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숲체험 음악놀이 프로그램이 영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류은주(Ryu, Eun-Joo),신은경(Shin, Eun-Kyung)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에게 적합한 숲체험 음악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영아에게 적용하여 영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북 D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실험집단 12명)과 T어린이집(비교집단 12명)에 재원중인 만 2세 영아 2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의 경우 주 2회씩 8주동안 16회기에 걸쳐 음악놀이 프로그램을 숲에서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동일한 프로그램을 교실에서 실시하였다. 숲체험 음악놀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동 전・후에 정서지능 검사와 또래상호작용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여 집단 간 차이를 t-검증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체험 음악놀이 프로그램은 영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인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이용, 타인정서인식 및 배려, 대인관계기술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숲체험 음악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영아의 또래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인 놀이상호작용을 증진하고, 놀이붕괴 및 놀이단절을 감소시키는 데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영아기에 정서지능 및 또래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숲체험 음악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는 놀이환경을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sical activity program in forest influenc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4 children aged 2 years old who were funded by the “S” daycare center and the “T” children’s home in D, North Gyeongsang Province. Twelve inf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music activity program in the forest twice a week for 16 times a week, and 12 infants of the comparative group performed free activities based on standard child care and selection. Emotional intelligence tests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s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activities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s of musical activity program in forest. The treatment of all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by means,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sic activity program in the fores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and children, controlling and controlling emotions, As sub-factors and self-expression of self-emotion, emotion control and impulse inhibition, the use of self-emotions, emotional awareness and consideration of the others, and improving interpersonal skills. Second, music activity program in the forest were effective in promoting the overall peer interaction of infants and also As sub-factors children’s peer interactions,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play environment in which music activity program in the forest can be implemented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s.

      • 비단어 따라말하기 전산화 과제 분석

        류은주(Eun Joo Ryu),박기남(Ki Nam Park),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Speech sound arrangement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honological knowledge and short-term memory capacity as well as speech output ability.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they have difficulties in selecting and arranging correct phonemes. Therefore,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focusing on phonological processing.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a computerized task that can evaluate the ability to encode non-word-based repeating assignment in a sequential order. Methods: Non-word items from 3 syllables to 6 syllables to be used in the assignment were selected. The average syllable frequency of the items in each syllable number was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frequency dictionary, and wordlikeness ratings were evaluated in 68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After selecting appropriate evaluation criteria and scoring method for Korean non-word items, we constructed them as window-based computerized task. Result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coring of subjects" responses, the syllable structure of the non-word items was limited to the CV syllables. The mean total syllable frequency of non-words was 1020.19, and wordlikeness ratings were less than 2 points in all items. Through the computerized task, it wa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cord the subject"s responses and to automatically mark the retrieval and the arrangement scores. Conclusions: The computerized non-word repetition task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asier and more accurate evaluation of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of the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KCI등재

        음운 인출 및 배열 처리능력 평가를 위한 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 검사의 개발 및 적용

        류은주(Eun Joo Ryu),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 검사(nSRT)를 개발한 후, 이를 학령전기 일반아동들 에게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인출능력과 배열능력을 연령 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3-5음절로 구성된 nSRT 예비 항목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nSRT 항목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해 Cronbach’s alpha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분석, 단어유사성 조사, 평균음절빈도 산출을 실시하였다. 이후 4-6세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nSRT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령 집단 간 수행 차이를 인출과 배열 점수, 그리고 음절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과: 3음절어 7개, 4음절어 7개, 5음절어 7개로 구성된 최종 항목이 도출되었다. 전체 항목의 내적일치 신뢰도는 .914로 매우 높았고, 모든 비단어 항목들은 단어유사성은 낮고 평균음절빈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nSRT 수행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항목의 길이가 길수록, 그리고 인출보다 배열에서 유의하게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음절수에 따라 인출과 배열 점수 양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nSRT 과제를 개발하고 인출과 배열 점수 체계를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nsense Syllable Repetition Test (nSRT)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o verify its usefulness. This study also intended to establish a scoring system that classifies and evaluates the retrieval ability and the sequencing ability of subjects. Methods: The final items were deriv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Cronbach’s alpha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and word similarity survey were conducted, and average syllable frequency was calculated on nSRT items. Then, four, five, and six year old children were examined using the nSRT, and the differences in their performance were analyzed according to phonological processing types (phonological retrieval and phonological sequencing) and number of syllables of items. Results: The final items consisted of seven words in each of the 3, 4, and 5 nonsense syllables group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all items was very high (= .914), and all items showed low word similarity and high mean syllable frequency. As the children’s age increased, their test performance improved significantly;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syllables, the more difficult the test wa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mong the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it was significantly more difficult to sequence items than to retrieve items.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s a new nSRT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establishes the retrieval and sequencing score system.

      • KCI등재

        Developmental Study of Korean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in 2- to 7-Year-Old Children

        Eun Joo Ryu(류은주),Mi Jin Kim(김미진),Ji-Wan Ha(하지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평음, 경음, 격음의 발성유형에 따른 말소리산출의 발달 양상을 알아보았다. 또한 연령집단 간 각 발성유형에 대한 오류패턴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 중 나이에 적절한 오류패턴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방법: 현재 개발 중인 UTAP2에 포함된 30개의 단어 중 초성에 장애음을 포함한 총 27개의 단어에 대해, 2-7세 연령별로 평음, 경음, 격음의 정확도를 산출한 후 연령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때 한국어의 방언적 특성을 고려하여 경상도권 아동들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발성유형별로 산출될 수 있는 오류패턴을 평음의 경음화, 평음의 격음화, 경음의 평음화, 경음의 격음화, 격음의 평음화, 격음의 경음화 6가지로 구분하여,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오류패턴에 대해 해당 연령대에서의 발생 비율을 산출하여 10% 이상의 아동들에서 나타난 오류패턴(나이에 적절한 오류패턴)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분석 시 한국어의 마찰음 특성을 고려하여 평음 또는 경음이 오조음될 때 기식성이 추가되는 것은 오류로 분석하지 않았다. 결과: 발성유형에 대한 발달은 3세에 거의 완성되어 4세에 들어서면서 안정화되었다. 세 발성유형 중 격음이 가장 늦게 발달하여 3세까지 평음과 경음보다 정확도가 떨어졌고, 평균적으로는 평음이 가장 먼저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세에 평음의 경음화와 격음의 경음화를 보이는 것은 나이에 적절한 오류패턴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발성유형별 말소리산출의 정확도와 오류패턴의 발달 양상에 대해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무엇보다 전국규모의 대규모 자료에서 지역적 방언의 특성과 한국어 마찰음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lax, tense and aspirated sounds in words by age. We also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error patterns for three different phonation types among age groups, and identified age-appropriate error patterns. Methods: We conducted a word-level test of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2 (UTAP2) fo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from 2 to 7 years of age in Seoul/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areas in Korea. We assessed children’s speech accuracy in words with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Also, we conducted a detailed review on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error patterns shown by children. Results: Our study found that accuracy by phonation type was higher as the children’s ages increased, and development of phonation types was almost completed at age 3 and stabilized at age 4. The aspirated consonants were the slowest to develop, and their accuracy wa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phonation types until 3 years ol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rror patterns refl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fricatives and regional dialects, this study consequently identified tensification of lax consonants and tensification of aspirated consonants as age-appropriate error patterns at age 2.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rror patterns and the accuracy of speech sound production by phonation types according to ag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 large-scale national data.

      • KCI등재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언어 표현력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류은주 ( Eun Joo Ryu ),황희숙 ( Hee Sook Hw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de Bono가 개발한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언어 표현력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B시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58명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육색사고모 기법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미학적 요소에 기초한 명화감상 활동을 실시하였다. 창의성검사인 TTCT, 언어 표현력검사, 미술 감상능력검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창의성, 언어 표현력, 미술 감상능력의 사후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육색사고모 기법은 유아의 명화감상 활동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activity using the six thinking hat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verbal expression abilities, and art appreci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8 young children who attended a kindergarten in Busa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art appreciation activity using the six thinking hats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art elements-based appreciation activity.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post-test scor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rt appreciation activity using the six thinking hats would be more effective to develop young children`s creativity, verbal expression abilities, and art appreciation than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activity.

      • KCI등재

        K-Pop과 실용음악의 상호보완적 역할에 관한 연구

        류은주(Eun-Joo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신(新)한류의 재조명으로 K-Pop음악 산업의 흥행은 지속되는 한편, 대부분이 아이돌 댄스 음악이라는 획일적인 장르적 한계를 이유로 한류 지속가능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실용음악 교육의 체제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질의향상을 이룩해야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실용음악 교육이 K-Pop음악 산업의 지속적 성공에 조력할 수 있는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K-Pop과 실용음악의 의미와 연관성을 파악하고, 두 영역의 상호보완적 역할수행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13년부터 3년간 국내공인가요파트인 가온차트에서 디지털종합순위의 100위내에 진입했던 곡에 관여한 인물들 즉, 가수, 작·편곡가, 작사가 및 연주자들을 K-Pop인재로 간주하여 조사하고, 그들 중 얼마만큼 실용음악 전공과 관련 있는지 파악한 결과, 41.74%로 확인되었다. 한국 대중음악이라는 큰 공통적 분모 아래에서 지속적인 한류를 위해 서로 협업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는 다양한 K-Pop음악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적인 니즈 증대와 이를 위한 국내외 사회적 분위기 형성, K-Pop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제도의 변화 등이 있다. The success of K-Pop music industry continues as there is a new light shedding on the new Korean wave. There is a continuous discussion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e idol’s dance music because of its limit in the uniform genre. As a solu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K-pop music, researchers said to supplement it through the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in the applied music However, research into how much the education of applied music is contributing to the continuous success of the K-Pop music industry and how each industry is affecting each other was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will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K_Pop and the applied music, and look into ways that can act as a mutual supplementation for both fields. subjects of analysis included performing artists, composers, arrangers, lyricists, and singers for songs within the top 100 of the digital total ranking for the past three years in the Gaon chart which is the official music chart for Korea. Then, the study apprehended how many of those subject had relations with the applied music and their activity frequency. As a result,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 of K-Pop performers, at 41.74%, who also majored in the applied music To continue to tendency of Korean wave and develop the Korean popular music, this study will explore roles each industry should cooperate in the future. There were the formation of social atmosphere for increase of consumer’s needs to diverse K-pop music and change of education for training its human resources that K-pop industry demand.

      • KCI등재

        K-Pop 아티스트와 음악적 천재 담론

        류은주(Ryu, Eun Joo)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7

        2019년, K-Pop 아티스트 비아이(B.I)는 스스로 ‘천재’가 되고 싶다고 하면서환각제인 LSD(Lysergic acid diethylamide) 구매를 시도하였고, 그가 작성한 SNS 메시지가 기사를 통해 공개되면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바 있다. 이후, 수사과정을 통해 LSD 구매는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수사과정과는 별개로 연구자는 그가 LSD 구입을 시도하면서 ‘천재’를 언급하게 된것이 현재 대중음악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천재’를 수식할 때와는 다른 독특한사례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kate식의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을중심으로 18세기 후반 독일에서 탄생한 음악적 ‘천재 미학’의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천재’가 무엇인지 탐구하기 위해 ‘천재 미학’ 과 ‘음악적 천재’에 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한다. 둘째, 가수 비아이의 사례에 관계된 다각적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한다. 셋째, 비아이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현시대에 ‘천재’ 미학의 유효성에 대한 여러 담론을 논의하고 변화된 ‘천재’의의미를 재조명한다. 본 연구는 해당 사례에 드러난 근본적인 배경을 탐구하고K-Pop과 ‘천재’의 연계성 및 ‘천재 미학’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In 2019, one of k-pop artists called B.I tried to buy LSD(Lysergic acid diethylamide) wanting to be ‘genius’, and his SNS message chatting about LSD has been shared to the public by a press report which caused a social issue. Later, it is revealed that purchase LSD has not been actually happened during the police investigation. Apart from the investigation, the researcher has perceived that he mentioned ‘genius’ to attain LSD was an unique case, compared to when ‘genius’ is referred generally. Therefore, the study will examine ‘aesthetics of genius’ theoretically, which has been started in 18th century from Germany, based on the intrinsic case study by Robert E. Skate. For the study method, first, the study will proceed literature review of ‘musical genie’ in order to study what ‘genius’ means. The second stage in research will be multilateral data collection about the case of ‘B.I’, and analysis of them. Third, the various discourses about the validity of ‘aesthetics of genius’ will be discussed from the case of ‘B.I’, and the developed meaning of ‘genius’ will be rekindl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fundamental background from the case, to reveal the relativity between k-pop and ‘genius’, and to propose the new insight into ‘aesthetics of genius.’

      • KCI등재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왜곡 오류에 대한 발달 연구

        김미진(Mi Jin Kim),류은주(Eun Joo Ryu),하지완(Ji-Wan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detail by comparing the distortion error rates and error patterns of affricative, fricative, and liquid sounds; which are later developing speech sounds in Korean and exhibit many errors. Method: A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2 (UTAP2) word-level test was performed on 55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2-7 years. We compared the error rates and error patterns in words containing affricate, fricative, and liquid sounds among age groups. Results: First, the error rat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older age group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As age increased, error rates decreased in the order of initial /l/, /ʨ*/, /ʨ/, /ʨh/, final /l/, /s*/, and /s/. Second, regarding error patterns, the affricatives began with substitution and developed through the stopping process. The fricative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substitution and interdentalization/dentalization, and the liquids developed through omission and weake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process of speech sounds by analyzing error patterns; focusing on distortion errors of affricative, fricative, and liquid sounds in a sufficient amount of data from each groups. Thi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guide a gradual approach towards a target phoneme in the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말소리에서 가장 늦게 습득하며, 많은 오류를 보이는 말소리인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오류율과 오류패턴에 대한 발달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세 후반부터 7세의 일반아동 556명을 대상으로 UTAP2의 단어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파찰음, 마찰음, 유음이 포함된 단어의 산출 시 나타나는 오류율과 오류패턴 별 비율을 산출한 후 연령집단 간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말소리에서 오류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말소리 별로는 설측음 /ㄹ/, 파찰음, 탄설음 /ㄹ/, 마찰음 순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연령의 증가에 따른 오류패턴의 분포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파찰음은 대치, 파열음화의 과정을, 마찰음은 대치, 치간음화의 과정을, 유음은 생략, 대치, 약화의 과정을 거쳐 목표 말소리에 접근함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일반아동의 경우도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정확한 조음은 여러 왜곡 오류를 거쳐 완성되는, 생각보다 긴 여정이었다. 말소리 발달의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전국 규모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학술적 근거가 부족하였던 왜곡 오류패턴의 발달 과정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중재 시 목표 음소를 향해 점진적인 접근을 유도하는 데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Bacillus subtilis BK-17 유래 혈전용해 효소의 특성

        백현,임학섭,정경태,최영현,최병태,서민정,김지은,류은주,허만규,주우홍,정영기,Hyun Bek,Lim Hak-Seob,Chung Kyung Kae,Choi Yung Hyun,Choi Byung Tae,Seo Min-Jeong,Kim Ji-Eun,Ryu Eun-Ju,Huh Man Kyu,Joo Woo Hong,Jeong Young Kee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6

        마른 볏짚으로부터 fibrinolytic enzyme (BK)을 분비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속으로 분류되었다. 분리된 균주(Bacillus subtilis BK-17를 배양하여 그 배양액으로부터 에탄올 침전, ion exchange, gel filtration 등의 과정을 거쳐 fibrinolytic enzyme (BK)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이 정제된 효소를 SDS-PACE gel 전기영동한 결과 분자량은 약 31 kDa 이었다. BK의 활성 및 안정성에 대한 pH의 영향을 조사해본 결과, pH $6\∼8$범위에서 매우 높았고, 최적 pH는 7과 8이었다. 본 효소의 활성 및 안정성에 대한 최적 온도는 $50^{\circ}C$이었으며, $20^{\circ}C\∼50^{\circ}C$범위에서는 안정성이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60^{\circ}C\∼80^{\circ}C$범위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여 $50^{\circ}C$에 비해 $20\%\∼40\%$의 활성을 보였다. BK에 대한 활성 역시 안정성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고, 다만 $20^{\circ}C$에서 약 $62\%$의 활성을 보였고, 그 이후 $50^{\circ}C$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50^{\circ}C$에서 최대의 활성을 보였다. 실험한 금속이온들 중 1 mM의 $Zn^{2+}$와 $Ca^{2+}$에서 각각 $35\%$와 $23\%$의 저해활성을 보였지만 나머지 이온들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이 없었다. 동일농도의 EDTA에 대해서는 $45\%$의 저해활성을 보였기 때문에 BK는 metallo enzyme으로 생각된다. Fibrinogen-rich fibrin plate 와 plasminogen-free fibrin plate에서의 분해활성을 검토해본 결과, 두 plate에서 비슷한 분해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효소는 plasminogen activator type 보다는 fibrin에 직접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A bacterium, producing a fibrinolytic enzyme, was screened from a decaying rice plant.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by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named Bacillus subtilis BK-17. The fibrinolytic enzyme (BK) was purified from supernatant of Bacillus subtilis BK-17 culture broth. The molecular weight was 31 kDa as determined by SDS-PAGE. The effect of temperature, pH, and plasminogen on the activity of the bacillokinase (BK) was analysed and the activity was compared with urokinase.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were $50^{circ}C$ and pH 7, pH 8, respectively. The BK activity was inhibited to $45\%$, $35\%$, and $23\%$ with 1mM EDTA, $Zn^{2+}$, and $Ca^{2+}$, respectively. However, $Mg^{2+}$, $Mn^{2+}$, and $Co^{2+}$ ion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enzyme activity The BK showed the artivity in the both plates, plasminogen-free fibrin plate and plasminogen-rich fibrin plat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BK can directly act the fibrin. In comparison of fibrinolytic activity with urokinase on the fibrin plate, the BK shows about 20 folds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the urokinase.

      • Bacillus subtilis 接種이 土壤微生物相에 미치는 影響(Ⅰ) : 볏짚 및 크로버 添加區에서의 微生物相의 變動 Changes in Microflora by Application of Straw and Clover

        孔惠淑,柳恩珠,梁昌述 建國大學校 附設 農業資源開發硏究所 1993 農資源開發論集 Vol.18 No.-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B. subtilis를 有機物이 施用된 토양에 還元 接種하여 有機物 種類에 따른 B. subtilis의 토양중에서 適應·定着性 및 B.subtilis가 다른 土壤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을 經時的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有機物이 시용된 토양중에서 B,subtilis와 植物 病原菌인 F. oxysporum을 동시에 接種하여 상호간의 拮抗的 關係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 subtilis菌數는 對照區에서보다 B. subtilis 接種區에서 增加를 보였고 단지 볏짚 및 크로버만을 사용한 區에서보다 볏짚 및 크로버 施用區에 B. subtilis를 접종한 區가 약 2배 정도 B. subtilis菌數의 증가를 보였다. 특히 B.subtilis를 有機物 施用區에 접종했을 때 볏짚 시용구가 크로버 시용구에서보다 B. subtilis菌數가 약 3배 정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 細菌과 絲狀菌數는 대조구보다 B.subtilis 接種區에서 각각 23% 및 20%씩 감소하였으므로 또한 크로버 시용구에서보다 크로버+B. subtilis 접종구에서도 각각 33% 및 16%씩 감소하였고, 볏짚 시용구에서는 볏짚+B. subtilis 접종구에서 각각 29% 및 32%씩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3) 胞子形成菌數는 대조구보다 B. subtilis 접종구에서 약 10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단지 有機物만을 시용한 區보다도 크로버+B. subtilis 접종구와 +B. subtilis 접종구에서 각각 2배, 4배 정도의 증가경향을 보였다. 또한 gram(-)細菌도 胞子形成菌數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B. subtilis接種이 그람 음성 세균수의 변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F. oxysporum의 菌數는 크로버 시용구에서보다 크로버+F. oxysporum 접종구에서 25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크로버+B. subtilis 접종구에서는 크로버+F. oxysporum 접종구보다 약 5배 정도의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F. oxysporum菌數는 볏짚+F. oxysporum區에서 볏짚 單獨施用區보다 3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볏짚+B. subtilis+F. oxysporum접종구는 볏짚+F. oxysporum접종구보다 F. oxysporum의 數가 약 17배 정도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F. oxysporum菌數는 크로버+B. subtilis+F. oxysporum접종구보다 볏짚+B. subtilis+F. oxysporum접종구에서 약 40배 정도의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5) 크로버 시용구의 토양 pH는 약 ph 9에 이르러 토양 ph가 alkali화되었으며 볏짚시용구의 토양 ph는 큰 변화 없이 약산성을 유지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daptation of Bacillus subtilis to the soil and the antagonistic interaction between B. subtilis and pathogen Fusarium oxysporum as well as the periodic change of soil microflora when B. subtilis was inoculated to the soil treated with organic matters. Som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B. subtilis was more increased about 6 times in the plot inoculated with B.subtilis than in control plot. It was relatively double in the organic matter+ B. subtilis plot than in the only organic matter plot. B. subtilis was particuraly increased about 3 times in the straw +B. subtilis plot, compared with the clover +B. subtilis plot. 2)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and fungi was decreased by 23% and 20% in the plot inoculated with B.subtilis respectively than in control plot. It was not only decreased by 33% and 16% in the clover+B. subtilis plot respectively than in the only clover plot but it was also decreased by 29% and 32% in the straw+B. subtilis plot respectively than in the only straw plot. 3) The number of spore-forming bacteria was increased about 10 times in the plot inoculated with B.subtilis than in the control plot. It was also increased 2 times and 4 times in the clover+B.subtilis plot and in the straw+B. subtilis plot respectively than in each organic matter plot. The number of gram-negative bacteria and the spore-forming bacteria were slightly increased in all the plot inoculated with B. subtilis. 4) The number of F. oxysporum was increased about 25 times in the clover+ F. oxysporum plot than in the only clover plot. But it was decreased about 5 times in the clover+B.subtilis+ F. oxysporum plot than in the clover +F. oxysporum plot. Furthermore, F. oxysporum was remarkably decreased about 40times in the straw+B. subtilis+ F. oxysporum plot than in the clover+b. subtilis+ F. oxysporum plot. It occured that B. subtilis had inhibited the growth of pathogen F. oxysporum when B. subtilis was inoculation to the soil treated with straw. 5) Soil pH was changed to pH 9 in the plot treated with clover to become the alkalification of experimental soil. Meanwhile it was not changed in the plot treated with str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