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화학을 이용한 실리콘 표면상으로 기능성 물질의 공간 선택적 고정화 연구

        박수현,아칠성,김규원,Park, Soo-Hyoun,Ah, Chil-Seong,Kim, Kyu-Won 한국전기화학회 2009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2 No.1

        실리콘 표면을 전기화학적으로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표면에만 선택적으로 단백질이나 나노입자 등의 기능성 물질을 고정화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Carboxymethylbenzendiazonium (CMBD) 양이온을 전기화학적 환원반응을 통해 고정하여 실리콘 표면을 활성화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활성화 된 표면에서만 기능성 물질이 고정된 것을 확인함을 통하여 CMBD 양이온의 사용이 선택적 고정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보였다. 나아가 이 방법을 응용하여 실리콘 나노소자에 탑재된 실리콘 나노선 어레이 중 선택된 나노선의 표면만을 활성화하고 금 나노입자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We present a method for spatially selective immobiliz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proteins and nanoparticles, onto pre-activated silicon surfaces by electrochemical reaction. Carboxymethylbenzendiazonium (CMBD) cations, being adsorbable on silicon surfaces through electrochemically reductive deposition, is used as an anchor molecule to prepare the pre-activated silicon surface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use of BD reaction is very efficient for the selective immobilization because the functional materials are immobilized exclusively onto the pre-adsorbed CMBD region. The method is applied to immobilize gold nanoparticles on the selected nanowire of the nanowire array.

      • SCOPUSKCI등재

        Interaction between norepinephrine and angiotensin II on Na<sup>+</sup>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박수현,고현주,한호재,Park, Soo-hyun,Koh, Hyun-ju,Han, Ho-jae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1998 大韓獸醫學會誌 Vol.38 No.3

        신장 근위세뇨관세포들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의 재흡수, 분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들의 수용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서 norepinephrine(NE)과 angiotensin II(ANG II)는 $Na^{+}/H^+$ 상호운반계를 조절함으로써 혈압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상호관계에 대해선 연구보고가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초대배양한 토끼신장 근위세뇨관세포를 이용한 $Na^+$ uptake 실험을 통하여 NE이 어떠한 수용체를 통하여 $Na^{+}/H^+$ 상호운반계를 조절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작용에 있어서 NE과 ANG II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NE(>$10^{-9}M$)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10^{-9}M$ NE : $27{\pm}4%$ increase vs. Control;p < 0.05). $\alpha$ 길항제(phentolamine, $10^{-10}M$)는 NE($10^{-9}M$)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으나 (phentolamine+NE : $29{\pm}5%$ inhibition vs. NE ; p〈 0.05), ${\alpha}_1$ (pra-zosin, $10^{-10}M$) 및 ${\alpha}_2$ 길항제(yohimbine, $10^{-10}M$)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였다. ${\beta}$ 길항제(propra-nolol, $10^{-10}M$)도 역시 NE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으나(propranolol+NE : $24{\pm}6%$ inhibition vs. NE ; p< 0.05), ${\beta}_1$(atenolol, $10^{-10}M$) 및 ${\beta}_2$ 길항제(butoxamine, $10^{-10}M$)는 부분적으로 차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NE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 증가작용은 ${\alpha}$(${\alpha}_1$ 및 ${\alpha}_2$ )와 ${\beta}$(${\beta}_1$ 및 ${\beta}_2$) 수용체 모두를 통하여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ANG II($10^{-11}M$) 또는 NE(${\alpha}_1$, ${\alpha}_2$, ${\beta}_1$, ${\beta}_2$ 작동제) 단독처리군의 $Na^+$ uptake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나 (ANG II : $23{\pm}9%$ increase vs. Control; p < 0.05), 병합처리시 상승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alpha}$ 또는 ${\beta}$ 길항제 처리시 NE 및 ANG II에 의해 유도되었던 $Na^+$ uptake 증가는 유의성 있게 차단되었다(phentolamine+NE+ANG II : $25{\pm}3%$ inhibition, propranolol+NE+ANG II : $24{\pm}6%$ inhibition vs. NE+ANG II, respectively ; p〈 0.05). 이 결과들은 $Na^+$ uptake에 있어서 ${\alpha}$(${\alpha}_1$ 및 ${\alpha}_2$)와 ${\beta}$(${\beta}_1$ 및 ${\beta}_2$) 수용체와 ANG II의 관련성을 시사해 준다. 결론적으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NE은 ${\alpha}_1$, ${\alpha}_2$, ${\beta}_1$ 및 ${\beta}_2$ 수용체를 통하여 $Na^+$+ uptake를 증가시켰으며 이들 수용체는 ANG II $Na^+$ uptake 증가작용에 관여하였다.

      • KCI등재

        한국십진분류법 기록관리학 분야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박수현,이명규,Park, Su-Hyun,Lee, Myoung-Gyu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3

        기록관리학이 독자적인 학문영역으로 발전해가고 있다. 하지만 KDC를 비롯한 기존의 문헌분류표에서는 분류 항목 배열이 기록관리학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분류항목의 전개가 불합리한 부분이 있으며, 주제영역별 세목전개의 재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록관리학의 학문 특성에 따라 주제영역을 기록관리 일반, 기록관리 법 정책, 기록물의 수집 선별 평가, 기록물의 조직, 기록정보서비스, 기록물 관리 및 보존, 기록관 운영, 기록관리 기관 등 8개 영역으로 설정하고, 현대 주요 문헌분류표인 KDC, DDC, NDC, UDC, LCC의 분류체계를 분석한 후, "대한민국 국가서지"의 기록관리학 분야 유별 자료현황 및 주제어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KDC 기록관리학 분야의 분류체계 수정 전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록관리학 관련 주제영역 8개 분야의 내용은 KDC 028로 통합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is being developed its own independent domains. However, the existing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 such as the KDC don't proper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This classification scheme has the irrational part of the arrangement of the subject items and should be required to rearrange subdivision of the subject areas.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It is set up 8 subject areas, Records Management (General), the law and polices of records management, the collection and appraisal of the records, the documentary organization, recording information services, preservation of the records, archives management, archives and records center, etc. After analyzing the major contemporary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such as KDC, DDC, NDC, UDC, LCC, then It is suggested that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analyzing classification status and keywords of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data contained in Korean National Bibliography. I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udies, The contents of the eight subject areas related to the field are changed to allow integration with KDC 028.

      • KCI등재

        U-Home Healthcare를 위한 분산객체 미들웨어의 설계 및 구현

        박수현,Park Su-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8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의료와 컴퓨터 기술을 결합하여 온라인상에서 언제, 어디서나, 휴대 가능한 헬스케어(Healthcare) 장비와 유 무선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생체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단 및 응급상황 인지가 가능한 U-헬스케어(Ubiquitous Healthcare) 시스템이 생겨났다. U-헬스케어 시스템은 기존의 의료 환경에서와는 달리, 사용자(환자, 보호자, 의료인등)들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게 되고, 당연히 헬스케어 장비들은 통합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동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분산 객체를 이용한 U-홈 헬스케어 미들웨어를 설계하였고, 다양한 헬스케어 장비들로부터 발생되는 생체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객체를 구현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U-healtcare middleware that is based on mininumCORBA.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technologies of computer system and medical system. This makes available that the person can receive medical treatment anywhere, anytime at on-line. The Healthcare devices are connected to network system as wire or wireless internet. So, the computer system can gather the vital information from the person at the real time and transfers the information to the server system that processes the medical information. When a medical doctor makes a diagnosis they can get mor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by using the information within the server. Users would like to receive more services in the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than the traditional medical system. And in U-healthcare system, every healthcare devices and the users have to be connected to network system and the information from them has to be integrated. U-Home Healthcare middleware I proposed in this paper will do everything that I mentioned above.

      • KCI등재

        Mesangial 세포에서 고포도당에 의한 IGFs 분비와 PKC 및 산화성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수현,허정선,강창원,한호재,Park, Su-hyun,Heo, Jung-sun,Kang, Chang-won,Han, Ho-jae 대한수의학회 2004 大韓獸醫學會誌 Vol.44 No.4

        The proliferation of mesangial cells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diabetic nephropathy. The cell proliferation has been regulated by diverse growth factors. Among them, insulin like growth factors(IGFs) are also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nephropathy. However, it is not yet known about the effect of high glucose on IGF-I and IGF-II secre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glucose-induced secretion of IGFs and PKC or oxidative stress in the mesangial cells. Thus, we examined the mechanisms by which high glucose regulates secretion of IGFs in mesangial cells. High glucose(25 mM) increased IGF-I and IGF-II secretion. High glucose-induced increase of IGF-I and IGF-II secretion were blocked by taurine($2{\times}10^{-3}$ M), N-acetyl cystein(NAC, $10^{-5}M$), or GSH($10^{-5}M$) (antioxidants), suggesting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High glucose-induced secretion of IGF-I and IGF-II were blocked by H-7, staurosporine, and bisindolylmaleimide I(protein kinase C inhibitors). On the other hand, high glucose also increased lipid peroxide (LPO) forma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high glucoseinduced stimulation of LPO formation was blocked by PKC inhibi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KC is responsible for the increase of oxidative stress in the action of high glucose-induced secretion of IGF-I and IGF-II in mesangial cells. In conclusion, high glucose stimulates IGF-I and IGF-II secretion via PKCoxidative stress signal pathways in mesangial cells.

      • KCI등재

        아바타의 공간 정보를 이용한 가상세계 커뮤니케이션 프레임워크

        박수현,지승현,류동성,조환규,Park, Soo-Hyun,Ji, Seung-Hyun,Ryu, Dong-Sung,Cho, Hwan-Gue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12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고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들이 생겨남에 따라 사람들 간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방식도 크게 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유행하고 있는 3차원 가상현실 세계를 이용한 다양한 채팅서비스들은 사용자가 대화 내용을 이해하기 쉽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현재도 꾸준히 발달하고 있으며, 현실성과 흥미를 더하기 위한 많은 기법들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3차원 가상현실 세계는 점점 더 발달하고 있는데 비해 채팅 방식은 2차원의 대화창이나 말풍선을 이용하고 있어 현실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화를 주는데 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실제 세계에서의 대화 방식에 기반을 둔 가상 세계 커뮤니케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커뮤니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사용자들 간의 시점과 거리 등 3차원의 공간 정보를 고려하여 현실세계와 유사한 대화방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공적인 채팅 기법이나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면서 가상현실 세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대화 내용 기록 방식에서 사용된 시간 정보와 함께 아바타의 공간 정보까지 고려함으로써 대화간의 질문/답변 관계를 그래프의 형태로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가상 세계 내의 대화 내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Computing technologies are extending the means by which people communicate. Especially, virtual worlds have recently become successful, due to rapidly improving Information Technologies. Chat is a crucial function in current virtual worlds. We need a realistic and efficient communication framework for multi-agents participating in a virtual world. The main contribution of our work is twofold. First, we propose a realistic communication framework which enables 'Complete Talk' and 'Partial Talk' in terms of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avatar agents. Second, our system reconstructs a dialogue graph which maintains all transcripts in the form of directed graphs with temporal(dialogue sequences) and spatial information(physical positions) about communicating agents.

      • KCI등재

        양막을 이용한 각막 간질세포의 배양과 중배엽 줄기세포의 분화유도

        박수현,전연숙,김재찬.Soo Hyun Park. MS. Yeoun Sook Chun. MD. PhD. Jae Chan Kim.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0 대한안과학회지 Vol.51 No.12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d rabbit corneal keratocytes in vitro and evaluate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to keratocytes using the keratocyte conditioned medium (KCM). Methods: Isolated keratocytes were seeded on the stromal side of amniotic membranes (AM) or plastic dishes, and morphologic changes were evaluated. Rabbit mesenchymal stem cells were cultured on AM with α-MEM (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 and KCM.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of specific keratocyte markers (keratocan, lumican, and aldehyde dehydrogenase family, member A1 (ALDH1A1)) of cultured cells were evaluated by RT-PCR. Results: Keratocytes on AM showed dendritic morphology with slow proliferation in contrast, cells on dishes were stellate in shape with fast proliferation. Cultured keratocytes on AM maintained the expression of keratocan, lumican and ALDH1A1 while keratocytes on plastic dishes steadily lost their keratocyte marker gene expression. Additionally, mesenchymal stem cells cultured with KCM on AM induced expression of keratocan and ALDH1A1. Conclusions: Keratocytes cultured on AM stromal matrix maintained their characteristic morphology and marker gene expression. Morphology changes and marker gene expressions of mesenchymal stem cells suggest an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keratocytes when grown on AM with KCM.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2):1652-1658

      • KCI등재

        패션 브랜드의 기술·문화 융합과 지속가능 경영 활동에 따른 지속가능성 평가연구

        박수현,고은주,Park, Suhyun,Ko, Eunju 한국의류산업학회 2017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9 No.2

        In the context of the convergence revolution that brings together culture, technology, and humanities, the fashion industry is aiming to form product strategies to create added value. The ultimate aim of these strategies is to satisfy consumers' diverse needs. Boosted by discussions on sustainability in the fashion industry,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are also emerging as a trend in product strateg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together as drivers of fashion brands' product strategie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ustainability evaluation by product strategy, (2) to determine how sustainability evaluation affect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3) to identify how this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ustainability evaluation varies according to fashion brands' product strategy. Second, evalu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previous research for combining fashion brands'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as a part of their product strategy,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positive consumer responses on the marketing level. Moreover,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ashion brands that enable them to establish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regarding to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 KCI등재

        C<sub>12</sub>A<sub>7</sub>계(系) 슬래그를 사용(使用)한 수축저감제(收縮低減劑)의 혼합재(混合材) 함량(含量)에 따른 특성(特性)

        박수현,추용식,서성관,박재완,Park, Soo Hyun,Chu, Yong Sik,Seo, Sung Kwan,Park, Jae Wa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6

        In this Study, it was fabricated that shrinkage reducing agent and mortar used $C_{12}A_7$-based slag enhanced the shrinkage reduction and compressive strength. To reduce cement content, setting time, flow and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with varying content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were experimented. The flow increased and setting time delayed as the increase of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content. And early strength was lower and long age strength was higher than that of mortar with low content of admixture. 본 연구에서는 수축저감 효과를 높이고,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C_{12}A_7$계 슬래그를 사용한 수축저감제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또한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의 함량을 변화시킨 모르타르의 응결시간, 플로우,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 함량이 증가할수록 플로우 값이 증가하였고, 응결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혼합재 함량 증가에 따라 초기재령에서는 압축강도가 낮아지지만, 장기재령에서는 높은 압축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2단계 동적 축소법을 적용한 구조물의 위상 최적 설계

        박수현,김현기,조맹효,Park Soo-Hyun,Kim Hyun-Gi,Cho Maeng-Hyo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6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9 No.2

        위상 최적화 문제는 다양한 밀도 분포를 가지는 설계영역에서 목적함수와 요소단위의 설계 민감도의 반복적인 계산을 요구한다. 최근 제안된 2단계 축소기법은 축소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고유치 문제와 동적 문제의 해석에 정확도와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 위상 최적화 문제에서 해석 부분과 민감도 계산 부분에 2단계 동적 축소기법을 사용한다. 축소시스템에 대한 위상 최적화 결과는 축소되지 않은 전체 시스템에 대한 최적화 결과와 비교하여도 공학적으로 요구되는 정확도 범위 내에서 2단계 축소기법이 높은 정확도와 계산 효율을 보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Topology optimization problem requires numerous repeated evaluations of objective function and design sensitivity for elements within design domain with various density distributions. The recently proposed two-level condensation scheme(TLCS) is very promising for the construction of reduced system and for an accurate and efficient analysis concerned about eigenvalue and dynamic problems. We used the two-level dynamic condensation scheme for the analysis and sensitivity computation part in the structural topology optimization problem. The results of the topology optimization for the reduced system show the TLCS provides high accuracy and computa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full scale system within engineering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