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근린공원에 대한 환경지각이 이용자의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박영은,이우성,정성관,박경훈,Park, Young-Eun,Lee, Woo-Sung,Jung, Sung-Gwan,Park, Kyung-H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근린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공원지각환경이 건강증진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의 8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별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공원별 공원지각환경에서는 대부분의 공원이 집에서 공원까지의 거리와 집에서 공원까지의 길 환경이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다양한 볼거리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23개의 지각환경 변수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경관성, 안락성, 접근성, 활동성, 편의성, 쾌적성의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토대로 건강증진인식과 지각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8개 공원 중 4개 공원에서 지각환경요인이 신체적 건강증진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접근성과 활동성이 3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적 건강증진인식의 경우, 8개 공원 중 5개 공원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접근성이 4개의 공원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기존의 공원 환경을 개선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고자 할 때 효율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s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This study used objective field survey data and subjective user survey data at 8 ne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erceptions of distance and street environment from home to park were evaluated highly but the perception of water spaces and various attractions within the parks were rated lowly in most of park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23 environmental perception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such as scenery, comfort, accessibility, activity, convenience and amenity. For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s and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based on 6 factors, the recognition of physic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4 parks among 8 parks. 'Accessibility' and 'activity' were analyzed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3 parks. Also, recognition of mental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from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n 5 parks among 8 parks and especially 'accessibility' was showed as the significant factor in 4 park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the present parks and can be a basic data for new park development.

      • KCI등재

        노인의 공원이용 활성화를 위한 공원환경 평가지표 선정 및 환경 인식 분석-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박영은 ( Park Youngeun ),이우성 ( Lee Woos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근린공원은 노인이 경제적 부담 없이 손쉽게 접근하여 다양한 신체활동을 실행할 수 있는 장소이며, 체력 증진 및 건강 유지가 이루어지는 도시시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많은 공원은 설계자의 주관적이고 일률적인 공원설계 기준에 의해 조성되어 있어 노인들이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건강 유지 장소로서의 근린공원 이용 활성화를 위해 공원환경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대구광역시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적용하여 노인의 공원환경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공원환경 인식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지는 노인인구비율이 14% 이상인 대구광역시 중구, 동구, 남구, 서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공원은 행정구별 1개의 근린공원을 선정하였다. 공원환경 평가지표의 선정은 총 10편의 선행연구 고찰 및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설문데이터의 분석에는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T-검정 및 F-검정(Scheffe 검증)이 활용되었다. (결과) 노인의 관점에서 공원환경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다양한 운동시설’, ‘운동시설의 안전성’, ‘충분한 휴게시설’, ‘휴게시설의 안락함’ 등 총 20개 지표가 선정되었다. 설문에 의해 수집된 290개 데이터를 통해 노인의 공원환경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원까지의 거리’, ‘충분한 녹지면적’, ‘충분한 그늘’, ‘이동의 무장애성’ 등의 지표가 4.0점 이상으로 높은 환경 수준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원예활동지원 공간’, ‘다양한 볼거리’, ‘복지시설과의 연계’ 등의 지표는 3.2점 이하의 낮은 환경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공원환경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공원환경 인식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남성보다 여성이 전반적인 공원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60대는 동적 시설에 대한 인식이, 80대는 정적 시설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은 노인인구 밀집지역의 근린공원 리모델링 사업, 주변 환경 개선 사업 등을 진행코자 할 경우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Neighborhood parks are places where the elderly can easily access and perform various physical activities without without financial burden and are urban facilities where they can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maintain health. However, many parks in Korea are buil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and uniform design standards of the landscape designers, so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for the elderly to use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assessment indicators in order promote park use the elderly as a place for maintaining health,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ark environment by applying the indicators targeting the neighborhood park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a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ethod) The study areas were Jung-gu, Dong-gu, Nam-gu, and Seo-gu of Daegu, where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was 14% or more and one neighborhood park was selected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park environment were selected based on 10 previous studies and brainstorming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rounds for the elderl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F-test (Scheffe’s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data. (Results) Through the review and brainstorming related to the park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lderly, a total of 20 indicators were selected such as 'various exercise facilities', 'safety of exercise facilities', 'enough resting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resting facil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s park environment based on the 290 survey data, the indicators such as 'distance to the park', 'area of green space', 'shade by trees', and 'convenience of walk' had a high environmental level of 4.0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indicators such as 'horticultural support space', 'various attractions', and 'linkage with welfare facilities' were evaluated at a low environmental level of 3.2 points or les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a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group,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analyz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omen rather than men perceived the overall park environment more positively. Those in their 60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dynamic facilities and those in their 80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tatic facilities.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basic data to carry out a remodeling for a neighborhood park or a project for improvi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in the elderly concentration area.

      • KCI우수등재

        거주지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대상으로 -

        이우성,정성관,박영은,Lee, Woo-Sung,Jung, Sung-Gwan,Park, Young-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6

        본 연구는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 유무에 따른 거주지 주변 환경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거주지 환경인식특성이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공원 및 유원지로 설정하였으며, 총 303명의 설문응답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총 16개의 물리적 환경인식 지표들 중 시장 및 상가시설의 접근성, 대중교통의 이용성,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 충분한 보도,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 운동인구를 포함한 6개의 지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을 이용할 확률은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2.326배, 주변에 운동하는 인구가 많을수록 1.701배,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가 적을수록 1.617배, 충분한 보도가 설치되어 있다고 인식할수록 1.64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주변에 이용 가능한 공원녹지를 확대하고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주거지와 공원을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도로를 계획하는 등 보행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The study area is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based on questionnaires of 303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s of accessibility to a marketplace, availability of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to the park, enough sidewalks, number of crosswalks, and athletic population. The probability of park use increased by 2.326 times as the satisfaction of accessibility to the park increased. Also, greater athletic population, fewer crosswalks, and more sidewalks lead to increase of park use by 1.701, 1.617, and 1.642 time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vailable neighborhood parks around residences and to develop exercise programs that people can use continuously in order to vitalize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alking such as development of pedestrian streets or malls between residences and parks.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의 크라우드소싱 캠페인 효과 탐색: 지각된 동기와 크라우드소싱 유형의 조직-공중 대화적 커뮤니케이션, 태도, 기업 참여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은(Young Eun Park),강지영(Ji Young Kang),김경진(Kyung Jin Kim),강현숙(Hyun Sook Ka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63 No.1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과 조직의 크라우드소싱 활동(공모전, 서포터즈)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론적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활동이 대학생들의 조직 평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실무적인 함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인인 지각된 크라우드소싱 실행 동기와 크라우드소싱 유형의 효과가 매개변인인 조직-공중 대화적 커뮤니케이션과 종속변인인 조직에 대한 태도, 기업참여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지각된 크라우드소싱 실행 동기: 이타적 vs. 이기적) × 2(크라우드소싱 타입: 서포터즈 vs. 공모전) 피험자 간 무작위 실험을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이기적인 동기보다 이타적인 크라우드소싱 동기가 인지되는 경우,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었고, 조직과 관련된 참여 행동 의도(취업 의도, 봉사 참여 의도, 투자 의도)가 높아졌다. 또한, 조직-공중 대화적 커뮤니케이션 요인인 기초성과 접근성은 지각된 동기와 태도, 지각된 동기와 참여 행동 의도 사이를 병렬적 구조로 매개하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반면, 크라우드소싱 유형(서포터즈/공모전)을 비교하였을 때, 유형에 따른 태도나 행동 의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 대상의 대표적인 조직의 크라우드소싱 활동인 서포터즈와 공모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크라우드소싱 프로그램의 실행 동기가 이타적으로 인지되어야 긍정적인 태도와 참여 및 지원 의사를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크라우드소싱과 같은 참여형 캠페인을 실행하는 경우 동기 해석에 방점을 두어 메시지와 혜택 등을 구성해야 함을 제안한다. There needs to be a more systematic analysis and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crowdsourcing activities (idea contests vs. supporters) whil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ctively practice crowdsourcing target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crowdsourcing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organizational evalua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We designed a 2 (perceived crowdsourcing type: altruistic vs. selfish) × 2 (crowdsourcing type: contest vs. supporters) between subjects randomized experiment to find out the effect of perceived crowdsourcing motive, and crowdsourcing types on dependent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public dialogic communication,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When an altruistic crowdsourcing motive was perceived rather than a selfish moti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was formed,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related to the organization (employment intention, volunteer intention, investment intention) increased. In addition, we confirm that grounding and accessibility, which are organizational-public dialogic communication factors, mediate perceived motives and attitudes and perceived motives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in a parallel structure. 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crowdsourcing types (supporters vs. idea contes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titudes or participation intention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sts and supporters programs, the inferred motive of crowdsourcing should be altruistic. It is also suggested that messages focus on delivering altruistic motives in dealing with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한-카자흐스탄 문화협력을 통한 박근혜 정부의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제언

        박영은(Park, Young-E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9 No.-

        본고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4대 국정운영 기조의 하나로 내세운 ‘문화융성’의 실질적 추진이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을 위한 로드맵으로 적용 · 확대하기를 제안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가 제시한 인문정신으로 문화융성의 길을 열기 위한 7대 중점과제 가운데 ‘인문정신문화 분야 국제교류 활성화’는 카자흐스탄과의 문화교류와 협력을 위한 실천 과제에도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금까지 한 · 카 문화협력에서의 문제점을 직시하는 동시에 한국과 카자흐스탄 역사의 접점이 될 수 있는 인문정신 부여가 현 정부의 문화융성 슬로건에 상응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이며, 이것이 어떤 새로운 문화렵력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박근혜 정부가 진정으로 문화융성과 인문정신 부활을 원한다면 어떤 가치를 지켜야 할지, 특히 이것이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 매개점으로 언급하는 고려인에 대한 재인식과 그들의 삶이 예술로 승화한 현장을 어떻게 복원시킬 수 있는지를 고심했다. 더 나아가 카자흐스탄과의 교류에 있어서 한류의 인기에 힘입어 《주몽》이 나 《대장금》 같은 인기 드라마 몇 편이나 K-POP에 의존해 정부 주도로 노력해야 하는 협력 또는 지원을 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우려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현 실상을 짚어보고 문화렵력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우리 정부는 양국의 국제협력을 관행적으로 친선방문이나 문화교류 정도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한-카자흐스탄 문화 협력에 대한 가치 있는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며 유라시아 시대를 맞이한 한-카자흐스탄의 교육 협력 추진,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체계적 연구 및 예술인들을 위한 필드 스테이션(Field Station) 구축, 고려인들의 구전자료 및 창작자료에 대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아카이브 작업,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역사문화 기념사업과 OSMU 결합 방식 모색으로 박근혜 정부의 ‘인문정신문화’ 확산과 카자흐스탄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The concept of promoting a humanistic and cultural ethos can be applied to Korean-Kazak cultural cooperation, since the life and art of Koryo-ins in Kazakhstan share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the humanistic and cultural ethos that Korea is trying to promote. For the sake of Korea’s own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it is crucial for us as well to understand the history, culture and art of the Koryo-ins. It is hoped that the Park administration’s cultural policies will be implemented in a way through which the Korea-Kazak relationship can grow stronger, and in this sens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1)Korean-Kazak educational cooperation in the ‘Eurasia era’, 2)systematic research on the Koryo-in diaspora literature, and creation of ‘field stations’ for artists, 3)digital archiving of oral and creative records of the Koryo-ins, 4)commemorative historical projects between Korea and Kazakhstan, and the one source multi-use concept. The Park administration has prepared a variety of education and other programs to spread the liberal arts spirit in our society, and to enrich the national culture in the longer term. This approach that has just been implemented in Korea needs to be promoted outside of Korea as well by creating synergies with the government’s ‘Eurasia Initiative.’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 should pay greater attention to another form of our history, culture and art that has blossomed in Kazakhstan.

      • KCI등재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솔라리스 (Solaris)〉에 투사된 자연철학관의 영상화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4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솔라리스〉(1972)는 폴란드의 공상과학 소설가 스타니슬라프 렘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 준 소설 『솔라리스』를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영화 〈솔라리스〉를 소설과 비교하면서 감독의 지향점을 찾으려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원작자와의 쉽지 않은 관계를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소설을 의도적으로 변형시켰던 감독의 노력을 재해석할 때, 영상으로 표출된 타르코프스키의 세계관을 보다 분명히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우주공간의 길항관계를 의식하는 그의 가치관 분석을 토대로 SF작품을 인간에 대한 철학적 명상으로 변형시킨 그의 자연 철학관을 규명하였다. 타르코프스키는 솔라리스 바다가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렘의 소설을 원용함으로써 물질과 마음, 마음과 의식 사이의 관계를 부각시켰다. 그는 물질을 잠자고 있는 정신의 일종으로 보며 이 문제를 통해 과학과 윤리의 문제를 환기시켰던 것이다. 또한 영화 〈솔라리스〉는 우주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렘이 시도했던 SF 소설의 특성을 희석시키고 있다. 소비에트의 화려한 우주시대를 위한 서막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향하면서 인간이라는 미시적 대상과 우주공간이라는 거시적 세계의 상호소통을 형상화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영화에서 켈빈이 솔라리스로 떠난 여행은 우주로 향하는 여행이라기보다는 잃어버린 자신을 되찾는 내면으로의 여행이었다. 타르코프스키는 ‘인간 마음’과 ‘우주’가 상응한다는 관점을 켈빈이 양심의 고통을 통해 사랑을 회복하고 지구로 돌아오는 장면으로 치환시키는 플롯 설정으로 표현했던 것이다. Andrey Tarkovsky's movie 〈Solaris〉 is based on the novel of the same title, which gives Stanislaw Lem, a renowned polish science fiction writer, worldwide fame. Despite of the fact that there exists big difference between the movie created by Tarkovsky and the novel by Lem, it is hardly found to inspect the director's purpos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artistic creations. What we must take to find the director's goal is to investigate why he makes drastic modification for the author's original text, in spite of anticipating Lem's disagreement. It helps us finding Tarkovsky's Weltanschauung, which is artistically presented in the movie. Tarkovsky raises a relationship between not only the matter and the mind, but also the spirit and the consciousness by using Lem's text describing that the sea of Solaris has senses of the animate creation. Regarding the matter as a sort of sleeping mind, Tarkovsky arouses public opinion on the point at issue, the question of science and morals. He, furthermore, weakens the characteristic of Lem's original text of Science Fiction, although his 〈Solaris〉 is a movie with a cosmic space setting. What Tarkovsky tried to give shape to his movie is not the praise for glorious beginning of the Soviet cosmic era, but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subjects of microcosm and of macrocosm, the man and the cosmic space. Kelvin's journey to the Solaris is finally turned out to be that of the inside to find lost self. Tarkovsky makes attempt to unite and harmonize the microcosm and the macrocosm by using the scenes of Kelvin's restoration of love and of returning to the earth. Likewise, Tarkovsky's Weltanschauung, considering the relation of rivalry between the man and the nature as well as the man and the cosmos,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nature philosophy.

      • KCI등재

        한-우즈베키스탄 영상문화협력 현황 및 영화테마 발굴과 진흥을 위한 제언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2

        1992년에 한국과 외교관계가 수립된 우즈베키스탄은 실크로드의 중심지이자 고려인 동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중앙아시아 국가로서, 문재인 정부에서도 신(新)북방정책의 중요한 파트너이다.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이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한국과의 정신적 유대가 중요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양국의 문화협력을 위한 문재인 정부만의 로드맵이나 청사진은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제는 한류의 인기에 힘입어 인기 드라마 몇 편이나 K-POP에 의존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견인해 나가야 하는 노력과 지원은 무엇인지 성찰할 시점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문화협력 및 양질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가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인식하에, 양국의 영화 공동제작이 주요 이정표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양국 문화협력의 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일차적인 작업으로 구소련 독립 후 우즈베키스탄의 영화제작 현황과 현재까지 한국 영화인들과의 합작 영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양국의 공동 영화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리, 즉 양국 역사에서 이들이 빚어낸 공동의 스토리를 재조명하려는 노력 역시 배가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이런 맥락에서 〈알파미시〉와 같은 실크로드를 배경으로 한 우즈베키스탄의 신화·전설을 가공한 영화 소재 발굴 및 ‘신순남’이나 ‘김해운’과 같이 우즈베키스탄에서 살았던 고려인 문예인들의 삶과 예술을 기록하는 영화 소재 발굴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이 그간 펼쳐온 문화외교가 향후에도 진일보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단선적이며 일방향적 문화전달에서는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본고에서 제안하는 양국의 공동 영화제작은 스토리 선정부터 제작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 시도 자체만으로도 양국의 협력사에서 문화브랜드 창조와 경제적 가치를 결합시킨 하나의 전환점으로 기록될 것이다. 과거의 문화자산에서 미래의 문화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영상 콘텐츠의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기 때문이다. Uzbekistan, which first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Korea in 1992, was the heartland of the Silk Road trade in the past and the Central Asian country with the most Korean compatriots. Accordingly, the country is also an important partner for the northern policy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under President Moon. This study began from the critical view on the lack of a roadmap or a blueprint toward cultural collaboration unique to the Korean government despite Uzbekistan sharing such strong ties with Korea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It is time to introspect on the question whether the government is lacking initiative and support by being too dependent on a few popular dramas and K-POP from the wake of the Korean Wave. Accordingly, from the pretense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more initiative in cultural cooperation and quality contents development between the two nations, this study emphasizes joint film production as a potential major milestone toward such cause. Furthermore, as the first step toward the improvement of the two nations’ current cultural cooperation, the study observes the status of film production since the independence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 joint films produced with Korean filmmakers up to now. In addition, the study also urges more efforts toward stories which enable joint film production, that is bringing new light to stories of cooperation in the past history of the two nations. In this context, relevant and specific ideas are presented in search of film subject matter such as the production of Uzbekistan’s myth/legend of 〈Alpamysh〉 rooted in the Silk Road and records related to the life and art of Goryeo people who lived in Uzbekistan such as “Shin Sun-nam” or “Kim Hae-wun”. In order for Korea and Uzbekistan to take a major step forward in terms of cultural diplomacy,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a unilinear and single-sided cultural dissemination. Although the joint film production between the two nations proposed here will take quite a bit of time from the selection of story to the actual production, such attempt will become the turning point which can result in the synergy of new cultural brand and economic value between the two nations’ collaborating partners. The true power of video contents in the making of future cultural values from past cultural assets can never be emphasized enough.

      • KCI등재

        자먀찐의 소설『우리들』의 국제성과 예술적 반향

        박영은(Park Young E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1

        학문과 종교와 예술의 독단화가 ‘사고의 엔트로피’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보았던 자먀찐의 우려는 인간의 정신을 반영하는 ‘언어’에서 일차적으로 부각된다. 권력으로 자기 의지를 관철하려는 사람들은 물리력을 쓰기 전에 먼저 언어를 장악하여, 인간의 ‘정신’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우리들』에 나타난 ‘화석화된 언어’라는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언어를 통한 ‘사상’ 통제, ‘과거’ 통제, ‘예술’ 통제의 양상이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와 조지 오웰의 『1984』등의 디스토피아 문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자먀찐은 인류의 과거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통해 미래를 직시하면서, 언어의 상징성과 심미성을 지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다했던 작가였다. 또한 자신의 언어관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그가 『우리들』에서 구축한 다양한 ‘언어 패러다임’은 『멋진 신세계』와 『1984』와 같은 작품에 영향을 주어 ‘문학의 국제화’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The warning of E. Zamiatin who considered that the arbitrary decision and execution in science, religion, and art would bring out the entrophy of thought appears at first on the field of ‘language’. It is because the man carrying out his dictatorial will primarily controls the language in order to sway the world under his governance. In this respec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We on the literature of dystopia such as Brave New World and 1984 focusing the control over ‘ideology’, ‘the past’, and ‘art’ in the medium of the language control in the society. It is common for the authors of anti-utopia, such as E. Zamiatin, A. Huxley, and J. Orwell, to regard the language control as the most effective weapon for censorship of human thought. The language simply falls into a set of brainwashing tools in the highly civilized societies of the above-mentioned works. The phrase "petrifaction of language" contains the meaning that the spiritual heritage of human history cease to exist together with the petrified language. In the above-mentioned three works, the mode of discontinuation dominated as the usage of language differentiated from the past. As is well-known E. Zamiatin, J. Orwell, and A. Huxley are the authors of devotion to science and Western civilization. However, they give us a warning out of recognition that the science without considering humanity is danger itself and, therefore, they try for us to see it in a new light. Although it was possible that they were in anticipation of the tragic future of both human beings and literature by the result of the scientific development, it is far from meaning that they were against the advance of science. Furthermore, they are the literati who are able to find a new meaning of imagination through science and to defend the original function of literature. The importance of E. Zamiatin’s novel We lies in the fact that it has provided the basic structural paradigm of language for the after coming writers of dystop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