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성 신생아 간염의 임상적 고찰: 비-가족형, 비-대사성, 비-A, B, C형 바이러스성 신생아 간염

        박지애,이창훈,박재홍,Park, Ji Ae,Lee, Chang Hun,Park, Jae Ho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6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9 No.2

        목 적: 비-가족형, 비-대사성, 비-A, B, C형 바이러스성 신생아 간염은 양호한 경과를 취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장기적인 경과 관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연자들은 이 질환의 임상적 특징을 연구하여 임상 경과 및 예후 예측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생후 3개월 이내에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신생아 간염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중 임상 소견 및 생화학적 검사의 이상 소견이 6개월 이상 지속되었던 34명을 대상(A, B, C형 바이러스성, 대사성, 유전성 신생아 간염은 제외)으로 하여 임상적 소견, 검사실 소견 및 조직학적 소견을 병력지와 조직 슬라이드 분석을 통해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성비는 2.4 : 1로 남아가 많았고, 진단 시 연령은 생후 1~2개월 사이가 가장 많았다. 혈청 ALT의 최고치의 범위는 광범위(100~1,000 IU/L)하였으나, 300 IU/L 미만이 41%였다. 혈청 직접형 빌리루빈의 최고치는 50%에서 1.0~5.0 mg/dL 사이였다. CMV에 대한 IgM 항체 검사 또는 PCR 검사에서 34%가 양성이었다. 추적 기간의 조건을 충족한 29명 중 11명(37.9%)의 환자가 1년 이내에 ALT 수치가 정상화되었고, 1년 이상 ALT 수치가 증가된 환자 13명 중에서는 2년 이내에 정상화된 경우가 9명(69.2%),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된 경우가 4명(30.7%)였다. 2년 이상 지속적으로 ALT 수치의 상승이 있었던 경우 간 조직 검사에서 간문맥 주변 섬유화, 간문맥 염증 및 간소엽 염증 등의 변화가 2년 이내에 회복된 경우보다 심했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 론: 비-가족형, 비-대사성, 비-A, B, C형 바이러스성 신생아 간염은 비교적 예후가 양호하지만 혈청 ALT 수치의 상승이 1년 이상 지속 시 간 손상의 정도에 대한 평가와 만성 간질환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Neonatal hepatitis is the major cause of neonatal cholestasis and may be divided into infectious, metabolic, genetic, and idiopathic neonatal hepatitis. Non-familial, non-metabolic, and non-A, B, C viral neonatal hepatitis is known to have made satisfactory progress, but little is known about its chronic clinical features. Methods: Clinical and histological assessments were carried out in 34 cases with chronic neonatal hepatitis [elevated serum alanine aminotrasferase (ALT) level for more than 6 months] except for A, B, C viral hepatitis, metabolic, or genetic neonatal hepatitis,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January 2004. Results: Males were more common (70%). Jaundice (100%) and hepatomegaly (44%) were frequent manifestations. Peak serum ALT levels were most commonly below 300 IU/L in 41.2% of patients and peak serum direct bilirubin levels were most commonly between 1.0~5.0 mg/dL in 50% of patients. Ten cases (34%) of 29 patients had positive serum cytomegalovirus (CMV) IgM or urine CMV polymerase chain reaction. Serum ALT level was normalized within 1 year in 11 (37.9%) of 29 cases, and within 2 years in 9 (69.2%) of 13 cases. Serum ALT level was elevated persistently over 2 years in four (30.7%) of 13 cases. Histologic findings such as portal or periportal activity, lobular necrosis, portal or periportal fibrosis were more severe in patients with persistent ALT elevation over 2 years than in those showing normalization of ALT within 2 years (p>0.05). Conclusion: When the elevation of ALT level sustains over 1 year in non-familiar, non-metabolic, non-A, B, C viral neonatal hepatitis, an 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liver injury and a careful monitoring about chronic liver disease may be required.

      • KCI등재후보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애,여정희,Park, Ji Ae,Yeo, Jung Hee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5 중환자간호학회지 Vol.8 No.1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fessional autonomy,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ir correlations and verify the effects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Method: The subjects were 189 emergency nurses with a work experience of 1 year or more, in 14 hospitals located in B and U Metropolitan C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 2014, to August 30, 2014. The measurement instruments for professional autonomy,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Job satisfaction among emergency nurs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autonomy (r=.28, p <.001), and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r=.50, p <.001) with sub-areas of professional practice (r=.79, p <.001), satisfaction (r=.64, p <.001), and communication (r=.25, p <.001).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satisfaction (${\beta}$=0.60, p <.001), followed by low professional autonomy (${\beta}$=-0.24, p <.001) and communication (${\beta}$=0.14, p =.008), which accounted in total for 48.3% of the effec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nhancing professional satisfaction, maintaining proper communication, and securing autonomy are required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mong emergency nurses.

      • KCI등재

        고변동성 제제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에서 3×3 교차설계법 연구

        박지애,박상규,Park, Ji-Ae,Park, Sang-Gue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2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약품동등성시험기준에 고변동성 제제의 생물학적 동등성(생동성) 평가 기준을 넓혀주는 새로운 규정을 추가하면서 고차 교차설계법을 활용하여 생동성 평가를 하는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확장된 생동성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3기간 이상의 교차설계법이 적용되어야 하지만 아직 관련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times}3$ 교차설계법에 기초한 생동성 평가의 통계적 추론과정을 제시하고 논의한다. 또한 사례를 통해 $3{\times}3$ 교차설계법을 활용한 생동성 평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동등성시험기준에 따라 진행하고 그 의미를 논의한다. Bioequivalence trials based on higher order crossover designs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for highly variable drugs since the Ministry of Korea Food and Drug Safety (MFDS) added new regulations in 2013 to widen bioequivalence limits for highly variable drugs. However, a statistical discussion of higher order crossover designs have not been discussed yet. This research proposes the statistical inference of bioequivalence based on $3{\times}3$ crossover design and discusses it with the MFDS regulations. An illustrated example is also given.

      • 클라우드 컴퓨팅 비지니스 모델 개발

        박지애(Jiae Park),이영호(Youngho Lee),소현진(Hyunjin So)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In this paper, we develop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find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n designing a cloud computing business model, we propose a service mapping with service and revenue concept. We also propose an evolution framework for planning a sustainable business strategy of IT companies in the cloud computing environment. In the service concept, we categorized service beneficiaries and service offering function. In the revenue concept, we analyze service stream among market players. In addition, we assess cloud computing market drivers for finding an evolution path of cloud computing business. Finally, we analyze Korean. IT companies cloud computing business model and suggest cloud computing business strategies for coping with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경북지역 동제의 특징과 전승 실태

        박지애 ( Jee Ae Par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7 嶺南學 Vol.0 No.11

        동제는 별신굿과 더불어 마을 공동체를 기저로 한 민간신앙의 대표적인 양식이다. 별신굿이 주기성을 지니고 무당굿의 형태로 전승되는데 반해, 일반적으로 동제는 마을 공동체의 안위와 평아능ㄹ 기원하며 유교식 절차로써 매년 진행된다. 경북지역은 문화?환경적 요인에 따라 북부 산간지역과 동부 해안지역, 중남부 평야지역으로 권역이 나뉜다. 북부 산간지역은 인격신 중에서도 구체적 인물을 마을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다. 동부 해안지역은 동제에 비해 별신굿이 활발히 전승되는 지역이다. 동부 해안지역은 북부 산간지역에 비해 마을신의 신격이나 영험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지는 않다. 마을신의 영험에 기대어 마을의 안위를 기원하기 보다는 풍어제적인 성격이 강조되면서 별신굿의 위상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동제의 위상이 약화되고 마을신격에 대한 담론도 간략화된 것으로 보인다. 중남부 평야지역은 관광과 산업 중심으로 생활의 기반이 바뀌면서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가 급격하게 파괴되었다. 전통적인 마을 공동체가 파괴됨으로써 동제 또한 급격히 쇠퇴하였다. 현재 중남부 평야지역에서는 동제를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이다. 권역에 따라 동제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지를 살펴본 후, 경북지역의 동제가 어떠한 모습으로 변모되어 전승되고 있는지 그 현재적 모습에 주목하였다. 먼저 과거에는 마을신의 영험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되어 신화 또한 풍부하게 전승되었으나, 지금은 신화 자체가 소멸되거나 존재한다 하더라도 신화의 많은 부분이 변화되거나 탈각되어 전승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동제의 축소와 소멸의 가장 주된 요인은 농촌 지역의 고령화와 이농으로 인한 공동체 기반의 붕괴이다. 현재 동제를 지내고 있는 마을에서도 주민의 감소로 인해 앞으로의 동제 전승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동제 전승의 어려움을 감안할 때, 동제 참여자의 범위를 현재 마을에 거주하는 주민에 국한시키지 않고 참여의 범위를 출향인, 주민들의 자녀로까지 그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일 년에 한 번 마을신을 모시고, 출향인과 주민들간의 축제를 벌인다면 마을 공동체의 결속력을 강화할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다. 동제가 전승되는 지역 주민들은 동제의 보존?전승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경제적 토대가 뒷받침되지 못함을 지적한다. 동제의 재원 마련은 일반적으로 주민들의 각출, 마을 소유 토지에서 나오는 도지, 장례를 치르고 받는 수고비 등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장례 문화의 변화, 마을 주민의 감소 등으로 인해 재원 마련이 결코 쉽지 않다. 이는 마을 주민들의 의지만으로는 극복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원래 가지고 있었던 사회적 환경속에서 동제를 보존?전승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국가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는 정도에서 개입할 필요가 있다. 경북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동제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많은 수의 동제가 전승되고 있는 편이다. 쇠퇴와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는 동제 자료들을 수집하는 일이 시급하다. 산재해 있는 동재의 기록들을 조사?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디지털 아카이브화하여 체계적으로 축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해 민간신앙 박물관을 건설하여 일반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There are a lot of cases to invite a concrete person to to village God in a region of mountain peaks in the northern art. A byulsingut is growing up than a dong-je in a region of the seahore in the eastern part. A region of the seashore in the eastern part does not have a lot of stories about village God compare with regions of mountain peaks in the northern part. While characters to pray for was emphasized that let me catch a fish very mush, a byulsingut was emphasized. Instead a dong-je was weakened, and story about village God is simple. In plains regions in the south sightseeing and industry grew up. Therefore, traditional character called agriculture was destroyed by a fast speed. A village community of a traditional form was destroyed, and a dong-je was too suddenly gone downhill. Regions of the plains in the current south can hardly look for a dong-je. In the past, residents believed ability of village God very mush. Therefore, had abundant myth about, village God too. Now, however, most myth disappeared. If there is myth, a lot of sections are transformed. There are not a lot of numbers of a resident living in a village. Therefore, there is a lot of trouble as preserve a dong-je. Have to enlarge range of a person attending a dong-j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at is, children of people and the village resident who left a village must include it. The people who endeavor in order to preserve a dong-je mention shortage of capital in the largest problems. Therefore, national assistance is necessary. And we must endeavor while keeping the original background in order to preserve a dong-je. More circular of a dong-je in a kyungpook region than different regions is in good condition. There are so a lot of numerical dong-jes. We must collect dong-je data in a crisis of declination and extinction quickly. And we must make the digital archive as we use the record which we collected. Also, utilize the date which collected, and we must build a folk belief museum. Then the public can easily approach folk belief.

      • KCI등재
      • KCI등재

        유성기음반 소재 잡가의 현황과 레퍼토리의 양상

        박지애(Park Jee-ae)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99

        A song of various forms existed in an in the early 20th century of our country. This study is to look into an actual figure of a Jabga in the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a gramophone disk. Gramophone disk was made at the most the beginning of 1930’s and medium term. The song which used a title called Jabga is all 235 pieces. “Susimga” is a song to have most a lot of popularity during Jabgas of a gramophone disk. “Nanbongga” and “Yukjabaeki”, “Baettaragi”, “Sanyeombul” are songs to be popular by the followings. ‘kimOkYeop’ made a gramophone disk of most a lot of numerical Jabgas. Popularity of a ‘12-jabga’ considered to the things that were high-quality during Jabgas decreased. ‘12-jabga’ was a repertory to be popular until 1920’s from the 19th century. However, repertory of a popular Jabga changed to a popular song in 1930’s. The second, a traditional song method was transformed. Mobilized a professional composer and songwriter, and disk company newly made song words. And they arranged it. While scale grew larger every year, disk company formed a huge market. They endeavored in order to produce a disk to be struck to a mass interest. This was a strategy to sell a disk very much. And they had a Western musical instrument instead of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nd accompanied it of a Jabga. Disk companies constantly endeavored for commercialization of a Jabga through new tries.

      • KCI등재

        사설시조의 여성민요 수용과 장르적 변주

        박지애 ( Park Ji-ae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1 No.-

        본고에서는 여성민요를 선행 텍스트로 하여 재창작된 사설시조를 살펴봄으로써 동일한 소재의 장르적 변주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설시조의 장르적 특징과 함께 그 문화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 텍스트인 여성민요와 구별되는 사설시조의 구성 방식 및 문학적 형상화의 양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설시조에는 서술자가 드러나지 않는다. 여성민요에는 서사적 텍스트 내부에 1인칭 서술자가 나타나지만 사설시조는 3인칭 인물들 간의 대화와 행위만으로 사설이 구성된다. 1인칭 서술자가 사라지고 인물의 목소리만 들리게 되면 이야기주체의 개입이 최대한 억제되고 서사적 사건을 객관화시키면서 연행자와 청중은 인물에 대해 감정적 거리감을 갖게 된다. 둘째, 사설시조는 인물들 간의 대화로만 사건이 재현된다. 대화를 통한 재현, 즉 ‘보여주기’는 텍스트 속 행위에 서술의 초점이 맞추어진다. 즉 서술자의 논평과 해석이 제거됨으로써 청중(수용자)은 대화와 행위에 집중하게 된다. 셋째, 사설시조에서는 인물의 욕망이나 감정이 표출되지 않는다. 구술문화권에서 연행되는 문학 양식은 연행자와 청중의 관여를 통해 그들의 욕망이 표출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공통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모델을 찾아간다. 그러나 사설시조에는 인물의 감정과 욕망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시집식구들과의 갈등 및 화자의 고통은 통속적으로 변주되고 감추어진다. 넷째, 사설시조에서는 서사적 갈등이 봉합되고 자아와 세계의 합일을 통한 미적 정서가 형성된다. 중장까지 세계와 자아가 대립과 갈등의 관계에 놓여있었다면 종장에서는 갈등의 관계에 놓여있던 세계가 자신의 감정과 가치관에 근거해 상상 속에서나마 극복 된다. 그렇다면 사설시조의 담당층은 왜 여성민요에 주목하였을까? 사설시조는 당시 유행하던 고전소설과 판소리, 한시 등 다양한 문학 양식을 선행 텍스트로 수용하고 상호 교섭하여 사설시조의 미감에 맞게 변용하여 재창작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설시조의 장르성은 여러 문학 양식의 중층적 관여 및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사설시조는 선행 텍스트를 번역하거나 요약하기도 하고 일부분을 차용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사설시조가 장르 향유의 장을 넓혀가는 과정에서 사설시조의 담당층은 소재적 차원의 다양성과 표현적 차원의 다양성을 추구하게 되었을 것이다. 새로운 소재와 참신한 표현에 대한 요구는 여성민요에 관심을 돌리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이미 모심기소리 등 민요를 선행 텍스트로 한 사설시조가 창작되고 있었기에 여성민요 또한 수용의 기반이 마련될 수 있었을 것이다. 특히 기층 여성들 사이에서 폐쇄적으로 향유되던 여성민요는 사건과 갈등 위주로 사설이 구성되어 있는 서사민요였다. 시집식구들과 며느리의 갈등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갈등이므로 서사적 차원의 흥미를 느끼기에 적합한 소재였을 것이다. 그러나 다양성에 대한 관심은 사설시조 연행과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즉 가부장제 질서 하의 여성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서사민요의 연행맥락과 향락적인 사설시조의 향유환경과는 구별된다. 유흥적인 환경에서 연행되는 사설시조의 수용층은 여성의 다양한 목소리에는 무관심했을 것이며, 이러한 연행환경은 결국 사설의 통속적이고 선정적인 변주로 이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가부장제 질서 하의 며느리의 목소리가 왜곡되고 통속적으로 재현되었다고 해서 여성민요를 수용한 사설시조의 문화적 가치가 적은 것은 아니다. 사설시조는 경계의 장르로서 여러 문학 양식과 소통하면서 향유의 장을 확대해나갔고, 향유의 장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여성민요까지 수용한 것은 사설시조의 개방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text of the saseolsijo genre changes after assimilating women’s folk songs, and investigates the cultural meaning of the saseolsijo. Saseolsijo and women’s folk songs are two different genres in terms of classes and forms of enjoyment. The saseolsijo was mainly enjoyed for the practice of the art itself, whereas women’s folk songs were mostly practiced by lower class women and peer groups as labour songs. By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a cultural basis assimilated a different genre and changed to adapt to the aesthetic of the saseolsijo,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hed light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saseolsijo. It is the fundamental openness of the saseolsijo that allowed its assimilation of women’s folk songs. The saseolsijo was created by assimilation of various literary genres that were then popular, such as the pansori and classical novels. Among the sijipsari songs, the saseolsijo assimilated the type of < The Daughter-in-law Who Broke the Yangdong-gama >. This folk song, while revealing the feelings and desires of the speaker, adopts a narrative style centred on ‘telling’ a story through the first-person nar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aseolsijo involves a narrative style centred on ‘showing’ the story as it recreates the events in the form of dialogues between the characters. If the expression of the pain of life is the core theme of folk songs, in the saseolsijo the thematics changed towards emphasizing popular themes. Once the women’s folk songs genre and its close connection with the text as well as the community enjoying the songs, were assimilated into the saseolsijo, the saseolsijo broke with the practice context of women’s folk songs and gained popular appeal by intensifying common themes and vulgarity.

      • KCI등재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내방가사의 특징과 의미

        박지애(Park, Ji-Ae) 한국어문학회 2020 語文學 Vol.0 No.149

        본고에서는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내방가사의 현황을 살펴보고, 전쟁 체험의 양상과 표현의 특징을 논의함으로써 한국전쟁 소재 내방가사의 문학적 특징과 그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내방가사는 지금까지 4편의 작품 <원한가>, <피란사>, <셋태비감>, <추월감>이 보고되었다. 이 작품 외에 본고에서는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내방가사 <삼팔가>를 연구 대상으로 포함시켜 논의하였다. 이들 작품 중 <추월감>은 10여 편의 이본이 다양한 지역과 문중에서 발견되어, 향유층들에게 광범위하게 소통되고 전승된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역사적 격변기를 겪으며 직접 겪은 사건을 기록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신념이 표출되고, 이는 동시대를 살았던 향유층들의 공감을 얻으며 널리 필사되고 전승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내방가사 작품에는 여성들의 역사인식이 잘 드러난다. 그들은 ‘일제 강점기-독립-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한국전쟁의 비극성을 찾거나 민족의 수난사라는 관점에서 한국전쟁을 바라보기도 했다. 또 전쟁이라는 가혹한 삶의 무게를 견뎌 낸 후 독자와 청자를 향한 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내방가사 작품 전개의 특징은 시적 화자의 시선 이동에 따른 장면 묘사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 가사 작품은 공통적으로 시적 화자의 시선 이동에 따라 보이는 장면의 묘사를 통해 텍스트를 전개한다. 이때 그들은 주로 생이별하는 가족들의 눈물과 피란을 떠나는 어린아이들의 오롱조롱한 손과 발의 모습 등 가족과 아이들의 모습과 장면을 묘사하였다. 그리고 그 장면은 결국 시적 화자의 비극적 정서를 지속적으로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일관된 정서를 지속하다가 시적 화자의 감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에서는 분량을 더욱 확대하여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내방가사를 낭송하고 필사하는 청자이자 독자는 작자이자 시적 화자인 ‘나’와 동류의 여성들이다. 그들은 내방가사를 낭송하고 필사하며 한국전쟁과 피란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고난을 추체험하는 한편, 결국 그러한 갈등 상황과 장면을 통해 시적 화자의 감정과 정서를 읽고 공감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감 위에서 작품을 통해 던지는 메시지는 더욱 강력한 설득력을 발휘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Naebang gasas (female-authored gasas) about the Korean War and examines how these convey the experiences of that war. This allows us to grasp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War-related Naebang gasas. The country had just begun to enjoy its independence when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 war between peoples of a same race, broke out and, along with the whole nation, inflicted hardships and great sufferings on women. They had to flee and seek refuge from the war, leave their husbands and grown-up sons to go and fight, and take on the role of patriarch as they led the family in flight. By making their flight the subject of the entire composition, women incorporated their experiences of the war into the gasas, composed in the form of retrospection about their lives. This paper examines the following pieces: ‘Wonhanga’, ‘Piransa’, ‘Settaebigam’, ‘Chuwolgam’ and ‘Sampalga" which are being studied for the first time here. In the Naebang gasa, the narrator develops the text by describing the scenes unfolding before her eyes and leads the reader or listener to share her own feelings by means of repetitions of such descriptions. The narrator’s feelings and emotions are revealed in and through each scene depicted, running through to the end of the gasa. At times, the description of the narrator’s feelings is more direct and further expanded. Thus, the audience is all the more convinced of the narrator’s emotions and eventually made to identify with the narrator.

      • KCI등재

        사례를 통해 본 여성민요의 소통과 전승 현장 -고령군, 경산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박지애 ( Park Ji Ae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6 No.-

        이 글은 민요 향유의 기반이 되었던 농촌 공동체가 와해되고 위축된 현재, 여성민요가 어떻게 소통ㆍ전승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 살피고자 하였다. 여성민요가 소통되고 있는 지금의 현장에서 여성민요의 위상은 전통사회에서의 위상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소리판에서의 여성민요 자체 의 위상뿐 아니라 여성민요를 구연하는 여성 소리꾼의 위상 또한 변화했다. 시집식구들의 횡포에 대해 직설적으로 토로하거나 혹은 자신과 같은 처지의 며느리가 겪는 고통과 저항에 대한 서사적 구성을 따라가면서, 전통사회에서의 여성민요 구연자들은 노래를 통해 감정을 정화하고 치유 효과를 경험하였다. 하지만 공동체 내에서의 여성의 지위 변화, 가정 내에서의 여성의 지위 변화, 노동 방식의 변화 등 여성을 둘러싼 문화적 환경이 변화하며 여성민 요 자체의 위상과 구연자의 위상까지도 변화하였다. 젠더와 또래, 청자를 한정하여 폐쇄적으로 구연되던 여성민요는 상대적으로 ‘젠더’의 표지만이 소리판을 형성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을 뿐, ‘또래’와 ‘청자’의 표지는 소리판을 형성하거나 분화하는 요소로 더 이상 뚜렷하게 작용하지 않는다.‘젠더’가 소리판을 형성하는 절대적인 자질로서 여전히 유효한 것은, ‘시 집살이’나 ‘남편의 외도’ 등이 여성들만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소 재이기 때문이다. ‘또래’와 ‘청자’의 표지가 약화되면서 청중의 범위가 확장되자, 여성민 요는 과거의 공통된 경험을 호명하고 윤색하여 전달할 수 있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통로로서 기능했다. 여성민요를 구연하는 가창자는 ‘기억’이 라는 능력을 활용하여 과거의 경험을 재구해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보 유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동체의 인정과 지지를 받고 있었다. 여성민요를 구연하는 여성 소리꾼이 마을 공동체에서 가지는 위상의 변화와 함께, 여성민요의 현재적 소통의 또 다른 일면은 노래가 가진 기능 의 재발견에서 찾을 수 있다. 여성 홀로 혹은 같은 경험을 공유한 또래 여 성이 자신의 경험을 투영하여 구연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여성민요는 여 성들의 유희의 현장에서 혹은 공동 노동의 현장에서 흥을 북돋우기 위해 구연되고 있었다. 노래가 갖고 있는 서사적 요소는 여성으로서의 그들의 공감과 흥미를 자극함으로써 유행가보다도 더욱 강력한 전승력을 갖출 수 있게 하였으며, 음악적 변주를 통해 흥미 요소는 더욱 극대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folk song is being transmitted at present time in which farming community that was the base of sharing folk song has been broken up by examining the an aspect of the present communication and transmission filed of folk song. Currently, narration of Sijipsali song is showing an aspect of many branches that cannot be defined only by ‘closed nature’ because of various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song such as changes in women’s social status, changes in women’s status within village community and changes in method of labor. This paper sought to capture an aspect of various branches of aspects revealed while narrating and transmitting Sijipsali song for present communication method of Sijipsali song to ultimately examine the value of folk song at present point in time, as well as the method of transmitting Sijipsali song that can be realized focusing on village community. In traditional society, Sijipsali song was narrated in the method of further reinforcing tragic sentiment by equating the subject of statement contents and the subject of statement behavior. In the current communication field, tragic sentiment was being othernized. Through othering, narration of Sijipsali song was becoming a tool for self-display or playing a role of cheering up excitement during joint labor or in the field of amusement. Through the meshing of such change in song culture and the environmental factor of women’s social status change, Sijipsali song was not only being narrated in ‘open space’ but also functioning as a tool for exercising ‘central force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