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무 건조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과립 분말 제조를 위한 슬러리 최적화 연구

        김현진,선우경,조혜수,윤석영,Kim, Hyeonjin,Sun, Woogyeong,Jo, Hyesoo,Yoon, Seog-Young 한국결정성장학회 2021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공침법을 통하여 비정질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슬러리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분말 함량 및 분산제 첨가량을 조절하여, 슬러리의 특성에 따른 분무 건조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과립 분말 제조의 영향 분석 및 최적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슬러리의 분말 함량 27.5 wt% 이하, 슬러리의 분산제 첨가량 0.8 wt% 이상, pH 6~9의 중성 분위기의 슬러리에서 안정적으로 과립 분말이 제조되었으며, 슬러리의 분말 함량 20, 22.5 wt%에서 과립 분말의 평균 입도는 약 14 ㎛, 슬러리의 분말 함량 25, 27.5 wt%에서 과립 분말의 평균 입도가 약 19 ㎛인 것을 확인하였다. 분무 건조 과립 분말의 형상은 슬러리의 분산안정성 및 점도 영향을 받으며, 분말 함량이 높을수록 평균 입자 사이즈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amorphous aluminum silicate powder was prepared using co-precipitation method, and the influence of spray-dried aluminum silicate granular powder was analyzed and optimiz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luminum silicate powder and dispersant added to the slurry. As a result, granular powder was optimally produced under the conditions of powder content of aluminum silicate slurry of 27.5 wt% or less, dispersant addition amount of 0.8 wt% or more, pH 6~9. An average particle size of granular powder showed approximately 14 ㎛ at the powder contents of 20 and 22.5 wt% of the slurry, and approximately 19 ㎛ at the powder contents of 25 and 27.5 wt% of the slurry.

      • KCI등재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의 의미와 정규교육과정 통합 방안

        김현진(Kim Hyeonjin),김현영(Kim Hyeonyeong),김은영(Kim Eunyeong),류향승(Yoo Hyangseung),김보윤(Kim Boyoon),박희락(Park Heerak),최미애(Choi Mi-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국내 초·중등학교 정규교육과정에 활용 가능한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실천적 산출물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선행 연구 및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고, 연구 산출물의 내용 타당성과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관련 경력교사 대상 집단면담과 초·중등학교 교과별 일반교사 16인 대상 면대면 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첫째, 국내 사회 및 교육 맥락을 고려한 민주시민 육성 미디어리터러시의 역량 개념 및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역량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둘째, 이러한 역량을 정규교육과정 수업에 통합하기 위해서 2015개정 교육과정근거 초·중등학교 전체 교과 통합형 63개 주제의 ‘학습주제사전’을 개발하였다. 셋째, 주제 선정의도 및 수업 안내표인 ‘교육과정 연계 성취기준’ 261개 항목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정규교과 통합 방안으로서, 미디어 교육에 대한 접근성 향상 전략을 통한 수업 부담감 해소, 체계적 공식적 학습 사이트 운영을 통한 교사와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활동지원, 추진체계 구축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실행, 학교 급별 교육의 연계성 체계화,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사 교육 실시를 통한 교원전문성 함양, 학습자 기본 소양으로서의 디지털리터러시 함양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al outpu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designed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which can be used for regular curriculums in domest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refore, we analyzed prior studie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cases. We also conducted group interviews with expert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As a result, we derived a competency framework considering the social and educational context in Korea. In addition, in order to integrate the competency into the regular curriculums, we derived the ‘Dictionary of learning them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pplicable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all subjects by each grade of al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evaluate whether the contents of such outputs are the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we also conducted additional group interviews and a face-to-face evaluation with 16 inservice teachers by each subje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view of the validity finally made a ‘media literacy competency framework for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the ‘dictionary of learning themes of 63 available to be integrated into all the subjec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261 items for Achievement standards linked to the curriculum as a guidebook that presented the intention of selecting the themes. Finally, we suggested policy and practice for integration plan into the regular curriculum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 KCI등재

        회전대칭 이차 불함수의 해밍무게 및 비선형성

        김현진(Hyeonjin Kim),정창호(Changho Jung),박일환(Ilhwan Park) 한국정보보호학회 2009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19 No.2

        회전대칭 불함수는 고속계산에 유리하고 암호학적으로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어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들어, 부호이론에서 중요한 문제가 회전대칭 불함수를 이용하여 해결된 사례가 있고, 고속 해시함수 설계에 응용된 경우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매우 단순한 형태의 회전대칭 이차 불함수에 대한 비선형성 및 해밍무게의 정확한 공식이 발견되었으며[2,8], 더 넓은 범위의 함수들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공식들도 발견되었다[6]. 본 논문에서는 이들 공식들을 조금 더 확장하여 일차 항들이 포함된 회전대칭 이차 불함수에 대한 정확한 해밍무게 공식을 유도한다. Recently, rotation symmetric Boolean functions have attracted attention since they are suitable for fast evaluation and show good cryptographic properties. For example, important problems in coding theory were settled by searching the desired functions in the rotation symmetric function space. Moreover, they are applied to designing fast hashing algorithms. On the other hand, for some homogeneous rotation symmetric quadratic functions of simple structure, the exact formulas for their Hamming weights and nonlinearity were found[2,8]. Very recently, more formulations were carried out for much broader class of the functions[6]. In this paper, we make a further improvement by deriving the formula for the Hamming weight of quadratic rotation symmetric functions containing linear terms.

      • KCI등재

        원격교육과 교육공학의 과제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2020년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로 인해서 원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원격교육이 시작된 1800년대 이래 원격교육은 발전되고 확장되었다. 원격교육은 전통적인 면대면 교육의 보완이며 일부 교수자와 학생에 적용되는 제한된 사례이었다. 2020년 코로나19 대응의 원격교육은 보완적이고 제한적인 사례를 초·중등 학교교육과 대학교육 전체로 확대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교육의 정의와 연구를 통해 이 분야의 지식기반을 탐색해보고 이를 기초로 코로나19 더 나아가 코로나 이후 교육공학 분야의 원격교육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격교육의 다양한 정의와 용어를 분석하여 개념의 확장성을 보았고, 원격교육의 정의에 내재된 요소와 원격교육 체제모델을 통해 원격교육의 운영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원격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원격교육의 정의와 요소는 초기 원격교육의 맥락, 교육기관 중심과 산업화 모델 등을 반영한다. 이러한 개념이 현재 특히, 코로나19와 그 이후 새로운 일상으로서 원격교육의 맥락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한편, 교육공학 연구 속에서 원격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는데, 이러닝 주제, 대학생 대상 교육, 활용영역 연구, 학습자에 대한 연구, 상호작용 및 학습과정의 연구가 주를 이룬다. 이를 기초로 교육공학 분야에서의 원격교육 연구를 탐색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원격교육에 대한 교육공학의 과제를 테크놀로지, 콘텐츠, 상호작용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Since distance education began in 1800s, distance education has developed and expanded. Distance education has been a complement to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and has been a limited case applied. Distance education due to Corona 19 in 2020 expanded complementary and limited cases to the entire public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nowledge base in this field through the definition and research of distance education,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the tasks for dista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the post-Corona era. To this end, various definitions and terms of dista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tance education were explored by identifying the elements within the definition of distance education and the operating elements of distance education through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model.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distance education reflect on the earlier context of distance education, for example, institution based education and industrialized education. A new paradigm is needed in order for this concept to be linked to the context of distance education as a new everyday life, especially for Corona 19 and after. Meanwhile, the trend of distance education-related research was examined in the Korea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and summarized mainly e-learning topics,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research on utilization areas, research on learners, interaction an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is, research on dista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was explored, and the task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distance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was proposed in terms of technology, contents, and interaction.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질적 연구 동향 분석

        김현진 ( Hyeonjin Kim ),유지은 ( Jieun Yoo ),김현영 ( Hyeonyeo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공학 분야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교육공학 질적연구의 현주소와 향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교육공학연구』와『교육정보미디어연구』학술지의 창간호인 1985년과 1996년부터 2017년 6월까지 게재된 질적 논문134편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 연구 유형,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연구적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교육공학 질적 연구는 2000년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연구의 주제는 활용 영역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창출 영역의 교수설계 효과연구로 드러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사례연구와 기본해석연구가 비슷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본해석연구라고도 볼 수 있는 개발연구가 다수 나타나 교육공학연구의 고유한 특징을 보여준다. 자료수집과 분석 측면에서 교육공학 질적 연구는 개별 면담과 내용분석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공학연구의 질적 연구는 2~4개의 자료수집방법을 함께 활용하여 자료의 삼각검증을 추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성 확보 및 윤리 준수에 노력하고 있으나 자료분석 단위, 신뢰성 전략, 연구윤리가 언급되지 않은 경우가 다수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공학 질적 연구의 특징과 향후 다양한 방법론 및 엄격한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For this purpose, 134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of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Journal of Education Information and Media from the first to June 2017 issu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opic,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methodology. In result, it was found that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0. The most frequent topic of qualitative research is related to the utilization area, followed by the creation area. The frequent type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case study and basic qualitative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is the unique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due to many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cases.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collection method is in-depth interview, and the analysis method is content analysis. Also, it was found that 2-4 different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together for the purpose of triangulation. Although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ers make efforts for trustworthiness of research, some descriptions such as the unit of analysis, trustworthiness strategies, and ethics need to be included in the method part.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are addressed, and some suggestions on various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rigorous research are described.

      • 스마트 팩토리 보안 사고 유형 분석 및 대안 프레임 제시

        김현진(Hyeonjin Kim),김진영(Jinyeong Kim),백주련(Juryon Pai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최근 제조업의 근로 시간 단축 및 전문 노동력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숙련공 없이 비숙련공만으로 현장 가동이 가능하다는 점 등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팩토리는 높은 설비 도입 비용, 업무 시스템 재설계 등의 문제점이 등이 있으며, 특히 보안의 취약성이 심각하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기업이 현실에서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팩토리의 다양한 보안 사고를 유형 및 정형화시키고 여러 보안 사고를 유발하는 취약한 부분을 구체화하여 스마트 팩토리의 보안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