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에서 혈중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s 의 변화

        박상석,박태선,송현모,백홍선,이대열 대한내분비학회 1996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1 No.1

        Backgrounds: Thyroid hormones play a fundamental role in the initiation and maintenance of somatic growth in mammalian species, and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s(IGFs) occupy a position of central importance in the growth of all tissues. To evaluate the changes in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s in hyperthyroid and hypothyroid patients, sera was obtained from 19 hyperthyroid patients, 9 hypothyroid patients, and 10 healthy volunteers. Methods: IGF-I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radioimmunoassay, and changes in IGFBPs were assesed by Western Ligand Blotting. To evaluate the binding pattern of IGF-I & IGFBPs, autoradiographs were obtained. Results & Conclusion: IGF-I level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hyperthyroid patients(mean ± SE, 267.88±19.80 ng/ml, p$lt;0.05)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hypothyroid patients(154.81±11.43 ng/ml, p $lt;0.01) compaired to healthy control group(209.45±8.60 ng/ml). Autoradiograph of serum IGFBPs from patients wiyperthyroidism and hypothyroidism did not show any change in the intensity of IGFBP-3 bands(40-45 KD) and IGFBP-1 bands, but in hyperthyroid patients, it showed increased intensity of IGFBP-2 band compared to healthy control group and hypothyroid patients(1 Kor Soc Endocrinol 11:52-60, 1996).

      • 경기관지 생검으로 진단된 2 차성 BOOP 1예

        박상석,이용철,이양근,이동근 의과학연구소 1996 全北醫大論文集 Vol.20 No.1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BOOP) is a pulmonary disorder among the spectrum of infiltrative lung disease without apparent causes or associated diseases. Usually, transbronchial biopsy(TBB) is not recommended for the diagnosis of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and rarely reported. We report herein a patient with pulmonary disease in whom the diagnosis of BOOP was achieved by transbronchial biopsy. The radiologic findings showed a large cavity and increased linear opacities. The pathologic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BOOP patterns. Transbronchial biopsy might be a useful diagnostic method for BOOP.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글쓰기에서 발생하는 불가항력적 표절의 문제와 대안

        박상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5

        To solve the problem of plagiarism of university student, first of all we have to understand well the cause of it. Alike to the general plagiarism the attitude treating the plagiarism of university student as a ethical problem is dominant in our society. Meanwhile nowadays the standpoint looking for the cause of the plagiarism of university student in the shortage of knowledge especially about the annotation is growing. We are emphasizing in this paper that the plagiarism of university student is occurred mainly by uncontrollable reasons aside those reasons. In other words, many university students commit plagiarism by the lack of ability although they have ethical conscience and knowledge about annotation. Also there are various reasons make the lack of 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em is the authority of existing text. The university student as a beginner of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have an aptitude to be led easily by the existing text. Actually the plagiarism of university student is occurred most frequently in academic writing which have to be written by going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the existing text. So the plagiarism of university student cannot be overcome only by the education about the ethics or annotation. Above all procedural pedagogy that make the university student can complete a paper by one’s own thoughts have to be developed. As a sample of those pedagogy this paper suggest a lesson model of 3 steps. First, students write essay mainly by one’s own thoughts. Second, they examine data including existing text. Third, they complete academic essay synthesizing previous both sides. 어떠한 문제가 성공적으로 해결되기 위해서는 문제의 원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글쓰기>를 비롯한 대학 수업에서도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표절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대학생이 글을 쓰면서 표절을 하게 되는 이유를 잘 이해해야만 한다. 일반적 표절과 같이 대학생의 표절도 윤리적인 문제로 보는 시각이 지금껏 우세하다. 대학생의 표절 역시 개인의 도덕성이 부족한 탓으로 주로 돌리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근래에는 그 원인을 지식의 부족에서 찾으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남의 글을 인용할 때 주석을 통해 이를 밝혀야 한다는 사실이나 주석 기재의 구체적인 방법을 잘 몰라 대학생이 표절을 저지르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필자가 이 글에서 주장하는 바는 그러한 원인에서뿐만 아니라 대학생의 표절 상당수가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대학생은 표절이 윤리적으로 그릇된 것이라는 가책이 있으면서도, 인용과 주석에 대한 지식이 있으면서도 능력의 결핍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표절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말하는 능력이란 곧 자기 자신의 생각으로 한 편의 글을 구성하는 능력이다. 대학생으로 하여금 이런 능력의 결핍을 초래하는 원인 또한 복합적이다. 무엇보다 기존 텍스트가 갖는 권위로 인해 아직 지적 훈련이 부족한 대학생이 그에 무비판적으로 끌려가게 되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그러므로 불가항력적 표절은 기존 텍스트와의 대화를 거쳐 작성되어야만 하는 학술적 글에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한다. 대학생의 표절에 이런 불가항력적 측면이 존재하는 이상 표절은 윤리 교육이나 주석에 대한 지식 교육만으로는 극복될 수 없다. 대학생이 자기 자신의 생각에 기초해 한 편의 학술적 글을 완성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이끌어 주는 절차 중심의 교수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자신의 생각을 위주로 에세이를 먼저 작성하고, 그 다음에 자료를 수집·검토한 후, 이를 종합해 학술적 에세이로 발전시키는 수업 모델을 예시해 보았다.

      • KCI등재후보

        새로운 에폭시계 반응성 액정 단량체의 합성과 특성

        박상석,김홍민,이성준,양시영,이명훈 한국화상학회 2017 한국화상학회지 Vol.23 No.1

        방향족 에스터를 메조겐 구조로 하고 양 말단에 양이온 광중합이 가능한 에폭시 관능기가 포함된 새로운 에 폭시계 액정 단량체를 합성하였고 이의 구조를 1H-NMR, IR, 등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다. 알킬 스페이서의 길이가 다른 두 가지 액정 단량체의 액정 특성은 편광현미경과 DSC를 사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2MPBE의 TCN은 82 ℃에서 나타났고 TNI는 195 ℃에서 나타났으며, 4MPBE의 TCN은 88 ℃에서, TNI는 168 ℃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편 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액정상은 상기 액정 온도에서 Schlieren texture를 보이는 nematic 액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합성된 액정 단량체를 용매에 녹여 양이온성 광개시제로서 di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를 액정 단량체 대 비 10 wt% 가한 후 유리 기판에 스핀코팅하고 88 ℃에서 광조사를 통해 경화하여 위상지연 필름을 얻었으며, 제조 한 위상지연필름과 상업적 단량체인 RM257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위상 지연 값을 측정한 결과 각각 153.08 nm와 150.49 nm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필름의 두께와 위상지연 값으로부터 계산된 복굴절률은 (Δn) 0.172로 시판 중인 RM257(Merck 사)의 복굴절률과 비슷(Δn=0.173)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New epoxy-based reactive mesogens (RM) containing aromatic ester as a mesogenic core and cationic photo-polymerizable epoxy groups on either terminal were synthesized, and their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1H-NMR and IR spectroscopy. The liquid crystalline properties of these RMs were investigated by cross polarized microscope (XPM) and DSC, which revealed that TCN and TNI of 2MPBE were measured to be 82 and 195 ℃, respectively, while those of 4MPBE are 88 and 168 ℃, respectively. XPM observation confirmed that these liquid crystalline compounds show nematic phase with Schlieren texture. Using these RMs, retardation films were fabricated by photo-curing the spin cast mixture of RM and cationic photoinitiator (diphenyliodonium hexafluorophosphate, 10 wt%) at 88 ℃, and the retardation value was compared with that from commercial RM (RM257, Merck), which were 153.08 and 150.49 nm, respectively. From the film thickness and the retardation values, refractive index anisotropy (Δn) were calculated for the synthesized RM and RM257, which were 0.172 and 0.173, respectively.

      • KCI등재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연구 - 극단 동의 ‘행동연기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

        박상석,오진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디지털 영상기술의 발전으로 이전에는 구현하기 힘들었던 장소와 캐릭터가 영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촬영 시간과 제작비용의 절감이라는 편리성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매체에서 디지털 영상기술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제 크로마키나 모션캡처 촬영이 일반화되었으며 배우들 은 블루스크린 앞에서 가상의 대상과 교감해야 하는 생소한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이렇게 디지털 영상 기술을 사용하는 촬영방식이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연기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연기자 는 촬영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우리나라에는 디지털 연기를 위 한 훈련법이나 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디지털 연기를 위한 실질적 훈련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본 연구자가 말하는 디지털 연기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배우들이 상상의 공간을 가상해서 마치 그 공간이나 물체가 존재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을 뜻 한다. 몇몇 연구자를 통해 디지털 연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긴 했지만, 디지털 연기훈련의 필요성을 주장할 뿐 실질적인 방법에 관한 연구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는 않았다. 이제 디지털 연기훈련 방법에 대한 실질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극단 동의 ‘행동연기기술’과 강량원의 ‘뇌를 속이는 연기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을 모색하고 그 가능성을 제시했 다. ‘행동연기기술’과 ‘뇌를 속이는 연기 기술’은 가상의 대상을 상상하고 교감해야 하는 디지털 연기에 효과적인 연기 기술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 훈련법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실질적 인 훈련 방법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imaging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realize places and character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realize into images. In addition,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reducing shooting time and production cost, digital imaging technology is frequently used in video media such as movies and dramas. Chroma key and motion capture are now common, and actors are placed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where they have to interact with virtual objects in front of a blue screen. In a situation where filming methods using digital imaging technology are becoming more common, actors who are not familiar with digital acting techniques have no choice but to experience difficulties at the filming site.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 training method or education system for digital acting in Korea yet. Therefore, this researcher thinks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actical training methods for digital acting. Here, the researcher's digital acting means that actors use computer graphic technology to simulate an imaginary space and express it as if the space or object exists. Although studies on digital acting have been conducted by some researchers, studies on practical methods have not been dealt with in depth, only arguing the necessity of digital acting training. Now, practical and in-depth research on digital acting training methods is needed. Accordingly, this researcher sought an acting training method for digital acting based on ‘behavioral acting technique’ of Theater Compay Dong and ‘acting technique of tricking the brain’ of Kang, Lyang-w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Behavioral acting technique’ and ‘acting technique that tricks the brain’ are effective acting techniques for digital acting that requires imagining and interacting with virtual objec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cting training methods for digital acting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seek practical train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