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톱밥의 열분해를 위한 Rotary kiln 의 modelling 에 관한 연구
김지동,최익수,이보성 한국화학공학회 198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2 No.1
본 연구는 톱밥의 열분해를 위한 Rotary Kiln의 기본설계문제와 조작조건을 논의하였다. 특히 Rotary Kiln내에서의 고체반응물질의 평균체류시간과 混合度의 關係式을 얻었으며 그결과 체류시간은 원료투입량에 무관함을 발견하였고 가장 混合度가 좋은 回轉數는 120rpm이었다. Axial dispersion model을 적용하여 熱分解溫度에 따른 必要한 Rotary Kiln의 길이를 予見하도록 하였다. A study on the fundamental design of the rotary kiln and the operational techniques of the kiln for the pyrolysis of saw dust was carried out. The emphasis of this study was plac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 residence time and mixing degree of the solid reactant in the rotary kiln. It was found that the mean residence time of the solid was independent with the feed rate, and the highest mixing degree was obtained at rotational speed of 120 rpm. With the Axial Dispersion Model, the optimum lengths of the rotary kiln with different reaction temperatures were predicted for the pyrolysis.
북한의 제18대 대통령선거 개입의 의도와 행태 : 『로동신문』분석을 중심으로
김지동,한관수 한국동북아학회 2013 한국동북아논총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North Korea intervened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of ROK. 198 articles of Rodong Sinmun newspaper from Jan. 2012 through Dec. 2012 were analyzed in order to discover its intention and behavior. Different patterns of topics and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period was observed. It was revealed that its intention to intervene in ROK's presidential election was to create pro-North Korean government. It attacked conservative camp and supported progressive camp in order to make the next president for changing the coercive policy toward North Korea to flexible policy and finally to fulfill 15th June and 4th October presidential declaration. Corresponding strategies are required to interrupt or minimize the effects of its intervention since it is against inter Korean basic agreement and also it can cause wrong result of the election. 이 논문은 북한이 한국의 제18대 대통령선거에 어떻게 개입했는가를 노동당의 기관지인 로동신문을 통해 그 의도와 행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북한의 로동신문을 2012년 1월부터 투표일인 12월까지의 1년간의 보도내용 198건을 분석한 결과 개입시기에 따라 주제와 게재 빈도가 상이한 흐름을 보였다. 북한의 선거개입 전략적 의도는 친북정권 창출을 위해 보수진영을 공격하고 진보진영을 우회지원 또는 옹호하는데 있으며, 그 목적은 차기 대통령이 이명박정부의 강경한 대북정책을 6·15, 10·4선언을 이행하는 유연한 정책으로 전환하여 북한의 국가목표 달성에 기여토록 하는데 있음을 밝혀 낼 수 있었다. 북한의 한국 선거개입은 ‘남북기본합의서’에 위배되는 사항이고 왜곡된 선거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저지하거나 그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방안이 요구된다.
김지동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3
Today union between Korea-the USA is under expansion towards comprehensive fields but existing military un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the USA still takes important position. However, recent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in the North and East Asia work as factors to drive change in military un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the USA. The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are New defense strategy idea of the USA,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ransfer until December 2015, Asymmetrical Military Threat of North Korea, factor of domestic politics of Korean and American governments that would launch early 2013 etc. These factors would work together and repeat crack a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ase. But on the whole, negative factors are dominant. Accordingly, it would be very urgent to arrange responding strategy which is favorable to Korea through analysis on factors for change in military union between Korea-the USA. From level of national strateg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balanced strategy where security cooperation centered on the USA and economic cooperation centered on China should be proceeded together. For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wo-track strategy where dialogue is done simultaneously is necessary and mutual-assistance system between Korea and the USA should be maintained.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explore measures for proceeding with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union between Korea and the USA separately so that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gives minimum influences on union between Korea and the USA. At the same time, there is necessity to intercept occurrence of union dilemma in advance by expanding Korean role at optimal level rather than passively taking advantage. In the level of military strategy, all the problems followed by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should be developed towards favo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military using New defense strategy idea of the USA. Especially, even afte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transferred to the Korean military,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llied defence system' and 'unity of command'. As its solu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iscuss about transferring operational control to commander of UN forces according to size of military strength of UN forces in case UN forces are committed in time of emergency while maintaining allied defence system between Korea-the USA by commander for Korean theater operation in wartime and peacetime. And when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transferred to the Korean military, it is predicted that provocation of The North Korea increases. So, system to jointly respond to such provocation should be constructed by Korea and the USA from operation in peacetime against provocation in limited region. 오늘날 한미동맹은 포괄적 분야로 그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으나, 여전히 한미 간 군사동맹 관계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는 한미군사동맹 관계를 변화시키는 추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바, 이는 미국의 신국방전략과 2015년 12월 약속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북한의 비대칭 군사위협 및 2013년 초에 새로 출범할 한미 양국 정부의 국내정치 요인 등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상호 연동되어 사안에 따라 균열과 강화를 반복할 것이나 전반적으로 부정적 요인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한미군사동맹의 변화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이익에 유리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작업은 매우 긴요하다 하겠다. 국가전략 차원에서 볼 때, 미국 중심의 안보협력과 중국 중심의 경제협력을 복합적으로 추진하되, 한미동맹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남북관계는 대화를 병행하는 강온전략을 구사하면서 한미공조체제를 유지하되, 남북관계가 한미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리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편승보다는 적정 수준에서 한국의 역할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동맹딜레마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 군사전략 차원에서는 미국의 신국방전략을 활용하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른 제반 문제점들이 한국군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전환되더라도 ‘연합방위체제’와 ‘지휘의 일원화’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방안으로, 전평시 한국전구작전사령관에 의한 한미연합방위체제를 유지하되 유사시 유엔군이 구성되어 투입될 경우 유엔군 전력의 규모에 따라 유엔군사령관에게 작전통제권을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협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전환될 경우 북한의 도발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평시 국지도발 작전부터 한미가 공동으로 대응하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지리산 아고산대의 단기간(2015‐2017)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 발생 및 고도별 종구성 변화
김지동,박고은,임종환,윤충원 한국환경생태학회 201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2 No.3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atterns of sub-alpine forest vegetation due to climate change requires accumulation of contiguous reference data and continuous monitoring. Furthermore, it is crucial to monitor short-term ecological change of lower level vegetation to understand the trend of long-term vegetation change. Therefore, this study carried out a vegetation survey and tree diameter measurement in 36 plots of Mt. Jiri inhabited by Abies koreana species from 2015 to 2017 to examine the short-term dynamics of Abies koreana seedling and the change of veget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altitude. We analyzed the importance value and MIV (mean importance value) of major species by each stratum as well as the importance value and species diversity index of major species and the change of seedling population by altitude. The results showed that Abies koreana ha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on tree laye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on shrub layer and Tripterygium regelii on herb layer. MIV was high in the order of Abies kore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Acer pseudosieboldianum. Regarding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index (H’) along the altitudinal gradient, Sasa borealis showed high MI and low H’ in the elevation less than 1,500 m, and IV of Tripterygium regelii and H’ of herb layer were high in the elevation of 1,700 - 1,800 m. Abies koreana seedling decreased by 22.4% from 1,250 n/ha in 2015 to 970 n/ha in 2017 (p <0.05) throughout the investigated area. The decline rate along seedling and sapling height were 22.9% in less than 10 cm, 3.4% in 10-30 cm, 8.9% in 30-50 cm, 39.3% in 50-100 cm, and 55.1% more than 100 cm. Few of A. koreana seedlings appeared due to the dominance of Sasa borealis in the elevation of 1,500 m or less and due to the dominance and high species diversity of Tripterygium regelii in the elevation of 1,700-1,800 m. On the other hand, many of A. koreana seedlings appeared in the elevation of 1,600-1,700 m due to no distribution of S. borealis and T. regelii species in that altitude rang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ose seedlings and saplings of A. koreana could be more stable in the altitude of 1,600-1,700 m. 기후변화로 인한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기초자료의 축적과 지속적인 모니터 링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장기 변화의 추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층식생에 대한 단기간의 생태적 정보 변화의 모니터링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단기간에 걸친 구상나무 치수의 동태와 고도별 식생분포 변화를 구명하고자 2015년 도와 2017년도에 지리산 구상나무 분포지를 대상으로 총 36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 및 식생조사를 실시하 였다. 현장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층위별 주요 종에 대한 중요치 및 평균상대우점치, 고도별 주요종의 중요치및 종다양도, 치수 개체군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상나무 분포지의 식생구조는 교목층 구상나무, 관목층 철쭉, 초본층 실새풀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평균상대우점치는 구상나무, 철쭉, 당단풍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별 종조성과 종다양도 지수는 1,500 m이하에서 조릿대의 중요도가 높고 종다양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1,700-1,800 m에서 미역줄나무의 중요도와 초본층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조사구에서 구상나무 치수는 2015년도 1,250 본/ha에서 2017년도 970 본/ha으로 22.4% 감소하였다(p<0.05). 수고급별 감소율은, 10 cm 미만은 22.9%, 10-30 cm 3.4%, 30-50 cm 8.9%, 50-100 cm 39.3%이었으며, 100 cm 이상은 5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발고도별로 살펴보면, 1,500 m 이하는 조릿대의 우점, 1,700-1,800 m는 미역줄나무의 우점과 높은 종 다양도로 인하여 치수 발생량이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1,600-1,700 m는 조릿대와 미역줄나무가 출현하지 않은 반면 구상나무 치수발생량은 많았다. 이 고도에서 구상나무 치수의 발생 및 생존이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Naphthalene 과 Biphenyl 의 Benzene 과 Cyclohexane 에 대한 이성분계 포화용해도
김지동,최병혁 한국화학공학회 198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5 No.4
석탄유도화합물인 Benzene, Cyclohexane, Naphthalene, Biphenyl이 이루는 Benzene-Naphthalene, Benzene-Biphenyl, Cyclohexane-Naphthalene 그리고 Cyclohexane-Biphenyl의 이성분계의 포화용해도를 측정하고, 이들 이성분계들의 고-액 상평형도를 완성하였다. 이들 계의 포화용해도는 Scatchard-Hildebrand Regular Solution Theory로써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음을 보였다. Solubilities of the coal derived solids naphthalene and biphenyl in the solvents benzene and cyclohexane were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near to the melting point of the solutes to that of the solvents, and then the solid-liquid phase diagrams were constructed from the experimental data. The solubilities were accurately predicted by estimating the activity coefficients in the solid solubility equations using the Scatchard-Hildebrand regular solution theory. For the benzene solutions which were close to an ideal solution, the accuracy could be achieved by u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ure components only. For the cyclohexane solutions which were highly non-ideal, however, binary parameter l_(ij) was need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on. The eutectic points of the binary systems were also closely estimated by the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