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담관 결석을 동반한 이중 담낭 1예

        박낙순,이홍식,김지훈,이동훈,김은선,김영진,박은범,김진남,구자설,이상우,최재현,김창덕,유호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5 No.5

        A double or bilobed gallbladder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occurring at a rate of 1/4,000∼5,000. We encountered a case of a double gallbladder that was diagnosed by a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m. In view of the paucity of this anomaly,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ith a double gallbladder (Y duplication) accompanied by a common bile duct (CBD) stone. We als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embryology and treatment of the double gallbladder.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369-372) 이중 담낭은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빈도는 4,000∼5,000명 중 한명으로 발생한다. 이중 담낭은 담즙정체와 염증을 잘 일으켜 담석, 담낭농양, 담낭장루, 염전, 유두종, 담낭암 등을 잘 동반한다. 저자들은 총담관 결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우연히 발견된 이중 담낭을 경험하였고 이를 문헌 고찰을 통하여 이중 담낭의 분류, 태생학적 발생,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살펴보았다.

      • Right aortic arch with aberrant left subclavian artery and Kommerell`s diverticulum. Diagnosed with ancillary help of endoscopic ultrasound

        강승훈,박낙순,류호상,김창덕,엄순호,전훈재,이홍식,진윤태,서연석,김용식,금보라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Dysphagia resulting from esophageal compression by anomalous aortic arch vessels is not common, often overlooked without every single effort to find out the reason. In case that endoscopy or barium swallow to evaluate dysphagia shows extrinsic esophageal compression, the next step like EUS, CT or MR imaging is generally considered to evaluate the cause of compression. CT or MR imaging is very excellent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ophagus and its surrounding structure. But the anomaly of aortic arch is frequently ignored in review of CT or MR imaging with little attention to vascular structure because it is a very rare etiology of dysphagia. Herein, we report a case in which EUS and 3D-CT were used to establish the diagnosis of dysphagia due to congenital vascular anomaly, right aortic arch with aberrant left subclavian artery with Kommerell`s diverticulum.

      • KCI등재

        줄기를 형성한 위의 관외형 위장관간질종양 1예

        김영진,최재현,김은선,이동훈,박낙순,구자설,정성우,임현준,이홍식,이상우,류호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5 No.5

        A 49-year-old man visited our hospital with a complaint of a left lower quadrant abdominal mass.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an exophytic tumor attached to the stomach; the marginal region was intensely enhanced as seen on contrast imaging in the delayed phase. The gastric tumor was excised using a laparoscopic procedure. The gastric tumor was removed along with the gastric wall where the tumor was attached to by a pedicle. The external surface of the tumor showed a well-encapsulated appearance and several engorged vessels. Histologically, the tumor cells had a clear or eosinophilic cytoplasm and round nuclei. Four mitotic figures were seen per 50 cells on a high power fiel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demonstrated positive expression of c-kit, CD34, and vimentin and negative expression of smooth muscle actin (SMA) and S-100. The final diagnosis was a pedunculated exoluminal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332-336) 위장관간질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은 위장관계의 원발 비상피성 종양 중 가장 흔하며 대부분 증상이 없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관외형 위장관 간질종양의 경우 일반적으로 많이 진행할 때까지 특별한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복부 종물 및 복부 팽만을 주소로 내원한 49세 남자 환자에서 줄기를 형성한 관외형 위장관 간질 종양을 진단하고 복강경 수술로 치료했던 1예를 경험하였으며 국내에서 보고된 예를 찾을 수 없었기에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한다.

      • KCI등재

        십이지장 누공을 동반한 장결핵 1예

        박은범,진윤태,안재홍,서상준,이순재,박낙순,금보라,서연석,김용식,전훈재,이홍식,엄순호,이상우,최재현,김창덕,유호상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5 No.5

        장결핵은 폐외결핵 중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질환이다. 대부분 비특이적인 임상증상을 호소하며 특징적인 검사소견이 없으므로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흔하고, 장폐색, 장천공, 복강내 농양, 장출혈, 누공 형성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체중감소와 설사로 내원한 25세 남자 환자에서 시행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와 십이지장 조직 검사를 통해 십이지장 누공을 동반한 장결핵을 진단하였다. 2개월의 항결핵 치료 후 환자는 증상 호전과 함께 십이지장 누공은 폐쇄되었다. 저자들은 매우 드문것으로 알려진 장결핵에 동반된 십이지장 누공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ntestinal tuberculosis is a common disease of extrapulmonary tuberculosis. A diagnosis of intestinal tuberculosis is difficult as the symptoms and laboratory findings are not specific for the disease. Intestinal tuberculosis may cause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intestinal obstruction, intestinal perforation, intraabdominal abscess, intestinal hemorrhage and fistula formation. A duodenal fistula caused by tuberculosis is an especially rare condi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intestinal tuberculosis with a duodenal fistula as a complication. The patient was a 25- year-old man that presented with weight loss and diarrhea. Esophagogastroduodenoscopy showed a deep ulcerative lesion on the third portion of the duodenum with a fistula opening. A histological finding revealed granulomatous inflammation with multinucleated giant cells. In addition, the result of a Tb PCR assay was positive. After two months of treatment with the appropriate medication, the symptoms improved and the fistula has closed completely. We report th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346-350)

      • KCI등재

        유두 선암을 동반한 총담관류 1예

        이동훈,김재선,김지훈,김은선,김영진,박낙순,이순재,이범재,박영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7 Clinical Endoscopy Vol.35 No.5

        Choledochocele is a rare abnormality that's defined as cystic or diverticular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and this protrudes into the duodenal lumen. It may cause abdominal pain, recurrent pancreatitis, obstructive jaundice etc. Although its anatomic form does not meet the criteria of pancreaticobiliary malunion, malignant changes of the choledochocele in relation to pancreaticobiliary reflux may occur. It still is regarded as having a lower malignant potential than any other type of choledochal cyst. Only one case has been currently been reported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a 71 year-old woman with upper abdominal pain that was caused by a choledochocele with duodenal ampullary adenocarcinoma. She was successfully treated by surgical excison without severe complications. We report here on this case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364-368) 총담관류는 원위부 총담관의 십이지장 벽내 부위에 낭성 또는 게실성 확장이 있는 매우 드문 담관 낭종이다. 발생 기전은 유두와 Oddi 괄약근 사이에서 발생한 총담관류라는 주장과 십이지장 유두에 발생한 십이지장 게실 또는 중복 낭종이라는 주장이 있다. 주요 증상으로 우상복부 통증, 폐쇄성 황달, 복부종괴 및 재발성 췌장염을 일으키며, 악성화의 비율이 현재까지 다른 담관 낭종에 비해 매우 낮다. 저자들은 상복부 동통으로 내원한 71세 여자에서 유두 선암을 동반한 총담관류를 진단하고, 수술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SCIESCOPUSKCI등재

        위산 환경에서 피막형 스텐트의 물성 변화

        김은선(Eun Sun Kim),금보라(Bo Ra Keum),서연석(Yeon Seok Seo),이홍식(Hong Sik Lee),전훈재(Hoon Jai Chun),박성철(Sung Chul Park),박낙순(Nark Soon Park),김동곤(Dong Gon Kim),나재운(Jae Woon Nah),진윤태(Yoon Tae Jeen),조혜진(Hye Jin Cho) 한국고분자학회 2014 폴리머 Vol.38 No.3

        위장관 종양 조직이 스텐트 내로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는 피막형 스텐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위산에 의한 막의 분해로 인해 스텐트 폐쇄나 파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산 환경하에서 막의 성분과 재질 농도에 따른 피막형 스텐트의 물성 변화와 안정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스텐트 막의 재질은 실리콘과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였고, 각각의 농도를 15%, 18%, 20%로 하여 제작된 스텐트를 pH 1.2 산성 용액에서 18주 동안 3주 간격으로변화를 관찰하였다. 피막을 분석한 결과 동일 농도에서 비교하였을 때 실리콘이 폴리우레탄보다 두껍고 균일하게코팅되었다. 인공 위액에 의한 폴리우레탄 피막의 분해가 실리콘 피막에 비해 심하였다. 반경 방향 팽창력의 크기는실리콘 피막이 폴리우레탄 피막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다. 반경 방향 팽창력과 변형 회복력 모두 인공 위액에서의침잠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고, 폴리우레탄 피막 스텐트에서 감소율이 더 컸다. 결론적으로 실리콘 피막이 폴리우레탄에 비해 위산에 대해 안정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In membrane covered stent, occlusion and fracture from membrane degradation by gastric acid sometimesoccurr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membrane covered stent according to its ingredient andconcentration in gastric acid environment. Membrane covered stents consisted of silicone and polyurethane with 15%,18%, 20% concentrations were used. After incubating stents in a condition of pH 1.2, we checked any changes at every3 weeks for 18 weeks. The changes of membrane surface, radial expansion and recovery force of stent were investigated. Coating thickness increased proportionally to an increase in ingredient concentration. Surface was evenly coated with siliconecompared to the case with polyurethane and its homogeneity was excellent in a high concentration. Degradationwas much severe in the case of polyurethane. The radial force of silicone was higher than polyurethane, and the decreaseof radial and recovery force was higher in the case of polyurethane. In conclusion, high concentration of silicone membranewas more stable than polyurethane in acid environment of in vitro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