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대면 상황에서의 학습동아리 운영 및 성과 사례 : K대학교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영(Hyeonyeong Kim) 한국비교과교육학회 2020 비교과교육연구 Vol.1 No.3

        학습동아리는 대학의 주요 비교과 프로그램이다. 많은 대학에서는 학생들에게 협력학습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동아리를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의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감염병 유행으로 인하여 학습동아리는 비대면 운영으로의 전환을 맞이하게 되었으며, 어떻게 운영해야 그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적 질문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동아리를 비대면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K대학교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2020학년도 3월부터 6월까지 한 학기 간 이루어진 학습동아리 243팀의 운영 사례를 첫째, 학생들의 온라인 활동 과정 분석, 둘째,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 결과, 셋째, 성과공유 프로그램 운영 결과로 나누어 분석한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학생들의 비대면 학습과정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은 10회의 활동 중 평균 6.25회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나, 실험․실습․개발을 주제로 하는 경우 3.96회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여 주제간 편차가 있었다. 온라인 활동에 ZOOM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각 운영 결과 분석에 따라 비대면 운영에도 불구 학생들의 참여와 만족을 확인하였으나,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학습 공간 관련 의견 등의 보완점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환류를 여러 차례 반복한다면, 비대면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학습 동아리의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Learning Community is a major extracurricular program of universities. Many universities operate learning community to provide students with a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 However, recently Covid-19 has led to the transition of learning community to non-face-to-face operations, requiring methodical questions about how to improve their effectiveness.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learning community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and results based on the operating cases of K University. The operation cases of the Learning community which was conducted for one semester from March to June 2020, and participated in 243 teams. First, analyzing students online activities, Second, analyzing program satisfaction survey results, Third, analyzing performance-sharing program s results. There are results of the study. First, confirmed the students non-face-to-face learning process. Students conducted an average of 6.25 online activites out of 10 activities, but the type of experiments, practice, and development is 3.96 times were conducted online activites. so we can fine that variations between topics. And ZOOM was most actively utilized for online activities. Second, despite their non-face-to-face operati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each operation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but founded that supplementary points such as difficulties in online activities in some type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learning space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f we have the feedback for program improvements, we can expect stable operation of learning community ev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 KCI등재

        메타종합접근(meta-aggregative approach)을 통한 초·중등학교 모바일러닝 설계 전략 탐색

        김현영 ( Hyeonyeong Kim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모바일기기의 보편화로 모바일러닝은 일상적인 모습이 되었다. 모바일학습의 적절한 활용과 확산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경험 증거에 기반 한 학교현장 맥락 이해 및 학습 환경설계가 이뤄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 모바일러닝 설계 전략 도출을 위한 학습자 경험 증거를 종합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종합접근(meta-aggregative approach)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초·중등학교 모바일러닝 학습자 경험에 대한 기존질적 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이에 근거하여 초·중등학교 모바일러닝 설계 전략을 도출하였다. 메타종합접근에 따른 문헌고찰은 ① 범위설정(연구 문제 및 리뷰 기준 설정), ② 문헌검색(검색, 선정, 질 평가, 최종합성 문헌 선정), ③ 연구의 결과 합성(결과추출, 범주화, 합성) 및 결과 제시(실천적 제언)의 흐름으로 진행되었다. 범위설정 및 문헌검색을 통해 최종 13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물의 분석 결과 97개의 연구결과(findings)를 추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를 종합하여 총 5개의 합성결과(synthesised finding,SF)를 도출하였다. 이는 현장-교실수업 공통, 교실수업, 현장학습이라는 수업유형에 따라 3가지 상위 주제의 합성결과로 정리되어 (1) 현장학습 전략 : 현장 활동중심의 모바일러닝 지향, (2) 교실수업 전략 : 교실에서의 모바일러닝 딜레마 극복, (3) 현장-교실 수업 공통전략 : 학교교육에서의 모바일러닝 가능성 확장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학습 환경 설계 전략 별 질적 증거에 근거한 초·중등학교 모바일러닝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모바일러닝 환경 설계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s mobile devices diffused widely, mobile learning has become a daily phenomenon. In order to properly use and spread the mobile learning,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learning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school site according to the evidence of the learning experience of the learn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strategies for mobile learning based on the qualitative evidences from existing research on mobile learners' experienc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Meta-aggregative approach was used as a systematic review method. The procedure of the meta-aggregative approach includes: (1) scope setting (set of research problems and review criteria), (2) document search (search, selection, quality evaluation, final synthesis document selection) and (3) suggesting results (practical policy suggestions). The thirteen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As a result of analysis, 97 research findings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fifteen categories were derived and a total of five synthesized findings (SF) were derive as follows:. (1) Field study strategy: Enhancing experience-oriented mobile learning, (2) Classroom strategy: Overcoming the mobile learning dilemma, (3) Common strategy in the field - classroom: Extension of possibility of mobile learning in school education. Finally,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mobile learning environment desig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obile learning.

      • KCI등재

        공연예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개선방안 연구

        김현영(Kim Hyeonyeong),이환수(Lee Hwans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공연예술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있는 공연예술통합전산망(KOPIS) 시스템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한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 호주의 유사 사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공연예술통합전상망의 시스템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공연예술단체 및공연예술인, 관객 입장의 공연정보 제공 및 연동이 필요하고 이를 지원하는 플랫폼 중심의 확장이 필요하다. 둘째, 국민 공연예술의 보편화와 향유를 위한 공연 및 공연예술시설 활용과 접근성이 용이한 시스템으로 인프라를 확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연예술통합전산망 운영은 경영자, 운영자, 공연예술시설, 공연자, 관객 등 다각화된 대상을 위한 조직 구성으로 균형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공연 및 공연예술시설을 위한 정보 및데이터의 전국적인 연동과 지역 내 및 지역 간 공유를 위한 지역커뮤니티 네트워크 체계가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 공연예술과 공연예술시설의 균형적 발전과 공연예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activate the performing arts market,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performing arts is very important Thu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and activation of the KOPIS system, which integrat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For this, similar cases in Japan, the United States, France, Germany, and Australia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KOPIS were presented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link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ing arts groups, performing artists, and audience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latform to support it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with a system that facilitates the use and accessibility of performing and performing arts facilities for the universalization and enjoyment of national performing arts. Third, the operation of KOPIS should be provided with balanced support for diversified targets such as managers, operators, performing arts facilities, performers, and audiences. Lastl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local community network for nationwide interlocking of information and data for local performing arts and performing arts facilities and for sharing between reg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plan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 performing arts and performing arts facilities and the growth of the performing arts market.

      • KCI등재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의 의미와 정규교육과정 통합 방안

        김현진(Kim Hyeonjin),김현영(Kim Hyeonyeong),김은영(Kim Eunyeong),류향승(Yoo Hyangseung),김보윤(Kim Boyoon),박희락(Park Heerak),최미애(Choi Mi-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국내 초·중등학교 정규교육과정에 활용 가능한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의 실천적 산출물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선행 연구 및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하고, 연구 산출물의 내용 타당성과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관련 경력교사 대상 집단면담과 초·중등학교 교과별 일반교사 16인 대상 면대면 평가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첫째, 국내 사회 및 교육 맥락을 고려한 민주시민 육성 미디어리터러시의 역량 개념 및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역량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둘째, 이러한 역량을 정규교육과정 수업에 통합하기 위해서 2015개정 교육과정근거 초·중등학교 전체 교과 통합형 63개 주제의 ‘학습주제사전’을 개발하였다. 셋째, 주제 선정의도 및 수업 안내표인 ‘교육과정 연계 성취기준’ 261개 항목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정규교과 통합 방안으로서, 미디어 교육에 대한 접근성 향상 전략을 통한 수업 부담감 해소, 체계적 공식적 학습 사이트 운영을 통한 교사와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활동지원, 추진체계 구축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체계적 실행, 학교 급별 교육의 연계성 체계화,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사 교육 실시를 통한 교원전문성 함양, 학습자 기본 소양으로서의 디지털리터러시 함양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al outpu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designed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which can be used for regular curriculums in domest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refore, we analyzed prior studie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cases. We also conducted group interviews with expert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As a result, we derived a competency framework considering the social and educational context in Korea. In addition, in order to integrate the competency into the regular curriculums, we derived the ‘Dictionary of learning them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pplicable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all subjects by each grade of all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o evaluate whether the contents of such outputs are the validity and field applicability, we also conducted additional group interviews and a face-to-face evaluation with 16 inservice teachers by each subjec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view of the validity finally made a ‘media literacy competency framework for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the ‘dictionary of learning themes of 63 available to be integrated into all the subjec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261 items for Achievement standards linked to the curriculum as a guidebook that presented the intention of selecting the themes. Finally, we suggested policy and practice for integration plan into the regular curriculum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 KCI등재

        학교 역량교육을 위한 수업설계 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

        김현진 ( Hyeonjin Kim ),최정윤 ( Jeongyun Choi ),김유리 ( Yuri Kim ),김현영 ( Hyeonyeong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초ㆍ중등학교에서 역량교육을 설계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역량교육의 효과와 효과를 보고한 연구사례에서의 수업 설계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장 및 정책 그리고 후속 연구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 중에서도 질적 연구 및 양적 연구의 결과를 결합하는 혼합 방법 체계적 고찰(Mixed-methods systematic review)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 검색 및 선별, 문헌의 질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총 24편의 논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최종 선정된 문헌 중 양적연구 및 혼합연구가 각 9편, 질적연구로 수행된 논문은 6편이었다. 연구 결과, 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설계는 복합 역량 및 개별 역량, 그리고 역량 외에도 흥미, 태도, 만족도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설계의 특징으로는, ‘교과 간, 교과-비교과 간 융합수업 설계’, ‘일상생활에의 전이를 위한 설계’, ‘교사의 역할과 지원전략 설계’, ‘테크놀로지의 적극적 활용’, ‘수행 중심 맞춤형 수업방법의 설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 및 정책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instructional design in research cases that reported the effects and effectiv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al design of competency-based school education in Korea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fields, policies, and research. A mixed-method systematic review was used to incorporate the finding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A total of 24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to analyze through literature search, selection, and quality evaluation; 9 quantitative, 9 mixed, and 6 qualitative studies. Consequently,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ompetency development was effective in combined competencies and single competencies. Features of instructional design that affect the effectiveness include instructional design for convergence classes between subjects and non-subjects, design for transition to daily life, design of teacher role and support strategy, meaningful use of technology, and customized teaching methods focused on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schools, policie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질적 연구 동향 분석

        김현진 ( Hyeonjin Kim ),유지은 ( Jieun Yoo ),김현영 ( Hyeonyeo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공학 분야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교육공학 질적연구의 현주소와 향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교육공학연구』와『교육정보미디어연구』학술지의 창간호인 1985년과 1996년부터 2017년 6월까지 게재된 질적 논문134편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 연구 유형,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연구적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교육공학 질적 연구는 2000년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연구의 주제는 활용 영역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창출 영역의 교수설계 효과연구로 드러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사례연구와 기본해석연구가 비슷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본해석연구라고도 볼 수 있는 개발연구가 다수 나타나 교육공학연구의 고유한 특징을 보여준다. 자료수집과 분석 측면에서 교육공학 질적 연구는 개별 면담과 내용분석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공학연구의 질적 연구는 2~4개의 자료수집방법을 함께 활용하여 자료의 삼각검증을 추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뢰성 확보 및 윤리 준수에 노력하고 있으나 자료분석 단위, 신뢰성 전략, 연구윤리가 언급되지 않은 경우가 다수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공학 질적 연구의 특징과 향후 다양한 방법론 및 엄격한 질적 연구 수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For this purpose, 134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of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Journal of Education Information and Media from the first to June 2017 issu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opic,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and methodology. In result, it was found that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0. The most frequent topic of qualitative research is related to the utilization area, followed by the creation area. The frequent type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case study and basic qualitative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is the unique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due to many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cases.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collection method is in-depth interview, and the analysis method is content analysis. Also, it was found that 2-4 different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together for the purpose of triangulation. Although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ers make efforts for trustworthiness of research, some descriptions such as the unit of analysis, trustworthiness strategies, and ethics need to be included in the method part.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are addressed, and some suggestions on various qualitative methodologies and rigorous research are described.

      • KCI등재

        음악대학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참여자의 본질적 의미와 가치 탐색 :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김현영 ( Kim¸ Hyeon 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음악대학의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참여자의 직접적인 체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와 가치를 현상학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음악대학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음악대학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 체험은 자격 취득보다도 졸업과 학점 취득을 위한 수단으로 더 의미가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과정의 교육내용이 단기간 다량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격 취득의 쉬운 접근성으로 대학생들은 전문성 결여 및 수준 격차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 셋째, 음악대학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은 불명확한 진로 및 취업 연계 그리고 정보제공의 미흡함으로 자격증 취득이 본질적으로 무의미하고 가치가 없다고 느끼는 현상이 존재하였다. 넷째, 음악대학 학생들은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과에서 이론에 치중된 수업보다 직접 경험하는 현장 업무와 연계된 실습 중심의 수업 진행이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직무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지며, 이에 자기발전을 도모하는 계기가 된다고 보았다.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explored the essential meaning and value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completing th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course at music univers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th-grade students in th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course at the Seoul and Gyeonggi music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raining course, the experience for the music university students was more meaningful as a means for graduation and obtaining credits rather than obtaining qualifications. Second, there was a large amount of educational content to be learnt in a short period, and music university students were concerned about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the difference in level due to the easy access to qualifications. Third,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music felt that acquiring the license was essentially meaningless and of no value due to its unclear career and employment link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provision. Fourth, in the course, practice-oriented classes linked with direct experience, not theory-oriented classes, lead to realistic and efficient job competency improvement and becam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