명윤리 Vol.24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qualitative investigation aiming to provide a profound insight into the experiences of medical professionals engaged in the decision-making and execu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post the implement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in South Korea. The research involved 15 participants, comprising 10 nurses with over 3 years of experience in a cancer center and 5 doctors with practical involvement in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for cance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From August 2021 to November 2021,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tiliz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ailored for the research purpose.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analysis through inductive thematic analysis,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three overarching themes, six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The themes included 'Changes post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Medical staff's role in the treatment decision system,'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for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The categories encompassed aspects such as the positive impact of the system, legal application confusion, roles of doctors and nurses, the necessity to enhance forms and laws reflecting reality, and infrastructure linked to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system. After the enactment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implementation procedures became clearer. Patient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gaining the ability to conclude their lives as desired. However, medical staff encountered increased workload complexities from related forms and a clash between law and reality due to the family-oriented culture. To ensur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end-of-life patients,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life-sustaining treatment processes are essential.

      • KCI등재

        사회적 맥락에 따른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군의 얼굴 표정 정서 인식 특성

        박혜주,임종민,이상일,장문선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3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emotion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endency according to social situations. 45 university students aged 18 or older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a personality disorder tendency group(n=22), and a control group(n=23). The social situation was manipulated as a Cyberball task, and after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and social acceptance in turn, the categorical emotional recognition accuracy of facial expression emotions presented in the Face Expression Recognition task (FER) was compared among individuals in the group. In addition, error patterns were analyzed in response to the name of the emotional category to clarify whether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endency group exhibited a biased perception of a specific emot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fter experiencing the social exclusion situati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endency group showed lower emotional recognition accuracy for ‘anger’ emotional expression than the general group, and the error pattern analysis results revealed a perception bias. However, after experiencing the social acceptance situation, the difference in the accuracy rate between groups in all emotional expressions was not significant, and no specific error pattern was foun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endency group may misunderstand the emotions of others and experience conflict in interpersonal situations as they misrecognize the aggressive clue, ‘anger’ expression, as a clue to rejection. At the same time,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how a decrease in accuracy and biased perception of facial expression emotional recognition in negative situations such as social exclusion, but not in all interpersonal situations. 사회적 맥락에 따른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군의 얼굴 표정 인식 특성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 집단(22명)과 통제집단(23명)을 모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이버볼 게임(Cyberball Game) 과제로 사회적 배척 상황과 사회적 수용 상황을 유발한 다음에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 FER)를 실시하였다. FER 과제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두 집단의 정서 인식 명확성과 정서 명명에 대한 오류 패턴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적 배척 상황을 경험한 이후의 ‘분노’ 표정에 대한 정서 인식 정확률이 낮았으며, 오류 응답 패턴에서 ‘분노’ 표정을 ‘혐오’로 오인하는 인식 편향이 관찰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사회적 수용 상황을 경험한 이후의 정서 인식 정확률은 모든 정서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 오류 패턴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 집단이 사회적 배척 상황을 경험한 이후 공격적 단서인 ‘분노’ 표정을 거절 단서인 ‘혐오’로 잘못 인식함에 따라 타인의 정서를 오인하여 대인관계 상황에서 갈등을 겪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경계선 성격장애 경향을 지닌 사람은 모든 대인관계 상황이 아니라 사회적 배척과 같이 유기 불안이 자극되는 부정적인 상황에서 얼굴 표정 정서 인식에 대한 정확성의 감소와 편향적 지각을 보이며, 부정적 대인관계 상호작용 이후에 사회적 수용을 경험하면 정서가 안정되어 얼굴 표정 정서를 인식하는 능력에서 통제집단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생선수들을 위한 비대면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박혜주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on-face-to-face self-regulation training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athletes through the conduct of a group online video counseling session, as well 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uch a tool. METHODS Based on the models of Zimmerman(2000) and Han Si-wan (2008), the 12-session non-face-to-face self-regulation training program consisting of interactions involving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was developed and used on a 16-member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self-regulation and mental toughnes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each member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 17-member control group. Since a qualitative evaluation was conducted, recorded training contents were organized into a text file; after which, a step-by-step coding procedure was performed, and then meanings and theme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RESULTS Quantitative analysis found that the volitional inhibition mode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was in comparison to the increase in the self-regulation mod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among the seven sub-factors of the mental strength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the post-test of selfbelief, attention control, emotional regulation, resilience, and optimism factors. As a result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y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the early stages of participation, but gradually recognized their problems and searched for changes, showed changes in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s they approached the end of the study period.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non-face-to-face self-regulation training program helped student athletes improve their school life and performance by driving positiv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목적]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을 위한 비대면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화상집단상담 방식으로진행한 다음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방법] Zimmerman(2000)과 Han(2008)의 모델을 바탕으로 인지, 정서, 행동적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12 회기 비대면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고등학생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16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훈련을 실시하고 자기조절과 정신력 질문지를 사전과 사후에 측정한 후 통제집단 17명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질적 평가로는 녹화된 훈련 내용을 텍스트 파일로 정리하여 단계별 코딩을 시행한 후 의미와 주제를 찾아 범주화하였다. [결과] 양적 자료 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조절 양식의 증가보다 통제집단의 의지적 억제 양식이 유의미하게 감소한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정신력 검사 7개 하위요인 중 자기신념, 주의조절, 정서조절, 회복력, 낙관주의 자기조절 요인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다. 질적자료 분석 결과, 참여 초기 단계에서는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나점차 문제점을 인식하고 변화를 탐색하면서 종료 시점에 가까울수록 인지, 정서, 행동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비대면으로 진행된 자기조절 훈련 프로그램은 학생선수들의 인지, 정서, 행동적인 변화를 일으켜 학교생활과수행에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낯선 상황에서 영아들의 애착과 정서조절간의 관련성

        박혜주,방희정,이순행,최해훈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 to classify the attachment type and emotion regulation type, and (ⅱ) to examine whether attachment was linked with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 infants of middle class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and Kyungki Area(Shinchon, Eunpyoung, Yeo-ui-do, Ilsan) whose age was 12-18 months. In order to assess the pattern of infant-mother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each infant-mother dyad was observed in the Strange Sit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ttachment type classification, type B holds 63.9% of the sample, type A holds 13.9%, and type C & D hold 11.1% separately. Second, In the type of infant's emotion regulation, 9 infants(28.1%) were classified as 'open emotion expression', 14 infants(43.8%) were as 'minimized emotion expression', 9 infants(28.1%) were as 'heightened emotion expression'. And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fant-mother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본 연구는 12~18개월 영아들의 애착과 정서조절의 관련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낯선 상황 절차를 통해 애착 유형을 분류하고, 또한 낯선 상황 절차의 재결합 상황에서의 영아의 정서조절 행동들을 변인으로 정서조절 유형을 분류하여 애착 유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애착 유형은 낯선 상황 실험(Ainsworth et al, 1978)을 사용하여 분류하였고, 영아의 정서조절은 Weinberg와 Tronick (1999)의 Infant & Caregiver Engagement Phases (ICEP) 중 Infant Engagement Phases를 사용하여 평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애착 유형 분류 결과 안정 애착이 63.9%, 불안-회피 애착이 13.9% 불안-저항 애착과 비조직/비일관적 애착이 각각 11.1%로 나타났다. 둘째, 낯선 상황 실험 중 재결합 에피소드에서 영아가 보이는 정서조절 행동들을 변인으로 하여 정서조절 유형화를 시도하여, 정서조절 유형을 개방적 정서표현(28.1%), 억제된 정서표현(43.8%), 과장된 정서표현(28.1%)의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영아의 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유형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안정 애착은 개방적 정서 표현 유형과, 불안-회피 애착은 억제된 정서 표현 유형과, 불안-저항 애착은 과장된 정서 표현 유형과 관련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애착 유형과 정서조절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유형 간에 54.2%의 일치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애착과 정서조절간의 이론적인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애착 유형에 따라 정서조절 전략을 다르게 발달시켜 간다는 것을 밝혔다.

      • 대학생 취업장벽 척도 개발

        박혜주,김은주,천성문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2012 대학생활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취업장벽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기존 도구의 고찰 및 대학생을 대 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결과를 분석하여 177문항의 1차 예비척도를 구성하고 교수전문 가 2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검토 받아 2차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P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25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78문항의 최종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 를 S시, P시, J시, K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605명을 대상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5요인 45문항으로 구성된 취업장벽 척도를 개발하였 다. 최종 선정된 대학생 취업장벽 척도 45문항에 대한 신뢰도 검증 결과 내적 일치도 (Cronbach's α)가 세 하위요인 및 척도 전체 모두 .68 ~ .72 사이로 높게 나왔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생 605명을 대상으로 취업장벽척도와 진로탐색장애검사 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취업장벽 척도와 진로탐색장애검사 사이에는 매우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검사와는 비교적 높은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생선수들을 위한 비대면 스포츠 심리 지원에 대한 제안

        박혜주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스포츠 심리 분야의 비대면 연구를 중심으로 국내 스포츠 심리 분야에서의 학생선수들을 위한 비대면 심리지원 방법과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국외 스포츠 심리 분야에서의 비대면 연구들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고, 연구자의 현장 경험을 통해 비대면 심리지원 방법과 고려사항들에 대해 제시하였다. 국외 스포츠 심리 분야에서 비대면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과 유용성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으나 국내에서 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코로나 19로 인해 급격하게 발전한 원격화상을 활용한 스포츠 심리 지원에 대한 현장연구는 여전히 부족했다. 줌 화상 플랫폼, 스마트폰, 이메일, SNS, 문자, 패들렛을 활용하면 원활한 비대면 심리지원이 가능하다. 대면 심리지원에 비해 비대면 심리 지원에서 보다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비밀보장, 상담자의 기기 활용 능력, 대상 적합성 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tactless psychology support methods and considerations for student athletes in the field of sports psychology in Korea through researches using technology in the field of foregin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n line in the field of sport psychology was examined and presented contactless methods and considerations through researcher’s experience with student-athletes for contactless psychology suppor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need and usefulness of contactless sport psychology support in the field of sport psychology, but little has been done in Korea. And sports psychology services and counseling using videoconferencing, which has been rapidly developed due to Corona 19, were still lack. Using zoom video platforms, smartphones, e-mails, SNS, text messages, and padlet, contactless psychology support is possible easily. Compared to face to face psychology support, it is more important to consider on contactless psychology support, such as confidentiality, counselors' ability to use technology devices, and client’s suitability on contactless psychology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