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lyurethane 함침된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나노섬유 웹과 마이크로섬유 웹의 특성 분석

        박고은,강은옥,박초희,남영식,김진홍,박원호,Park, Ko Eun,Kang, Yun Ok,Park, Cho Hee,Nam, Young Sik,Kim, Jin Hong,Park, Won Ho 한국섬유공학회 2013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0 No.3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a semi-crystalline polyester, has been used in many applications because of its good dyeability and goo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elasticity. Sorona (DuPont) and Corterra (Shell Chemicals) are some trade names of PTT. We describe herein a PTT nanofibrous web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which is a simple technique for generating nanofibers from a polymer solution and a melt. PTT pellets were dissolved in 1,1,1,3,3,3-hexafluoro-2-propanol (HFIP) followed by electrospinning to yield PTT nanofiber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900{\pm}97nm$. Then, the PTT nanofibrous web was impregnated with a polyurethane (PU) solution. The resulting material ha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and also displayed a lower water contact angle than the PTT nanofibers because a relatively hydrophilic PU was coated onto the PTT nanofibrous web. Additionally, the pilling property of the PU-impregnated PTT nanofibrous web was enhanced by the induced welding among the PTT nanofibers because of PU impregnatio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PTT nanofibrous web was evaluated both before and after PU-impregn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U-impregnated PTT nanofibrous web could be used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 KCI등재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 아고산 침엽수종(분비나무, 구상나무, 가문비나무)의 분포 현황과 임분 변화 특성

        박고은,김은숙,정성철,윤충원,김준수,김지동,김재범,임종환,Park, Go Eun,Kim, Eun-Sook,Jung, Sung-Cheol,Yun, Chung-weon,Kim, Jun-soo,Kim, Ji-dong,Kim, Jaebeom,Lim, Jong-Hwan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1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에 서식하는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구상나무(A. koreana),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의 분포 현황과 쇠퇴 및 갱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산림청의 전국 고산 침엽수종 실태조사 자료와 국립산림과학원의 아고산 침엽수종 생육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의 분비나무,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분포면적은 전국 분포면적의 약 74%(8,035 ha)를 차지하고, 백두대간 내 아고산 칩엽수종 임분은 대부분이 백두대간 핵심지역에 분포하여 백두대간 지역이 아고산 침엽수종의 보전과 복원의 핵심적인 지역임을 확인했다. 그러나 주요 산지 내 아고산 침엽수종의 입목쇠퇴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4년간 태백산 분비나무는 77.3%, 덕유산 분비나무 29.6%, 지리산 천왕봉 구상나무 45.2%, 지리산 천왕봉 가문비나무는 2년간 47.8% 증가)를 보이고 새로 유입된 어린나무의 양이 소실된 어린나무 양보다 적어서 해당 숲의 존속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지리산 세석지역과 천왕봉에서는 일부 성목의 건강이 회복되고 어린나무 출현 빈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과거 어린나무 출현빈도가 적고 성목 쇠퇴도가 높았으나 현재 쇠퇴도가 회복된 지역에서 어린나무 출현빈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성목의 쇠퇴도가 치수량의 변화와 상호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고산 침엽수종의 보전전략 수립 및 이행시 고려할 요인들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Data from an investigation of vulnerable conifer species in the subalpine zone in Korea obtain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n 2017-2018 and monitoring research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ince 2014 were used to analyze the status of distribution and growing condition of three major conifer species (Abies nephrolepis, Abies koreana, and Picea jezoensis) in the subalpine zone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studied species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was ca. 74% (8,035 ha) of the total distribution area in Korea, indicating that Baekdudaegan is a core are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subalpine conifer species. From decline index [A. nephrolepis in Mt. Taebaeksan and Mt. Deogyusan increased by 77.3% and 29.6%, respectively; A. koreana in Mt. Jirisan (Chunwangbong Peak) increased by 45.2% in four years; and P. jezoensis in Mt. Jirisan (Chunwangbong Peak) increased by 47.8% in two years] and seedling frequency (lower frequency of newly recruited seedlings than dead seedlings) results, the studied species are expected to face difficulties in sustainability. In contrast, at Mt. Seseoksan and Chunwangbong Peak in Mt. Jirisan, the health of trees and seedling frequency showed a partial tendency to recover and increase.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line index and seedling frequency. These results will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conservation strategies for vulnerable conifer species in the subalpine zone.

      • KCI등재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쥐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

        엄태경,이재강,이동호,고현규,배호경,김규중,황현수,박고은,최원일,임종환,박찬열,임신재,Eom, Tae-Kyung,Lee, Jae-Kang,Lee, Dong-Ho,Ko, Hyeongyu,Bae, Ho-Kyoung,Kim, Kyu-Jung,Hwang, Hyun-Su,Park, Go Eun,Choi, Won-Il,Lim, Jong-Hwan,Park, Chan-R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무인센서카메라를 이용하여 설악산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다람쥐(Tamias sibiricus)의 연중 관찰 양상과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차별 관찰빈도를 지표로 하여 관찰빈도의 연중 변화를 파악하였고 봄과 여름, 가을의 시간별 관찰빈도를 이용하여 계절별 일일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다람쥐의 일일 행동 패턴은 지역 및 계절에 따른 차이 없이 주행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지역에 서식하는 다람쥐는 연중 관찰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설악산에서 18~45주차에, 지리산에서는 7~48주차에 다람쥐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동면시기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두 지역에서 다람쥐는 가을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계절에 따른 다람쥐의 개체군 동태 및 활동량 변화가 무인센서카메라 관찰빈도에 반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인센서카메라의 관찰빈도는 간접적인 지표로서 대상종의 서식 밀도와 활동량을 구분해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지만, 방법이 쉽고 조사자에 따른 편차가 적어 효율적인 모니터링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nual variation of observation and activity pattern of Korean chipmunk (Tamias sibiricus) using camera traps in the Seoraksan and Jirisan National Parks, South Korea from May 2019 to May 2021. The annual variation was identified based on the observed frequency through weekly observations. Daily activity patterns of the species were also analyzed by season. The daily activity pattern of chipmunk appeared to be constantly diurnal across the years regardless of habitat or season. The Korean chipmunks living in the two different regions were observed in different time periods throughout the year. While the chipmunks inhabiting the Seoraksan were observed from 18<sup>th</sup> to 45<sup>th</sup> week, the chipmunks inhabiting the Jirisan National Park were observed from 7<sup>th</sup> to 48<sup>th</sup> week. This may be influenced by the hibernation period of chipmunks in the two different regions. In both regions, chipmunks wer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autumn. It is considered that seasonal variation on population dynamic and activity patterns of chipmunks were reflected in the observation frequency. Although the observation frequency of camera trap is an indirect indicator and thus having a limitation that it cannot distinguish the population density and amount of activity for the target species, camera trapping is still an effective survey technique for monitoring mammals due to its high accessibility and easy use.

      • KCI등재

        색채와 음계의 감각적 연관성을 반영한 직관적 악보 기입법 개발 연구 -먼셀의 10색상환을 중심으로-

        박고은 ( Park¸ Go-eun ),이준서 ( Lee¸ Joon-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6 No.-

        본 연구는 음악의 구조와 패턴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악보 기입법을 제안 하고자, Munsell의 10가지 색상환을 활용한 설문 조사를 통해 색조/채도/명도와 음계의 감각적 연관성을 반영한 36음계들의 색깔 시스템을 만들었다. 새로운 악보 기입법을 활용해, 기존 악보; '엘리제를 위하여 (Für Elise, Beethoven, 1810)' 번역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유용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악보 시스템은 사람들이 색깔과 음계를 직관적으로 연결시켜, 악보를 이루는 음계의 높낮이를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반복되는 리듬과 음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명료하게 보여줄 수 있었으며, 원의 크기의 차이로 강약을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음계 하나 하나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색조/채도/명도 그리고 원의 크기가 모두 강약을 나타낼 수 있어, 혼란을 만들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색을 단순한 과학적 측정을 통한 물리적 수치에 따른 색체계가 아닌 인간의 보편화 감각에 따른 지각적 결과에 기반 한 감각적 색 체계를 고려하여, 색/음계 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 점. 이를 통해, 악보가 단순한 매뉴얼의 기능을 넘어서, 심미적 가치를 가질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악보 안에 존재하는 음악의 구조와 패턴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악보 기입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핵심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an music notation system, to make users understand the pattern and system of the music in a Intuitive way. Focusing on the Munsell Color Chart (1930), the research creates 36 notes color system by utilizing the sen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notes and Hue/Chroma/Lightness. The research transcribed Für Elise, Beethoven, 1810 and examine the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the new notation system. As a result, the new notation system can helps people understand the change of the music tone easily, sense the repetition and variations of the rhythm by the structure of patterns, distinguish the strength/weakness of the notes by the size of each circle. As a limitation, it could be hard to recognize detail of the notes and, among chroma, lightness and size, it is confusing to determine which ones is the criteria of strength/weakness of each note.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hat it suggests the intuitive way of transcribing the structure and pattern of the complex music by developing sensible color-music tone system.

      • 조직공학용 알지네이트/PEO 나노섬유의 제조 및 특성평가

        박고은(Ko Eun Park),박수아(Su-A Park),김근형(Geun Hyung Kim),김완두(Wan Doo Kim) 대한기계학회 200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7 No.10

        Alginate, which is obtained from marine brown algae, is a copolymer with repeating units of α-(1→4)-L-guluronic acid(G) and β-(1→4)-D-mannuronic acid(M). It has good properties such as biocompatibility, non-toxicity, and hydrophilicity. However, alginate alone did not electrospinning through high viscosity and conductivity. In this study, electrospining of alginate is made the possible by blending with PEO. Optimal nanofiber webs are obtained from alginate 2 wt% and PEO 2 wt%. Alginate/PEO nanofiber webs may have potentials for tissue engineering scaffold and wound dressing.

      • KCI등재

        여성 재가 요양보호사의 산재안전망 경험에 대한 연구: 산업안전보건 및 산재보험 제도를 중심으로

        박고은(Koeun Park) 한국사회정책학회 2020 한국사회정책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재가 요양보호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산재안전망의 제도적 취약성을 심층적으로 조명하고, 궁극적으로 이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수 있는 공적 산재안전망의 (재)설계를 위한 대안을 고민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산재안전망이란 어떻게 구성되는지 이론적 개념화를 시도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재가 요양보호사들이 산재안전망 제도를 어떻게 경험하고 또 그 포괄 및 배제의 메커니즘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은 방문 돌봄 노동의 성격 및 노동조건과 부정합한 산재예방제도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기능적 등가를 수행할 가능성이 있는 장기요양보험법상의 제도들은 수급자 보호를 중심으로 마련되어 재가 요양보호사들의 노동환경은 규제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노동과정에서 건강장해를 경험한 경우에도 대부분 산재보험을 신청조차 하지 못 하고 있으며 일부 신청하는 경우에도 산재인정을 받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이러한 사후보상적 산재안전망의 배제 경험은 제도 내적 요인 뿐만 아니라,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업무 및 건강위험의 특성, 고용구조 및 노동조건 등이 상당인과 관계 입증이 중요한 현행 산재보상 체계와 부정합한 점에서도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전통적인 산재안전망 논의에서 소외되어온 돌봄노동자, 가사도우미 등 개인 가정에서 일하는 방문 노동자, 그리고 중고령 노동자들을 포괄할 수 있는 산재안전망의 재설계를 위한 함의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Although the socialization and expansion of insurance for eldercare services in Korea have improved, the necessity of a social safety net for the primarily female in-home care workers is rarely discussed. There is no social safety net for workers’ health, even though in-home care workers are exposed to various occupational risks in poor working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ccupational health risks faced by female in-home care workers of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in Korea, and to design a social safety net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those risks. This study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analyze how in-home elderly care workers experience the existing pre-preventative and post-compensational social policies designed to protect them from occupational risks and industrial illnesse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nalyze the mismatch between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occupational risks and the current social security system for workers’ health.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finally suggested how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care workers’ safety and health could be reconstructed.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hat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experience and the structural context in health risks and the social safety net for in-home care workers’ health, and this has been rarely discussed before.

      • 일본잎갈나무 조림지, 침활혼효림, 천연활엽수림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비교

        박고은 ( Go Eun Park ),박병배 ( Byung Bae Park ),이영근 ( Young Geun Lee ),성주한 ( Joo Han Sung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임상별 물질 생산 및 순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일환으로써, 가리왕산 내 각 임상별 즉, 일본잎갈나무 인공 조림지, 침활혼효림, 천연활엽수림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수행하였다. 토양 층위별 깊이를 비교한 결과, 일본잎갈나무림, 침활혼효림, 활엽수림 간에 유기물층(O층), B층의 깊이 차이는 없었으나, A층에서는 특히 일본잎갈나무림(31.73±2.29 cm)에 비해 침활혼효림(25.60±2.39 cm), 천연활엽수림(33.68±2.48 cm)의 깊이가 더 깊게 발달하였다. 이는 침활혼효림과 활엽수림의 낙엽분해가 낙엽송림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일본잎갈나무림, 침활혼효림, 천연활엽수림에서 조사한 O층 건중량의 2분의 1을 탄소량으로 산출한 결과, 천연활엽수림의 O층에 축적된 탄소량(6.48±0.76 ton ha-1)이 가장 적었다. 이는 낙엽의 유입량 및 분해율과도 관련한 결과인데, 특히 비교적 낙엽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일본잎갈나무림과 침활혼효림에 비해, 천연활엽수림 낙엽의 분해가 더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라고 유추해볼 수 있겠다. 토양의 화학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A층과 B층의 경우, 토양산도가 pH 4.9~5.2로 임상별 차이가 없었고, A층에서는 칼륨이온, 유효인산 함량의 차이가, B층에서는 유기물함량, 전질소, 칼륨 이온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임상별 물질 생산 및 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 결과에 더하여 낙엽유입량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장차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Larix kaempfri stand, mix forest, and natural broad-leaved forest. While depths of O layer and B lay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types of forest, depth of A layer in L. kaempfri stand showed the highest value (31.73 ± 2.29 cm). Carbon stock in natural broad leaved forest (6.48 ± 0.76 ton ha-1) was the lowest. It might refer that litter decomposition in natural broad leaved forest was vigorous than other forests. In case of chemical properties, soil acidity of A and B layers ranged from pH 4.9 to pH 5.2 and did not show differences among forest types. Concentration of potassium and available phosphoric acid in A layer showed difference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total nitrogen, and potassium concentration in B layer showed differences among forest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