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학습기반 방향성을 고려한 자율 어뢰 기동 제어

        노지민,이현수,박수현,김중헌,김건형,김승환 한국통신학회 202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9 No.5

        본 논문에서는 해양 작전에서의 자율 어뢰의 목표 지점 도달을 위한 어뢰 기동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어뢰의 유연한 기동을 위해 다양한 각도로의 방향성을 고려한다. 또한, 실제 해양 환경에서의 지형물로 인한장애물과 어뢰의 각도 전환 시 발생하는 변침점을 억제하여 어뢰 기동의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회전각도에 따른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에이전트의 행동을 반영한 환경을 정의한다. 이후 Markov Decision Process 기반 강화학습 알고리즘인 Q-Learning을 사용하여 어뢰 기동 전략을 수립한다. 최종적으로 본알고리즘이 일반적인 Q-Learning 알고리즘에 비교하여 목표 지점까지의 도달 성공률 및 변침점 생성 개수를 통해해당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실제 해양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optimize the autonomous torpedo maneuver path for reaching the target of torpedoes, which are explosive projectile weapons in naval operations. For flexible maneuvering of torpedoes, movement in various directions is considered. Also, the obstacles in the actual marine environment and the minimization of the waypoint that occurs when the angle of the torpedoes is changed conside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orpedo maneuvering.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environment that reflects the action of the torpedo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maximum rotation angle. Torpedo maneuver strategy is formulated by applying a Markov Decision Process based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Q-Learning. Compared to the general Q-Learning algorithm,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assessed and its applicability in the actual marine environment, through the success rate of reaching the target point and the number of waypoints.

      • KCI등재

        접경지대(Contact Zone)의 개념으로 보는 이문화 접촉의 의미 ― 조선시대 일본인 마을 왜관(倭館)에서 발생한 교간사건을 중심으로 ―

        노지민 한국일본학회 2019 日本學報 Vol.0 No.119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ross-cultural contact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Joseon era by using the notion of contact zone, mainly focusing on the space called Waegwan as a path to the foundation of cultural “compromise” between the two nations. The contact zone in this paper refers to a spatial idea which explains a diversity of sociocultural agents’ gathering, crash, and collision with each other, which eventually led to negotiation between different cultur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is concept has not received any attention in the Korean academic fields even though it is indispensable when the story of 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comes up. Thus, this paper will discuss the latest notion of contact zone which states that the contact zone can be applied even to a historical issue in the Joseon era through the lens of the space, Waegwan. Waegwan is a foreign concession where Japanese people settled in the land of Joseon to live with various objectives and exchanges. It is a place located in Dongrae(Busan) not only for diplomacy and commerce between Joseon and Japan but also for cultural exchange with each other at an individual level. The entire town of Waegwan was surrounded by walls, controlled and guarded by the Joseon government, but it was a land where the flavors of different cultures could be experienced by the people. To note, prostitution in Waegwan is one of the valuable cases which describes contact zone with the situational elements in the Joseon era. Considering the phenomena which show how a plurality of cultures and people could coexist in a specific space, this paper indicates the approach of Waegwan’s historical role and function and also tries to build a case on the concept of contact zone with the idea of cultural diversity. 본 원고는 접경지대(Contact Zone)의 개념을 토대로 조선과 일본의 문화적 ‘타협’의 뿌리로 가는 경로를 왜관이라는 공간에 초점을 맞춰 조선시대에 이루어진 이문화 접촉의 내막을 살펴본다. 접경지대란 다양한 사회문화적 주체들이 동일한 공간에서 서로 부딪히고 충돌하고 소통하며 각기 상이한 문화를 협상하는 사회적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문화적 접촉이나 교류를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개념이지만, 아직까지 한국사회에서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원고에서는 접경지대의 개념을 통해 조선시대의 왜관(倭館)에서 발생한 이문화 접촉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학문적 접근을 시도한다. 왜관은 다양한 목표의 교류를 위해 조선의 땅에 들어와 생활하던 일본사람들의 집단 거류지다. 동래(부산)에 등장한 왜관은 조선과 일본의 외교와 무역이 진행된 공간이자, 조선사람들과 일본사람들이 문화를 교류한 지리적 영역이기도 하다. 사방이 담으로 둘러싸인 일본인 마을 왜관은 항시 감시되며 통제되면서도 개인 차원에서 다양한 이문화의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왜관 주변에서 발생한 교간(交奸)사건은 이문화 충돌의 타협을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의 하나로, 당시의 상황적 요소로서 접경지대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관점이 될 수 있다. 복수의 문화와 민족이 한 공간에 존재하며 일어나는 현상들의 실태를 파악하며, 왜관의 시대적 역할과 기능의 재고찰 및 접경지대로서의 또 다른 사례의 구축을 시도함으로써 지리적 다양성이 보여주는 문화적 다양성을 본 원고에서 논의한다.

      • KCI등재

        기혼 중년여성이 경험한 신흥종교 입탈퇴 과정의 체험성 연구

        노지민(Jee Min Roh),유영권(Young Gweon You)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중년여성이 경험한 신흥종교의 입탈퇴 과정과 그 체험성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8명의 신흥종교 탈퇴를 경험한 기혼 중년여성을 심층 면접한 후 도출된 하위 주제들을 van Manen(1990)의 체험된 실존 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기혼 중년여성의 신흥종교 경험으로 체험된 신체성에서 4가지, 체험된 관계성에서는 6가지, 모두 10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첫째, 입교 과정에서 신흥종교 단체의 신분을 은폐하려는 포교 전략이 있었고,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종교 자체가 아닌 애착 관계를 선택하면서 신흥종교에 빠졌으며, 셋째, 신흥종교를 탈퇴하는 과정에서는 가족관계가 주요한 맥락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흥종교에 대한 기혼 중년여성의 체험적 인식을 심리적으로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 기독교 상담 및 목회의 실무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entering and exiting new religious groups as experienced by married middle-aged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o this end, sub themes that emerg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arried middle-aged women who had experienced new religious group withdrawal were reorganized through van Manen's(1990) experienced existential domains. In conclusion, firstly, there were proselytizing strategies to conceal the identity of the new religious organization during the initiation process, secondly, the participants entered into the new religious group based on the relationship rather than the religion itself, and thirdly, family relationships were the main contextual factors in the process of leaving the new religion. This study is the first one which analyzes psychologically married-aged women’s experiential perceptions of new religious groups and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for Christian counseling and pastoral practice.

      • 그린디자인 개발을 위한 그린기술 정보제공 서비스 구축 2

        노지민(Noh Ji-min),경준혁(Kyoung Jun Hyouk)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This study is for the materialization of actual service in the on-line, composition of proto-typed contents, interface and its way of use based on preceding study, "The Composition of Service for Green Technology Information Supply to Develop Green Design" And this system aims to provide professional contents of green technologies, which might be difficult for designer to understand, in the online (www.designmap.or.kr) to designer for easier utilization in the design process after modification through designer-friendly interface and to contribute the healthy revitalization of design development in concerned field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와 마음읽기의 관계

        노지민(Jimin Roh),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건청 아동의 질문유형(사실정보, 추론)에 따른 읽기이해력과 마음읽기능력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 정보처리 과정에서의 마음읽기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5세 전에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받은 초등학교 고학년 청각장애 아동 16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건청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읽기이해 과제와 마음읽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이원혼합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집단 간 질문유형에 따른 읽기이해력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집단에 대한 주효과는 없었고, 질문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있었다. 사실정보 읽기이해에 비해 추론 읽기이해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질문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마음읽기능력이 건청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건청 아동의 사실정보 읽기이해는 수용어휘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추론 읽기이해는 마음읽기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표현어휘력이 사실정보 및 추론읽기이해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생활연령, 마음읽기능력, 수용 ·표현어휘력 중 건청아동의 사실정보 읽기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수용어휘력이 나타났으며, 추론 읽기이해력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마음읽기능력이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은 표현어휘력이 사실정보 읽기이해력과 추론 읽기이해력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두 집단 간 읽기이해력과 마음읽기의 관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읽기이해 중재 시 마음읽기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 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reading comprehension (RC) performance between group by question types (literal vs. inference);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ach group on mind-reading;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best predict RC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I) compared to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NH). Methods: A total of 32 children composed of 16 children with CI aged from 9 to 12 years old and 16 of their NH pe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were tested on RC and mind-reading tas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RC according to question types.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literal RC than in inference RC. The group by question type of RC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Children with CI’s mind-read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H childre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literal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inference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ind-reading ability in NH children. However, CI children’s literal RC and inference RC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pressive vocabulary.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best predictor of literal RC for NH children was receptive vocabulary and the best predictor of inference RC for NH children was mindreading ability. However, children with CI’s best predictor of literal RC and inference RC were expressive vocabular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I’s RC inefficiently processed compared to NH children. They have difficulty in using top-down process of RC as well as using bottom-up process.

      • KCI등재

        유기농 식물성 계면활성제의 합성과 베르가못오일에 대한 가용화력에 관한 연구

        김인영,노지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4

        The study is on the cosmetic solubilizing power of organic plant surfactants. The blended high purity polyglyceryl-10 oleate and polyglyceryl-10 stearate mixtures were synthesized using organically certified raw materials to develop surfactants having excellent solubilizing power. The mixture is called “Solubil ORG-1300”. The appearance of this material is a pale yellowish paste, with a specific odor. The specific gravity was 1.12 and it was high purity that acid value was 0.072±0.1. The HLB value of this natural surfactant was averaged = 15.1 and calculated through the Griffin equation. Mechanically it is explained how organic surfactant are available with fragrance and oils. The solubilizing test was determined by eye evaluation method through the dissolving performance test for the two oils and measured the transmittance at 890 nm using a UV spectrophotometer to measure the transpar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surfactant needed to make Bergamot oil available requires approximately more 2 tim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surfactant needed to make the tocoperyl acetate available was about 8 times higher. Experiments on the solubility resulting from pH changes showed stabilized usable firepower even in acidic areas of pH=3.5, neutral areas of pH=7.2, and alkaline areas of pH=1.5. Experiments on the solubility according to pH variation showed good solubility stabilized in acidic areas of pH=3.5, neutral areas of pH=7.2, and alkaline areas of pH=11.5. As an application of cosmetics, the company successfully developed a prescription for moisturizing t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will be available for skin care, baby lotion, sensitivity or atopic skin cosmetics. 이 연구는 유기농 식물성 계면활성제의 화장품 가용화력에 관한 연구이다. 유기농으로 인증된 원료를 사용하여 고순도의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와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를 합성하여 우수한 가용화력을 가진 계면활성제를 개발하였다. 이 혼합원료의 이름을 Solubil ORG-1300으로 칭하 였다. 이 원료의 외관은 엷은 노란색의 페이스트이었고, 특이한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다. 비중은 1.15, 산가는 0.072±0.1로 순도가 높았다. 이 계면활성제의 HLB값은 평균값=15.1로 Griffin식을 사용 하여 계산하였다. 유기농 가용화제가 향과 오일을 어떻게 가용화되는가를 메커니즘적으로 해석하였다. 가용화 실험은 두 가지 오일에 대하여 성능실험을 통하여 유관으로 판별하고 UV분광광도계로 890nm에서 투과도를 측정하여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 베르가못오일을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약 2 배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 활성제의 농도는 약 8배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H변화에 따른 가용화력을 실험한 결과 pH=3.5의 산성영역, pH=7.2의 중성영역, pH=11.5의 알칼리성영역에서도 안정화된 가용화력을 보였다. 화장품의 응용분야로써 보습스킨토너 처방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킨케어, 베이비 로션, 민감성 혹은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에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순차적 양측 인공와우 아동들의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적 듣기수행력

        김유정,노지민,이종주,홍수아,임혜진,박헌이,정연훈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5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8 No.7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the sequential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in children with a long inter-implant interval provides functional benefits in everyday situation. Subjects and Method Seventeen children with sequential bilateral cochlear implants (BiCIs) (mean age at first implantation, 2.6 years; mean age at second implantation, 8.5 years; mean inter-implant interval, 6.0 years) and 17 children with unilateral cochlear implants (UniCI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SQ (The Speech, Spatial, and Qualities of hearing scal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impaired hearing, Galvin, 2007) was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wo groups by individually interviewing the parents of the subjects. For the BiCIs, anecdotal reports of the performance in everyday listening situation and device use were also collected in interviews. Results The BiCI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all three areas (speech perception, spatial hearing, and other qualities of hearing) of the SSQ than did the UniCI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performance on ‘spatial hearing’ and ‘other qualities of hearing’ than on ‘speech perception’. All subjects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had a positive attitude on bilateral hearing. Anecdotal reports indicated that bilateral hearing has positive effects such as reduced repeated questions, increased participation in conversation, facilitated language and learning acquisition, and improved concentration. Conclusion Children who received sequential bilateral cochlear implantation with a long inter-implant interval could obtain functional benefits in daily life. Also it turned out that these benefits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communication, language, learning, and socio-emotional areas.

      • KCI등재후보

        한국산 천연 광물 부석 파우더 코팅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김인영,노지민,남은희,신문삼,Kim, In-Young,Noh, Ji-Min,Nam, Eun-Hee,Shin, Moon-Sam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2

        이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지역에서 매장된 천연 광물을 이용하여 화장료용의 분체로써 활용가치를 부여한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광물의 이름은 부석이라고 칭하며, 미립자 파우더를 개발하여 이 파우더의 성능을 평가하고 화장품의 효능적 가치가 있는 가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보고한다. 이 파우더의 표면에 오일을 코팅하기 위하여 미립자 표면에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를 1차 코팅한 후에 여기에 알킬실란으로 코팅하였다. 또한, 식물성 오일로 코팅하여 파우더의 응집을 막고, 오일상에서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 부석파우더의 입자는 $10{\sim}50{\mu}m$의 입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입자의 표면에 다공성의 구멍이 있었다. 둘째; 이 파우더의 구성성분은 $SiO_2$, $Al_2O_3$, $Fe_2O_3$, MgO, CaO, $K_2O_2$, $Na_2O$, $TiO_2$, $TiO_2$, MnO, $Cr_2O_3$, $V_2O_5$ 등을 함유하였다. 셋째: 이 파우더의 입자는 판상형 구조를 가지며, 다공성으로 적갈색을 가지고 있음을 SEM과 TEM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넷째; 이부석 파우더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0.924{\mu}m$이었으며, 방사에너지는 $3.72{\times}10^W/m^2{\cdot}{\mu}m$ 이었다. 또한 음이온 방출량은 128 ION/cc를 방출하는 것으로써, 코팅을 하더라도 변하지 않고 그대로 그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장품의 응용분야로써 비비크림, 쿠션파운데이션, 파우더펙트 등의 색조화장품, 선블록크림, 워시오프 마사지팩 등의 기초 화장료에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a coating method that provides utilization value as a micronised powder for cosmetic raw materials using natural minerals buried in Bonghwa, Gyeongsangbuk-do in Korea. The mineral powder name is called Buseok, and chemical name is pumice powder.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efficacy of cosmetics are reported by the development of particulate powder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is powder. First of all, in order to coat the surface of this powder with oil, aluminum hydroxide was coated on the particulate surface and then coated with alkylsilan. In addition, it was coated with vegetable oil to prevent condensation of the powder and increase the dispersion in the oil phase. First; the particle size of pumice powder was from 10 to 50mm having porous holes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Second; The components of this powder contained $SiO_2$, $Al_2O_3$, $Fe_2O_3$, MgO, CaO, $K_2O_2$, $Na_2O$, $TiO_2$, $TiO_2$, MnO, $Cr_2O_3$, $V_2O_5$. Third: The particles of this powder have a planetary structure and are reddish-brown with porosity through SEM and TEM analysis. Fourth; the far-infrared radiation rate of this parabolic powder was $0.924{\mu}m$, and the radiative energy was $3.72{\times}102W/m^2$ and ${\mu}m$. In addition, the anion emission is 128 ION/cc, which shows that the coating remains unchang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o be widely applied to basic cosmetics such as BB cream, cushion foundation, powderfect, and other color-coordinated cosmetics, sunblock cream, wash-off massage pack as an application of cosmetics.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260138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