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의 삶의 질 변화

        테레지아,송혜향,서인옥,조영이,명희,허정희,김은경,순주,라정란,Park, Theresia,Song, Hae-Hiang,Seo, In-Ok,Cho, Young-Yee,Park, Myung-Hee,Heo, Jeong-Hee,Kim, Eun-Kyung,Park, Sun-Ju,Ra, Jeong-R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입원 시 삶의 질과 간호서비스를 받는 동안 삶의 질 변화와 호스피스 간호서비스가 말기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 1999년 10월부터 2000년 3월 사이에 가톨릭 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와 가족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간호제공자에 의해 인지된 환자의 삶의 질 평점은 입원시, 입원 1, 2, 3, 4주에 각각 3.31, 3.68, 3.56, 3.73, 3.75로 입원 당시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입원시점에 따라 항목별로 살펴 볼 때 "신체적 청결"(F=6.50, P=0.0001) "통증조절"(F=18.01., P=0.0001) "대변상태"(F=2.96, P=0.0237) "수면상태"(F=3.99, P=0.0048) "메스꺼움/구토"(F=4.50, P=0.0022) "의료진의 편안한 돌봄"(F=3.95, P=0.0051) "가족들의 돌봄"(F=2.76, P=0.0317) "불안감"(F=3.14, P=0.0177) "마음이 편안함"(F=3.63, P=0.0085) "인간적인 대우"(F=3.32, P=0.0136) "죽음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고 생각함"(F=2.54, P=0.0450) 등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환자 자신에 의해 인지된 삶의 질 평점은 입원 시와 입원 1주에 각각 3.63, 3.83으로 향상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입원시점에 따라 항목별로 살펴볼 때 "통증조절" 항목만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3) 사망시점으로부터 삶의 질 평점은 사망 5주전, 4주전, 3주전, 2주전, 1주전에 각각 3.48, 3.51, 3.44, 3.46, 3.50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호스피스 서비스는 말기 환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졌다. 따라서 호스피스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호스피스 환자들을 지지해 줄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특히 간호의 영적 영역에 초점을 두어야 하겠다. 또한 말기 환자의 주관적인 삶의 질 측정을 위해 도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자를 확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at admission and after weeks hospice service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hospice servi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subjects were 100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between October 1999 and March 2000,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revised by the authors and were analyzed by means of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 1) Patient's quality of life as perceived by the primary caregiver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mean score was 3.31, 3.68, 3.56, 3.73, 3.75 at admission and week 1, 2, 3, 4. With the detailed item analysis, the following item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clean bodies"(F=6.50, P=0.0001) "pain control"(F=18.01, P=0.0001) constipate"(F=2.96, P=0.0237) "sleep"(F=3.99, P=0.0048) "nausea/vomiting"(F=4.50, P=0.0022) "medical team's comfortable care" (F=3.95, P=0.0051) "family's care"(F=2.76, P=0.0317) "anxiety" (F=3.14, P=0.0177) "comfort"(F=3.63, P=0.0085) "treat with dignity"(F=3.32, P=0.0136). The item of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rather the beginn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F=2.54, P=0.0450). 2) Patient's quality of life as perceived by the patient showed an improvement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the mean score was 3.63 and 3.83 at admission and week 1. With the detailed item analysis, the item of "pain control"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improved(F=9.19, P=0.0251). 3) The quality of score in the last week of life of patient were 3.48, 3.51, 3.44, 3.46, 3.50, respectively, from 5 week prior to 1 week prior to death and these changes were insignificant.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effect of hospice service on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need first of all to develop hospice intervention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spiritual aspect of patient. Secondly, measurement instruments need to be developed to coll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who become weakened especially in the last weeks of their life and with this effort more representative data of hospice patients may be collected.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 이용

        박경화 ( Kyung-hwa Park ),이은선 ( Eun-sun Lee ) 한국치위생학회 2022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2 No.5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symptoms and changes in daily life after coronavirus disease (COVID-19)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7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1). The subjects comprised 53,868 people who responded to survey questions related to this stud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complex sample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daily life changes and oral symptoms.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changes in daily life after COVID-19, changes in daily life, such as skipping breakfast, drinking, and smoking, either decreased or increased. Furthermore, increase in depression and decreased physical activity and family economic status were related to oral symptom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ral health programs for adolescents suitable for changing situations after COVID-19.

      • KCI등재

        한일대학간 온라인국제교류학습 실천사례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

        朴孝庚 ( Park Hyo-kyung ),黄永熙 ( Hwang Young-hee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7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전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한일대학간 온라인국제교류학습을 실시하고 목표언어와 문화를 배우는 과정의 이문화 소통능력의 향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온라인국제교류학습은 한국의 H대학교와 일본의 M대학이 3학기 3차례에 걸쳐 지속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양교 담당교원의 긴밀한 협의에 의해 만들어진 1차의 학습환경 디자인의 틀에 맞춰 오프닝토크, 소그룹 활동, 총괄의 체계를 수정 보완하면서 진행되었다. 이후 2,3차에서는 소그룹 활동을 늘리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내실을 다졌다. 출석률이 점차 상승하여 1차에 50%에 그쳤던 것이 2,3차에는 90%가 넘는 출석률을 기록하였다.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객관식 척도 선택과 자유기술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양교의 학생은 교류학습에 대해 긍적적으로 평가했으며, 교류학습을 통해 언어운용면과 이문화간 소통의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답변했다. KHcoder를 활용한 자유기술항목에 대한 분석에서는 양국 학습자들의 의식 변화를 읽어볼 수 있었다. 교류 학습에 관련된 긍정적인 단어들이 나타났으며 언어운용 면의 능력 향상을 교류회의 짧은 기간 동안에는 실제로 체감하기 어렵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양국 모두 ’자신감, 실력, 향상, 실제, 회화’ 등의 긍정적인 키워드가 나타난 것으로 교류 학습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국제화와 다문화공생시대를 맞아 다양한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육성을 위해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온라인교류학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s online exchange studies between Korea and Japan, where majors who are learning Japanese and Korean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examines the improvement of foreign 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Based on a survey conducted on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lear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the third semester, and was conducted by revising the opening talk, small group activities, and general manager's system in line with the first exchange meeting's learning environment design framework. The students of both schools said that they positively evaluated exchange learning, and that the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language management and foreign culture has improved through exchange learning.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and multicultural symbios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tinuous and effective exchange learning to flexibly respond to various needs and foster global talent who can act on the global stage.

      • 시민의 자치능력과 민주주의의 가능성: 토크빌의 타운미팅과 폴렛의 이웃집단을 중심으로

        의경 ( Eui Kyung Park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1 정치와 평론 Vol.8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questions how our dwellers and neighbors can become a master of politics in the hierarchical society with a strong and vertical power relationship. It also questions on where we can find the self-governing abilities of citizens and the possibility of democracy. Analysing American society, Alexis de Tocqueville in 1830`s and Mary Follett in 1918 unfolded their diagnosis and prescriptions for the future society. They claim that community of participation and inclusion without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can be possibly formed through self governing ability based on human freedom and autonomy. Furthermore, they continued to argue that it will be led to the intensified high level of democracy.

      • KCI등재
      • KCI등재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유화(Yu Hwa Park),김희연(Hee Yeon Kim),임상현(Sang Hyun Lim),김경희(Kyung Hee Kim),동식(Dong Sik Park),이정훈(Jung Hoon Lee),충근(Chung-Geon Park),충범(Chung Berm Park),김성문(Songm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대해 구명하고자 4주령 된 흰쥐 40마리를 고지방 사료 급여로 비만을 유도한 후 정상군, 고지방 식이 대조군,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양성 대조군(가르시니아)으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 시 9.68%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과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다.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이 식이섭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은 유의적으로 같은 수준이었으며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15.26%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11.46, 10.5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 대비 34.79%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과 양성 대조군인 가르시니아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9.02, 6.45% 감소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간과 복강 내 지방 조직의 무게는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는 유의차가 없었다.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경우 고지방 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정상군 대비 21.39%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과 양성대조군에서는 고지방식이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각각 12.83, 10.52%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위의 실험결과 돌단풍 에탄올 추출물은 체중, 간, 복강 내 지방조직의 감소와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향후 돌단풍은 비만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activity of Aceriphyllum rossii ethanol extract on rat fed a high fat diet. 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1 was the control. Group 2 was fed a high-fat diet. Group 3 was the positive control,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Garcinia Cambogia extracts. Group 4 was fed a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ethanol extracts of Aceriphyllum rossii (EEAR). Precisely 166 mg/kg of powdered Garcinia Cambogia extracts was used for Group 3. Also, 250 mg/kg of EEAR was used for Group 4. The Body weight increased Group 2, but decreased Group 4. The serum total cholesterol in Group 2 increased by 15.26% when compared to Group 1, but only increased 5.29% in Group 3 and 4.29% in Group 4. The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weights of Group 2 increased compared to Group 1, whereas they decreased in Group 3 and Group 4.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s in extracted livers, Group 2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Group 1, and Groups 3 and 4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Group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eriphyllum rossii ethanol extracts may be useful as an anti-obesity agent.

      • KCI우수등재

        원저 :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인자

        지회 ( Ji Hoe Park ),송홍지 ( Hong Ji Song ),천정기 ( Joung Ki Choun ),조정진 ( Jung Jin Cho ),백유진 ( Yu Jin Paek ),박경희 ( Kyung Hee Park ),김암 ( Ahm Kim ),이필량 ( Pyl Ryang Lee ),황종윤 ( Jong Yun Hwang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3

        연구배경: 한국인의 임신성 당뇨병은 2~3%의 유병률을 가지며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우리나라 여성에서 임신성 당뇨병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 임신 전 체중과 임신 중 체중 변화가 임신성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모 대학병원 산전 진찰을 하기위해 임신 제 1 삼분기부터 산부인과를 방문한 20~40대 산모들 중 확진 검사에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 91명의 환자군과 같은 연령대의 정상 산모군 175명에 대해 임신 전, 첫 방문 주수, 선별 검사, 확진 검사 시기별로 임상적 특성 및 산과적 과거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환자군이 평균 32.6±4.1세, 정상 대조군이 32.3±4.2세였다. 임신 전 체질량지수는 환자군에서 22.7±3.6 ㎏/㎡, 대조군에서 20.3±2.2 ㎏/㎡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선별 검사 시행 시기의 체중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검사상 요당 검출 (P<0.001), 당뇨병 가족력 (P<0.001), 임신성 당뇨병 (P<0.001)과 임신성 고혈압 과거력 (P=0.034), 전 아이 체중 (P=0.018)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임신력, 분만력, 선별 검사 시행 시기까지 체중 변화량, 변화율, 혈압, 자궁 내 성장 지연, 거대아 출산력, 자궁 내 태아 사망, 기형아 출산, 조산 횟수는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변량 분석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 (정상, 과체중, 비만군 교차비 OR=2.992, 4.811, 16.196), 요당 검출 (OR=57.160), 당뇨병 가족력 (OR=5.016)에 대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한국인의 임신성 당뇨의 산전 교정 가능한 위험 인자는 임신 전 체질량지수이고, 임신 전 체중 조절을 통해 임신성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is 2~3% in Korean women and GDM is known as a risk factor of type 2 DM. The effects of pregestational weight and also the impact of weight change during gestational period on GDM were studied in addition to the risk factors of GDM. Methods: Subjects involved 266 pregnant women,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who visited the Obstetrics and Gynecologic clinic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prenatal car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2. The GDM group consisted of 91 women, who were confirmed by 100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75 wom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bstetric histories of the subjects were assessed and analyzed each time during pregestation period, first visit, screening test period and final test period. Results: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in the GDM group was 32.6±4.1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32.3±4.2. The mean pregestational body mass index (BMI) was statistically higher (22.7±3.6 ㎏/㎡) among the GDM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0.3±2.2 ㎏/㎡). 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ere glucosuria (P<0.001), family history of DM (P<0.001), past history of GDM (P<0.001),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0.034), previously delivered baby`s weight (P=0.018).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those with family history of DM (OR=5.016), high pregestational BMI (OR=4.811 (overweight), 16.196 (obesity)), and glucosuria (OR=57.160)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DM.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high pregestational BMI is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GDM in Korean women. The risk of GDM may be prevented by pregestational weight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