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키토산과 양모 케라토스로부터 형성된 불용성 고분자 전해질 복합체-전해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키토산의 분자량 및 탈아세틸화도의 영향-

        박원호,하완식 한국섬유공학회 1994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1 No.4

        a-keratose, microfibril helix component of wool keratin. was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wool keratin oxidized with performic acid. Chitosan samples were heterogeneously depolymerizcd with hydrogen peroxide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Mv= 591$\times$103~ 19$\times$103) Highly deacetylated chitosan samples were also prepared and these were N-acetylated with acetic anhydride to control the degree of deacetylation(97%~43%). The formation behavior of polyelectrolyte complex(PEC) between the a-keratose and the chitosan with the different molecular weights and degree of deacetylations was examined with a turbidimetric measurement. The mixing ratio(Rmax) at maximum turbidity changed from 0.08 to 0.21 with the degree of deacetylation of the chitosan regardless of the molecular weight difference. The composition ratio was determined from sulfur content of the insoluble PEC isolated near the Rmax. The composition ratio observed was well agreed with the Rmax value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 theoretical composition ratios of the PEC formed by the stoichiometric reaction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bserved. This discrepancy seems to be ascribable to the chain rigidity(conformational hindrance) of the chitosan and the intermolecular or intramolecular ionic linkage owing to the coexistence of oppositely charged NHl+ groups in the a-keratose molecules. Additionally, the erects of ionic and hydrogen bonds-breaking agent on the PEC formation were examined by measuring the transmittance of reaction mixture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electrostatic and hydrogen bonding forces probably responsible for the chitosan-n-keratose complex formation reaction.

      • KCI우수등재

        키토산으로 처리한 양모 직물의 특성 분석(I) -항미생물 및 소취 특성-

        박원호,이근용 한국섬유공학회 199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33 No.10

        Wool fabrics were treated with chitosan having various molecular weights and degrees of deacetylation(DD) by pad-dry method. The wool fabric, treated with chitosan having DD>70%, showed an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y irrespective of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hitosan. Deodorant activity of chitosan-treated wool fabric was increased as the DD of the chitosan increased. Optimum molecular weight of the chitosan to show an excellent deodorant activity was in the range of 100, 000~400, 000. Additionally, the wool fabric treated with chitosan showed a relatively high durability to laundering probably resulted from the strong ionic bonding between chitosan and wool keratin.

      • KCI우수등재

        공익과 사익의 경계에서: 이슈의 지역화와 정책선호에 관한 실험설문

        박원호,신화용,안도경 한국정치학회 2015 한국정치학회보 Vol.49 No.4

        This paper highlights the role of personal interest and local interest, which have been relatively underemphasized than that of public interest, in the literature in shaping political attitudes toward the political issues in the context of local area. The survey experiment with neighborhood cues on four political agendas of nuclear power plant, special-purpose high school, public rental apartment, and science belt construction, provides a lens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how the localization of political issues can affect policy preferences. In contrast to the previous findings that personal interest has minimal impact on policy preferences due to the distance between personal life and the political realm, the results of our study reveal that individuals’ self-interest and local interest of adjacent region powerfully determine policy preferences when the issues are framed as local issues. This finding leads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political issues can be presented not only as national agendas but also as local issues. When issues are localized, the impact of personal interest, instead of political belief, on policy attitudes becomes clearer. Second,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political issue, when the expected policy consequences are similar across all individuals in a given local context, policy responses may move to the same direction at the aggregate level. However, when the expected cost and benefit are crystalliz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personal conditions, the attitude responses about political issues can differ across sub-groups. Third, since personal interest about localized issues reflects considerations for the policy effect on local community that goes beyond self-interest, both personal interest and public interest are mirrored in the policy preferences on localized issues. From these discussions, we emphasize that policy preferences are shaped not only by the abstract idea of public interest but also by the citizen’s everyday life. 본 연구는 국가적 공익 뿐 아니라 개인적 사익과 거주지역의 지역이익이 지역현안에 대한 태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다. 이를 위해 원자력 발전소 설립, 특목고 설립, 임대아파트 건설, 과학벨트 조성에 대해 지역단서를 제공하는 실험설문을 실시하고, 정책사안들이 전국적 맥락과 거주지역의 맥락에서 제공될 때 응답자들의 정책선호가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한다. 정치적 판단과 개인적 삶이 동떨어져 있어서 정책입장에 주로 공익적(sociotropic) 고려만이 반영될 뿐 사익(self-interest)이 그다지 반영되지 않는다는 기존 문헌의 주류적 발견과는 달리, 실험설문의 결과는 정책이 지역화 될 때 개인적 사익과 거주지역의 지역이익이 정책입장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도출되는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적 이슈들은 전국적 차원 뿐 아니라 지역적 맥락에서 제시될 수 있으며, 이때 공익적 고려를 반영하는 정치적 신념의 영향력이 약해지고 개인과 거주지역에 대한 고려가 정책태도에 보다 분명하게 반영된다. 둘째, 지역화 된 이슈에 대하여, 정책사안의 성격에 따라 집합적으로 단일한 방향의 정책태도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가시화 되는 손익의 양상이 개인여건에 따라 상이한 경우 소집단별로 정책선호 반응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지역화 된 이슈에 대한 사익은 단순히 개인의 이기심보다는, 지역공동체 차원의 정책효과에 대한 고려를 반영하므로, 지역안건에 대한 정책선호는 사익과 공익에 대한 고려가 접합되어 함께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추상적인 공익 뿐 아니라 시민들의 일상적 삶과 직결된 지역사회 및 개인적 조건 역시 정책선호의 중요한 바탕임을 강조한다

      • KCI등재

        어촌 생활 기초어휘 자료 정리 방법 분석 -국립국어원 ‘민족생활어 조사’를 중심으로-

        박원호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이 글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립국어원에 진행한 ‘민족생활어 조사 - 어촌 생활 기초 어휘 조사’의 자료 정리 방법을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민족생활어 조사 - 어촌 생활 기초 어휘 조사’는 해당 어촌 지역의 정체성을 살피고 그들 삶의 역사를 이해하는 기초 작업이 된다. 따라서 이 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라져가는 어촌생활을 대상으로 조사지역 고유의 문화를 수반한 생활어를 조사하여 체계적인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민족생활어 조사 - 어촌 생활 기초 어휘 조사’는 3년 동안의 현장 조사를 통해 ‘1.행위자 2.환경 3.어획물 4.어획 도구 5.어로 방법과 어로 행위 6.음식 7.민속, 8.기타’와 같이 총 8개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3년 동안 조사된 6천여 개의 어휘는 8개의 범주에 따라 항목 분류하였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의 조사 결과는 2013년에 기초 어휘 조사 질문지의 수정 및 조사된 어휘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를 통해 갈무리하였다. 이 글에서는 『2013년도 민족생활어 조사2』에 해당하는 어휘 자료의 원자료를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어촌 생활 기초어휘 자료 정리는 연구원별로 3년 동안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제주도의 12개 지역에서 조사된 자료를 기반으로 기초어휘 조사 질문지의 번호에 맞추어 엑셀 자료로 재구성하였다. 엑셀의 주요 항목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조사연도, 표제어, 올림말, 용례, 기타정보, 출전정보’의 항목에 따라 방언 조사 시 사전 조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표제어’는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어휘, 곧 질문지의 기초어휘 항목과 일치한다. 3) ‘올림말’은 조사된 결과를 일컬으며, ‘용례’를 참고하여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 ‘기타정보’는 조사된 어형의 분석, 제보자의 특성, 표준어와의 관계, 사전 등재 여부 등의 내용을 얻을 수 있다. 5) ‘출전정보’의 제보자의 거주 지역을 통하여 그 어휘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을 알 수 있으므로 인접지역을 조사할 때 참고할 수 있다. 6) ‘멀티정보’인 사진과 음성 정보는 현장 조사에 사용된 그림이나 영상, 제보자의 음성이다. 특히 현장 조사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7) ‘표준국어사전등재여부’는 조사된 어휘가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 되었는지를 알려준다. 등재되었다 하더라도 그 의미가 현장에서 쓰이는 것과 다른 경우에는 ‘기타정보’에 기재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정리된 자료는 12개 지점의 기초 어휘를 한 눈에 파악함은 물론 한반도 어촌 생활어를 조사, 연구하는 데 기초 자료로써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arrangement methods of ‘everyday wor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research of basic vocabulary of fishing village’ conduct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from 2010 to 2013. ‘Everyday wor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research of basic vocabulary of fishing village is to examine the identity of the fishing village and to do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its life. Thu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systematic data, investigating the everyday word accompanied with endemic culture of the research are for a fishing village. Through ‘everyday wor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resea rch of basic vocabulary of fishing village for three years, the study came up with eight categories which were ‘1. performer 2. environment 3. catch 4. fishing equipment 5. fishing method and fishery 6. food 7. folklore 8. etcetera.’ Six thousands of vocabularies investigated for three years were placed under the eight categories. The result of three years of research from 2010 to 2012 was put away in order through the edited inquiry of basic vocabulary and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researched vocabulary in 2013. Except for inquiry, the study accounts for raw data of the vocabulary of the 『2013 Everyday Word of Korean Language Research 2』 by stages. The arrangement of fishing villages' basic vocabulary was restructured by Excel software, matching the number in the basic vocabulary inquiry based on each researcher's investigation results from twelve regions- the East, West, South coast and Jeju Island for three years. Major item construction in Excel is as follows: 1)According to ‘Year of investigation, headline, entry, example, other information, reference information’, one can use this information to be used in the pre-investigation stage when investigating dialect. 2) ‘Headline’ stands with the vocabularies registered in the dictionary, that is, the basic vocabulary of the inquiry. 3)‘Entry’, called the investigated result, one can g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example’. 4)‘Other information’ provides the analysis of a researched word form,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nt, the relation with the standa rd language, and whether words are registered in dictionary. 5)‘Reference information’, gives the information of the informant's residence place. It gives information of the residents' vocabularie s of the area. The information investigated beforehand helps when researching its adjacent area. 6) The picture and the vocal information, so called, ‘multi information’ are the picture, video, and the informant's voice used in a field st udy. They are, especially, processed to be utilized in a field study. 7)‘The record of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notifies that the researched vocabulary is registered or not in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In spite of being registered, if the meaning is used differently compared with the actual place, it is filled in ‘other information’ The data organized by the criteria above contributes to grasping the basic vocabulary of twelve spots just at a glance as well as studying and investigating fishing village's basic vocabulary of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