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차성 간림프종: 자기공명영상과 병리소견의 연관

        김한나,신유리,나성은,정은선,오순남,최준일,정승은,이영준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10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14 No.2

        일차성 간림프종은 전체 림프절외장기를 침범하는 림프종의 1% 미만에서 나타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수술로 확진된 일차성 간림프종의 자기공명영상과 병리 소견의 특징을 보고한다. 간세포 특이 조영제를 주입하여 얻은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에서 점차적으로 조영증강되어 간내담관암과 유사하게 보였다. 그러나 20분 지연 후 얻은 간담관기 영상과 확산강조영상에서 서로 다른 신호강도를 보이는 세 층의 띠모양의 병변이 특징적으로 보였으며 이는 병리적으로 외층의 생존 종양, 중간층의 괴사된 종양, 및 종양에 둘러싸인 중앙부의 괴사된 간 실질과 일치되는 소견을 보였다.

      • KCI등재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법적 쟁점

        김한나 한국의료법학회 2017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5 No.1

        Organ shortage is a global problem. In oder to solve the phenomenon, it has been explored the transplanting organs from transgenic animals into human body, stem cell therapy, and etc. in the cutting-edge biotechnology field. Although the regenerative research field has developed for a long time, those technologies have to overcome ethical concerns, such as violations of human dignity, as well as biomedical barriers including safety. However, it is emphasized that three-dimensional bioprinting(3D bioprinting) technology can produce human organs and tissues while avoiding the fundamental controversies. Those reasons carry over to the remarkable achievement in 3D bioprinting area. Most of all, 3D bioprinting organs is not a human biospecimen but it is derived from the human body. In this point, 3D bioprinting organ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new approach to study the conflicts of rights and/or to convergence pla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identity marks and traditional moral personality right.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legal issues of 3D bioprinting technologies and provides appropriate solutions before commercializing the 3D bioprinting organs and tissues. 장기 부족 현상은 국제적인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최신 의과학 기술 분야에서는 이종 장기, 줄기세포 등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재생의학 기술들은 아직 안전성 문제와 같이 의과학적으로 해결해야 할 장벽 뿐 아니라 인간 존엄성의 침해 등 윤리적으로 문제가 많아서 국제적으로 금지되어 왔다. 반면에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은 이러한 근본적인 논란을 빗겨가면서 장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 연구 성과가 두드러지고 있다. 3D 바이오프린터나 및 3D 조립 기술, 바이오 잉크 등은 바이오프린팅에서 특허가 가능한 영역이다. 그러나 재생 및 손상된 개인 장기나 조직을 대체하기 위한 용도로써 3D 바이오프린팅 장기는 인체유래물이 아니면서도 인체에서 획득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 신체에 맞춤으로 제작되므로 여러 법적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자는 이 논문에서 3D 바이오프린팅의 개념과 기술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된 법적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3D 바이오프린팅 장기의 산업화에 앞서 적절한 해결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현황 및 개선방향

        김한나,김계현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아주법학 Vol.10 No.4

        최근 의료기관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의료광고 역시 급증하고 있다. 특히 2007년 의료법 개정으로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방식이 원칙적 허용, 예외적 금지로 금지사유를 규정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변경되어 의료광고가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최근 의료광고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는 의료법상 의료광고 사전심의 관련 규정을 위헌으로 판단한바 있다. 의료단체가 수행하고 있는 의료광고 사전심의가 행정권으로부터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아 헌법상 금지하는 사전검열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의료광고 사전심의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의료광고 관련 제도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의료광고 관련 제도 개편을 위한 핵심은 의료광고에 대한 심의 관련 업무가 행정권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민간심의기구를 통하여 자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관련 법령 개정이 요구되며, 심의제도 운용상 문제가 되는 부분들은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민간 심의기구를 통한 심의의 활성화를 위한 유인책(인증제도 등)을 마련하는 등 의료광고 규제의 합리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의료광고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여 허위‧과대광고를 방지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이 가능해질 것이다. 기존의 의료광고 규제제도가 소비자의 건강권 보호 및 불공정경쟁 방지의 관점에 입각하여 설계‧운영되어 왔다면, 향후 의료광고 규제제도는 의료인의 표현의 자유 내지 직업수행의 자유, 소비자 보호 내지 공정거래질서 확보를 균형 있게 조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라 본다. As the competition among medical organizations intensifies, medical advertisements are rapidly increasing. Since the amendment of the medical law in 2007, the regulation method has been shifted to a negative format which stipulates grounds for limitation with principle permission and exceptional prohibition. Internet advertising, along with newspapers and magazines, is an important means of ads these days. Also, indirect advertising such as native ads is also increasing. Meanwhile,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ruled the regulations regarding pre-censorship of medical advertising under the medical law unconstitutional. The pre-censorship on medical ads conducted by medical organizations is not guaranteed autonomy from the administrative power, which pertains to an act of pre-censorship prohibited under the Constitution. Follow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regarding pre-censorship on medical ads, there now exists a need to amend the censorship system of advertisement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currently planning on an intensive post-monitoring program on illegal medical advertisements as the pre-censorship system has become autonom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ads, a reasonable regulation on medical ads through pre-censorship by autonomous censoring organizations is necessary. Meanwhile, since the regulation on medical ads remains unchanged regardless of pre-censorship, there must be a legal and administrative amendment regarding the future and censorship methods of medical ads and regulations through careful review of the current regulation details and precedent cases.

      • 1P-79 Effect of hard segment content on thermal reversible property of isosorbide based polyurethane

        김한나,이대수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Polyurethane (PU) is one of very useful and versatile polymers for wide applications. PU elastomer is a segmented blocked copolymer composed of soft and hard segment. Isosorbide (ISB) is a bicyclic diol derived from glucose with rigid structure. Isosorbide was used as the chain extender of PU elastomer which becomes a part of hard segment. We found that the urethane unit can be reversible by incorporation of isosorbide. So,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reversible nature depending on the hard segment content of PU elastomers prepared from a prepolymer of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and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and isosorbide as a chain extender. Reversible properties of PU were studied employ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and rheological measurements.

      • KCI등재

        파랑을 앎knowing: 감각 지각의 직접성immediacy에 대한 아비달마 논사들의 설명

        김한나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23 불교학 리뷰 Vol.33 No.-

        불교 전통에서 직접적인 혹은 개념적이지 않은nonconceptual 혹은 구성되지 않은unconstructed 인지cognition(無分別智, nirvikalpajñāna)가 차지하는 위상은 무엇인가? 이는 복잡하고 논쟁적인 문제이다. 이전 글에서 나는 디그나가와 다르마키르티와 연관되는 지식론(Pramāṇavāda) 전통이 흥기하기 전까지 불교 주석가들이 인지를 설명하면서 무분별지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았음을 밝혔다. 디그나가 전에 무분별지는 일반적으로 신비한 요가 수행의 경지이자, 붓다와 상급의 수행자들의 영역으로 간주되었다. 지식론이 흥기하고 나서야 무분별지는 인지cognition[識]의 모든 상태가 가지고 있는 전-반성적이고 자기 지시적인 특성으로 재구성되었다. 간략히 말하자면 디그나가 이후에야 구성되지 않은 인지(현대 현상학의 “전-반성적인 의식consciousness”과 가깝다)가 불교 마음 이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게되었다. 이 장에서 나는 초기 (지식론 흥기 이전) 주석에서 구성되지 않은 인지에 가장가까운 것을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것은 전오식이 그 대상의 토대[境依]를 직접적으로 혹은 즉각적으로 파악하는 반면, 제6식-의식mind consciousness (manovijñāna)-은 유일하게 개념적 구분을 위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아비달마의 개념이다. 자주 반복되는 사례에서, 안식(眼識)은 “파랑”을 안다고 말하지 “이것이 파랑이다”를 안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제6식이 “이것이 파랑이다”를 안다. 이 글에서 나는 비바사사, 경량부, 그리고 초기 유식의 감각 지각sense perception의 직접성을 다루는 문헌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들은 정말로 비-개념적 “내용 content”을 전오식이 가지고 있다고 보았는가, 그리고 그렇다면 이는 어떻게 이해 되었는가?

      • KCI등재

        Differential induction of heat shock protein genes to the combined treatments of heat with diatomaceous earth, phosphine or carbon dioxide on Plodia interpunctella

        김한나,유연수,이경열 한국곤충학회 2015 Entomological Research Vol.45 No.6

        Heating is one of the many disinfestation methods commonly used in facilities that store and process agricultural product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the combination of heat treatment with diatomaceous earth (DE), phosphine (PH3) or CO2 affects the mortality of the wandering larvae of Plodia interpunctella, which is a major pest found in most stored agricultural products. The mortality rate was 35.0% at day 1 after heat treatment at 40°C for 6 h; however, mortality rates increased after combined treatments of heat and 1 ppm DE or 10 ppm PH3, while 10% CO2 had no significant effect.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showed that combined treatments involving 1 h of heat treatment with either DE, PH3 or CO2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four heat shock protein (hsp) genes (hsp25, hsp70, grp78 and hsp90) in wandering larvae, 1 h post‐treatment, although those rates were slightly differentiated in each heat shock protei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combinations of heat and DE or PH3 show increased lethality, although insects produce stress responses at the molecular level.

      • KCI등재

        보건의료 분야 인공지능 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 지침 개발

        김한나,이정임,심진아,이유리,김은애,김수민,김준혁 한국의료법학회 2023 한국의료법학회지 Vol.31 No.1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healthcare holds potential for addressing disease challenges, optimizing the alloc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and improving medical accessibility. However, concerns have emerged regarding potential risks and harms, including the misuse of personal data, privacy infringements, issues of bias and discrimination. Given the dual nature of AI, it becomes crucial to provide ethical guidance for promoting good practice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 AI, to prevent negative consequence of raised from the use of AI in healthcare, as well as to offer directions for improving legal frameworks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pose six ethical principles for AI R&D in healthcare, along with checklists for good practices. The principles are developed with the objectives of harmonizing existing research governance, such as data sharing, and ensuring responsible R&D of AI in healthcar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Firstly, it is crucial to respect and protect the autonomy of individuals. This principle entails striking a balanced emphasis on the autonomy of data subjects, whose information is used by AI researchers, while ensuring that control over automated decision-making remains in humans. Secondly,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I in healthcare aim to contribute to the well-being, safety, and public benefits of humans. It implies that researchers recognize the various risks and societal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technology, and that legal and social efforts are inevitable to promote the collective benefit. Thirdly, AI technology in healthcare should ensure transparency, explainability, and foster social trust. The outcomes generated by AI should be interpretable and explainable, and the utilization of data, including R&D outcomes from researchers and affiliated institutions, should be appropriately disclosed to the public in order to building social trust. Fourthly, AI researchers in healthcare should demonstrate responsibility, while the legal liability needs improvement. Given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compensation system for medical errors caused by such technology, researchers and affiliated institutions should collaborate to minimize harm for patients and consumers. Fifthly, it should strive for inclusitivy and fairness. This principle necessitates designing the technology to be used appropriately and equitably regardles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ddressing digital disparities, and resolving issues of bias. Lastly, it should be responsive and sustainable. This implies that systematic responses should be undertaken to address societal perceptions of the technology, and there should be a commitment to pursuing sustainable R&D approaches. 헬스케어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하 “헬스케어 인공지능”이라 한다)은 질병의 해결,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의료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주요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개발에 있어 개인정보의 부당 활용, 프라이버시 침해, 편향과 차별의 발생 등으로 인하여 개인의 권리와 인간 존엄성이 침해될 수 있다는 사회적 우려 또한 분명하다. 이러한 기술의 양면성은 윤리적인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개발의 중요성과 연구ㆍ개발에 따른 책임에 대한 법적 체계를 마련하고 개선하는 일을 통해 사회가 이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헬스케어 인공지능 연구ㆍ개발과 이를 위한 데이터 활용에 있어 기존 연구윤리원칙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책임 있는 연구ㆍ개발을 보장하기 위해 준수되어야 할 다음의 원칙을 제언한다. 첫째, 인간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보호해야 한다. 이는 연구자와 연구개발에 활용되는 데이터의 정보주체의 자율성을 균형적으로 강조하는 것이고, 자동화된 의사결정의 통제권이 인간에게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인간의 행복과 안전, 그리고 공공의 이익 증진에 기여해야 한다. 이는 연구자가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위험과 우려를 인식해야 한다는 점과, 합목적적인 이익 증진을 위해서는 법적·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투명성, 설명가능성, 신뢰성을 담보해야 한다. 헬스케어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결과는 해석과 설명이 가능해야 하고, 데이터 활용과 기관 및 연구자의 연구ㆍ개발 결과는 대중에게 제대로 공개됨으로써 사회적으로 신뢰받을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넷째, 책임감이 있어야 하고 법적 책임이 확립되어야 한다. 이는 해당 기술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과실에 대한 법적 보상 체계 구축이 미흡하므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구자와 소속 기관이 함께 노력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포괄성과 공정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는 기술이 개인적 특성과 관계없이 적절하고 공평하게 사용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며 편향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여섯째, 대응성과 지속가능성을 지녀야 한다. 이는 해당 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지속 가능한 연구ㆍ개발 방식을 추구해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판 환자의 공격성 및 폭력성 관리에 대한간호사의 태도 측정도구(K-MAVAS)의 심리계량적 속성

        김한나,최희승,전예슬,이우진,안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3

        환자의 공격성과 공격성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는 간호사와 환자와의 관계와 임상적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공격성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 공격성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환자의 공격성 및 폭력성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측정도구(K-MAVAS)의 심리계량적 속성을 탐색하였다. 전문가 위원회를 통해 도구를 번안한 후 25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0개 문항의 4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각 요인은 ‘중재 전략’, ‘개인 요인’, ‘중재 효과에 대한 인식’, ‘상호관계 요인’으로 명명되었으며, 도구의 누적설명분산은 51.5%, 하위 요인별 신뢰도는 α=.46~.81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K-MAVAS의 요인 구조가 원도구와 다르게 도출되었고, 일부 하부요인에서 신뢰도가 기준에 충족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추후 연구를 통해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Nurses’ attitudes toward patient aggression can influence their relationships with patients and clinical judgement. Therefore, it is crucial to identify these attitudes using a valid and reliable t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nagement of Aggression and Violence Attitude Scale (K-MAVAS). The scale was translated by an expert committee,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250 nurses. As a result, a four-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20 items emerged. The factors were labeled as ‘strategies on intervention’, ‘intrapersonal causal factor’,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and ‘interpersonal causal factor’. The cumulative explained variance of the tool was 51.5%, and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ranged from 0.46 to 0.8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K-MAVAS differed from the original tool, and the reliability of some factors did not meet the criteria.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revalid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