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의 만족도

        박테레지아,라정란,서인옥,조영이,최숙경,박명희,허정희,김은경,Park, Theresia,Ra, Jeong-Ran,Seo, In-Ok,Cho, Young-Yee,Choi, Suk-Kyung,Park, Myung-Hee,Heo, Jeong-Hee,Kim, Eun-Ky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9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 No.2

        목적 : 본 연구는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여 돌봄을 받았던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1998년 4월에서 6월까지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가족 33명과 1993년 3월에서 1998년 3월까지 입원하여 임종한 사별 가족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QI(Quality Improvement)의 조사원이 시행하였으며 입원 환자 가족은 입원 $1{\sim}2$주 가족에게 질문지를 직접 배부하였고 사별 가족은 주소 화인을 통해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회수하였다. 결과 : 1) 입원 환자 가족과 사별 가족의 만족도는 평점 최대 5.0에 비하여 평점 3.50 이상이었다. 2) 연령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지지,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1) 사별 가족에서는 가족지지,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병동 시설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3) 가족관계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 간호, 의사 진료,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4) 종교에 따른 만족도는 입원 환자 가족에서 호스피스 철학, 가족 간호, 간호사 돌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01) 사별 가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호스피스 돌봄은 말기 암 환자의 가족에게 몇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가족의 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호스피스 팀 접근을 통한 간호가 필요하며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요구되는 가족의 요구를 살펴보아야 하겠다. 또한 추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in the hospice services provided for inpatient families and bereaved families whose members had been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the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heir families. Methods : This sample consisted of 33 families of hospice patients during the period of April to lune, 1998 and 30 bereaved families whose patients had died from March, 1993 to March, 1998.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Results : 1) The satisfaction level of inpatient families and bereaved families showed the mean value of 3.5 where the highest value is 5.0. 2) According to ag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s of hospice philosophy, support for the family, medical management and nursing management(P=0.0001).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bereaved famil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 of support for the family, medical management, nursing management, and facilities of the hospice unit(P=0.0001). 3) By family relationship,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s of hospice philosophy, support for the family, medical management and nursing management (P=0.0001). 4) According to relig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inpatient famili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elds of hospice philosophy, support for the family and nursing management (P=0.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bereaved families.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hospice services had positive influence on families with terminal disease such as cancer. To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hospice services for families with hospice patients, we need to provide care by an interdisciplinary hospice team approach, and to assess needs of the families according to their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ur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large samples.

      • KCI등재
      • 좋은 죽음의 개념 분석

        이경주,황경혜,라정란,홍정아,박재순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2006 호스피스논집 Vol.10 No.-

        Purpose: Death is not an option but a necessity in our life. However,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what a good death me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cept of a good death by exploring attribute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empirical criteria for a good death in literatures. Method : Reviewed material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web cites such as PubMed, National Library of Korea, National Assembly Library. Walker and Avant's method(2004) was used for this concept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showed that a good death includes seven attributes: dignity (personal respect and privacy), self-control (the right of choice, independence, clear consciousness), comfort (physical, psychological, spiritual). optimal relationships (supportive environment, proper car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appropriateness (sequence and proper age of death), preparation for death (completing unsettled tasks, leaving a legacy, positive attitude toward life, awareness and acceptance of death) and minimizing burden. Conclusion : This results will provide health professionals and people with a preliminary understandings of a good death. In addition, there is the need for further study to develop objective measurement of a good death and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dying.

      • KCI등재

        복수가 있는 말기 암환자에서 복수 배액관 시술의 효과와 예후요인 분석

        장명선,김철민,윤조히,라정란,장승남,김명옥,이자영,Jang, Mungsun,Kim, Chul-Min,Yoon, Johi,Nah, Jung-Ran,Chang, Seung-Nam,Kim, Myung Ok,Lee, Ja Yo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말기 암환자에서 악성 복수는 흔하게 발생하며, 그 자체가 나쁜 예후를 시사한다. 악성 복수에 대한 효과적이고, 최소한의 침습적인 방법으로 복수배액관 삽입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복수배액관 삽입을 시행한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복수배액관 시술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 분석하고 시술 후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서울 소재 일개 3차 의료기관 호스피스 병동에 2010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입원한 말기 암환자 2,608명 중 복수배액관 삽입을 시행한 67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인구학적 정보, 완화의료 수행지수, 혈액검사, 복수 배액관 유지 기간, 시술 합병증의 종류와 빈도, 항생제 사용 여부와 기간, 시술 후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복수 배액관 삽입 후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단변량 및 다변량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67명의 연구대상자 중 원발암은 간암 및 담도암과 위암이 가장 흔하였다. 복수배액관 시술 후 복수관련 증상의 호전은 55명(82.1%)에서 있었다. 시술 후 합병증은 통증(19.4%), 누수(14.9%), 배액관 빠짐(7.5%), 배액관 막힘(6%), 발열(4.5%)이었다. 복수배액관 시술 후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다변량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 결과 완화의료 수행지수(HR 0.73; P=0.045), 저나트륨혈증(HR 2.77; P=0.003)이었다. 결론: 복수를 동반한 말기 암환자에서 복수 배액관 시술 시, 완화의료 수행지수와 저나트륨혈증은 예후 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Malignant ascites is a common complica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Less-invasive pigtail catheter insertion is the most frequent procedure in patients who need repeated ascites drainage.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and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catheter insertion for ascites drainage and evaluated prognostic outcomes.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between 2010 and 2013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in Seoul, South Korea. Among 2,608 inpatients, 67 patients received ascites pigtail catheter drainage. We reviewed demographic data,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laboratory data, duration of catheter insertion, prevalence and type of complications, use and duration of antibiotics, and survival tim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Cox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valuate prognostic outcomes related with catheter insertion. Results: Ascites drainage was performed most commonly in hepatobiliary and gastric cancer patients. Ascites symptoms improved in 55 patients after the catheter drainage. Adverse events included pain (19.4%), leakage (14.9%), disconnection (7.5%), catheter occlusion (6%) and fever (4.5%). In Cox regression analysis, survival time from the catheter inser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 (HR 0.73; P value 0.045) and serum sodium level (HR 2.77; P value 0.003) in a multivariate model. Conclusion: Patients' PPS and serum sodium level should be considered before making a decision of pigtail catheter insertion.

      • 호스피스 병동 입원 환자의 삶의 질 변화

        박테레지아,송혜향,서인옥,조영이,박명희,허정희,김은경,박순주,라정란,Park, Theresia,Song, Hae-Hiang,Seo, In-Ok,Cho, Young-Yee,Park, Myung-Hee,Heo, Jeong-Hee,Kim, Eun-Kyung,Park, Sun-Ju,Ra, Jeong-Ra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입원 시 삶의 질과 간호서비스를 받는 동안 삶의 질 변화와 호스피스 간호서비스가 말기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 1999년 10월부터 2000년 3월 사이에 가톨릭 대학교 강남성모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와 가족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간호제공자에 의해 인지된 환자의 삶의 질 평점은 입원시, 입원 1, 2, 3, 4주에 각각 3.31, 3.68, 3.56, 3.73, 3.75로 입원 당시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입원시점에 따라 항목별로 살펴 볼 때 "신체적 청결"(F=6.50, P=0.0001) "통증조절"(F=18.01., P=0.0001) "대변상태"(F=2.96, P=0.0237) "수면상태"(F=3.99, P=0.0048) "메스꺼움/구토"(F=4.50, P=0.0022) "의료진의 편안한 돌봄"(F=3.95, P=0.0051) "가족들의 돌봄"(F=2.76, P=0.0317) "불안감"(F=3.14, P=0.0177) "마음이 편안함"(F=3.63, P=0.0085) "인간적인 대우"(F=3.32, P=0.0136) "죽음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고 생각함"(F=2.54, P=0.0450) 등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환자 자신에 의해 인지된 삶의 질 평점은 입원 시와 입원 1주에 각각 3.63, 3.83으로 향상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입원시점에 따라 항목별로 살펴볼 때 "통증조절" 항목만이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3) 사망시점으로부터 삶의 질 평점은 사망 5주전, 4주전, 3주전, 2주전, 1주전에 각각 3.48, 3.51, 3.44, 3.46, 3.50이었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호스피스 서비스는 말기 환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졌다. 따라서 호스피스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호스피스 환자들을 지지해 줄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특히 간호의 영적 영역에 초점을 두어야 하겠다. 또한 말기 환자의 주관적인 삶의 질 측정을 위해 도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대상자를 확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at admission and after weeks hospice service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hospice servi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subjects were 100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between October 1999 and March 2000,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revised by the authors and were analyzed by means of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 1) Patient's quality of life as perceived by the primary caregiver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mean score was 3.31, 3.68, 3.56, 3.73, 3.75 at admission and week 1, 2, 3, 4. With the detailed item analysis, the following item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improved: "clean bodies"(F=6.50, P=0.0001) "pain control"(F=18.01, P=0.0001) constipate"(F=2.96, P=0.0237) "sleep"(F=3.99, P=0.0048) "nausea/vomiting"(F=4.50, P=0.0022) "medical team's comfortable care" (F=3.95, P=0.0051) "family's care"(F=2.76, P=0.0317) "anxiety" (F=3.14, P=0.0177) "comfort"(F=3.63, P=0.0085) "treat with dignity"(F=3.32, P=0.0136). The item of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rather the beginn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F=2.54, P=0.0450). 2) Patient's quality of life as perceived by the patient showed an improvement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the mean score was 3.63 and 3.83 at admission and week 1. With the detailed item analysis, the item of "pain control"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improved(F=9.19, P=0.0251). 3) The quality of score in the last week of life of patient were 3.48, 3.51, 3.44, 3.46, 3.50, respectively, from 5 week prior to 1 week prior to death and these changes were insignificant.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effect of hospice service on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e need first of all to develop hospice intervention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spiritual aspect of patient. Secondly, measurement instruments need to be developed to coll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hospice patients who become weakened especially in the last weeks of their life and with this effort more representative data of hospice patients may be coll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