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들을 위한 사회적 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김정효 ( Jeong Hyo Kim ),최경애 ( Gyeong Ae Choi ),명수진 ( Su Jin Myung ),배종천 ( Jong Cheon Bae ),정동혁 ( Dong Hyeok Ch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고등학생들의 사회성 발달 및 참여 학생들 간의 사회적 관계 형성 측면을 강조한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함으로써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간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은 운영 및 참여자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학교간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적장애 고등학생들은 사회성 및 적응행동이 향상되었다: (2) 일반학생들은 통합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장애학생과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경험하였다: (3) 장애학생들의 부모들 역시 자녀의 프로그램 참여에 만족하였고 통합활동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 사회적 통합프로그램을 운영한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교사들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으로 성장하였다고 평가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공교육의 가치와 역할과 더불어 교사로서의 역할 및 정체성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간 통합활동 프로그램의 실제 및 지원을 위한 논의와 제언이 이루어졌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 folds, including, (1) to design 1-year inclusive program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attending the special school for intellectual disability and regular high school, and (2) to implementing the inclusive program between two schools and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affect positively to all participants, including (1) the program improved social skills and adaptive behaviors of participat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2)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is study had experienced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3) parents of participat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valuated the program positively, related to program outcomes and their children`s experiences of inclusion; and (4)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reconsidered the role and identification of teachers and value of public education after implementing the intervention program to their students. Discuss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inclusive educational practices and further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및 평가의 설계 모형 구안

        김정효(Jeong-Hyo, Kim),김해경(Hai-Kyung,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about many changes in entire society.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usefulness of the content-oriented curriculum for the delivery of knowledge had been questioned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to competency building. Academics and sites are working on research virtuously and efforts to meet this new educational paradigm. Backward Design often referred to as an alternative to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methods for competency building. Since it was introduced in 1998, the revised Backward Design has been introduced in 2011 and 2012, complementing it to be more suitable for arts and function-related subjects and to enhance the integrity among goals, evalua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cludes core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core competences. It is clear that the curriculum aims competency building as its ultimate goal. Therefore, the revised Backward Design would help to imply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pursu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study, teaching and learning deign model is developed through modifying the newly introduced Backward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is model would guide teachers at the site to design an unit plan to promote an authentic understanding of learners. 4차산업혁명은사회전반에많은변화를이끌어냈다. 교육분야에서도기존의지식전달을 위한 내용 중심 교육과정의 유효성에 의문을 갖게 되었고 교육의 방향은 역량 함양으로 전환되었 다. 학계와 현장은 이 새로운 패러다임에 부응하고자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한 대안으로 종종 언급되는 것이 백워드 설계이었다. 1998년 소개된 이후 예 술및기능관련교과에더적합하고학습목표, 평가, 학습활동간일체성을강화하도록보완하 여 2011년과 2012년에 수정된 백워드 설계가 소개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 역량을 중심 으로 교과 역량을 개발하여 역량 함양이 교육의 궁극적 목표임을 명확히 하였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취지와 의의를 구현하기에 수정된 백워드 설계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았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교사들이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의 이해를 촉구할 수 있는 교 수·학습 및 평가 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 정의 상황에 맞추어 새롭게 소개된 백워드 설계를 기존의 백워드 설계 방식과 비교하며 제시하였 다. 그리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상황에 맞추어 새로운 백워드 설계 방식을 수정, 변형하여 제시하 고 이에 대한 사례를 개발하여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Name of the Discipline ‘Physical Education’ and Proposal of Alternative Terminology

        김정효(Jeong-Hyo Kim),진현주(Hyunju Jin) 대한운동학회 202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26 No.1

        OBJECTIV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s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and propose the potential of kinesiology as a promising alternative. METHODS The method of philosophical argumentation was employed to carefully examine the logical consistenc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kinesiology. The conceptual tools of connotation and denot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se definitions, and their compatibility was thoroughly assessed. RESULTS Through deductiv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both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ace inherent challenges of limited externalization and excessive externalization. These challenges hinder the accurate representation of reality or weaken the distinct identity of the disciplines. Conversely, it was argued that kinesiology possesses the conceptual capacity to encompass both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as a disciplin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pparent conceptual constraints of physical education, it becomes reasonable to reassess the nomenclature of our field. This paper has demonstrated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kinesiology and its potential as a viable alternative. However, since philosophical arguments may not always perfectly align with practical reality, further exploration and evaluation from diverse perspectives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adopting the term ‘kinesiology’ as an alternative.

      • KCI등재

        OECD Education 2030 학습 프레임워크 내용 맵핑을 통한 미술과 일반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김정효(Jeong-Hyo,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6

        In 2017,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s a core policy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student career-type high school system and student growth. 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structured as a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ies', and ‘cultivation of competencies' and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has emerged as key educational tasks. Under the contex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 elective subject, ’art’, which is characteristic of ‘common’ and ‘essential’. As a research method, 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elective course i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with OECD Education 2030 Learning Framework,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it contributes to cultivating high school students’ basic literacy as a cultural citizen, and to explore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paths. The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OECD Education 2030 Learning Framework, explored the nature of the general elective subject, ‘Art' and analyzed its'goals,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of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rough CCM. In addition, it differs from Korea in that it examines the existen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nature and function of art and general elective subjects in advanced countries of education abroad, and supports full-scale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in the field of art.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OECD competency reflection category of the general elective subject 'art' was concentrated on a small number of competencies, and the rate of reflection is also low. This suggests that the curriculum of the general elective course 'art' may fall short of cultivating the core competencies in common subjects and the competencies of the art subject. Furthermore, the role for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in the field of art are also insufficient.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study, some proposals were made for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and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이 연구에서는 보편적 성격의 교과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일반 선택과목‘미술’을 대상으로 문화 시민으로서의 역량 함양 및 진로 탐색과 준비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지를 탐색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설계에 세계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OECD가 개발한 학습 프레임워크의 28개 역량과의 내용 맵핑(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으로는 OECD Education 2030 학습 프레임워크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일반 선택과목‘미술’의 성격을 탐색하였고, CCM을 통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선택과목 ‘미술’의 OECD 역량 반영 범주는 소수의 역량에 편중되어 있고, 반영 비율도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선택과목‘미술’의 교육과정은 교과 공통의 핵심 역량을 함양하는 것도, 미술 교과의 역량을 함 양하는 것에도 미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미술 분야로의 진로 탐색 및 준비를 위한 기능도 미진함을 보여준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체제를 갖춘 해외 교육 선진국의 미술과 일반 선택과목의 성격과 기능과 비교해 보니, 미술 분야에 대해 본격적으로 진로 탐색과 준비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