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접 에탄올 연료전지용 백금합금촉매의 합성과 특성분석

        김이영,김수길,한종희,김한성,Kim, Yi-Young,Kim, Soo-Kil,Han, Jong-Hee,Kim, Han-Sung 한국전기화학회 2008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1 No.2

        에탄올이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경로로 반응할 경우 12개의 전자를 발생시키게 되지만 실제로는 두 개의 탄소 원자사이의 결합력 때문에 완전 산화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고성능 에탄을 산화촉매의 개발은 에탄을 연료전지 실용화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Pt에 Sn, Au을 첨가하여 이원계, 삼원계 촉매를 제조하여 에탄올에서의 활성과 촉매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촉매합성은 modified polyol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Vulcan XC-72R 담지체를 사용하여 20 wt%로 담지하였다. PtSn/c 합금촉매는 Pt : Sn의 비율이 1 : 0, 4 : 1, 3 : 1, 2 : 1, 1.5 : 1, 1 : 1, 1 : 1.5으로 합성하였으며, PtSnAu/C 합금촉매는 Pt : Sn : Au의 비율을 5 : 5 : 0, 5 : 4 : 1, 5 : 3 : 2, 5 : 2 : 3으로 합성하였다. 촉매특성은 XRD, TEM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1.9{\sim}2.4\;nm$ 정도의 입자의 크기와 면심입방구조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에탄올 산화에 대한 합금촉매의 활성은 순환전류전압법으로 실험하였고, 그 중 가장 높은 성능을 가진 PtSn(1.5 : 1)/C와 PtSnAu(5 : 2 : 3)/C 합금촉매를 단위전지 성능평가륵 통해 실제 연료전지 구동환경에서 촉매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탄을 산화에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낸 촉매는 PtSn/c(1.5 : 1)이었고, 촉매의 안정성은 PtSnAu/C(5 : 2 : 3)에서 높게 나타났다. Though ethanol can theoretically generate 12 electrons during oxidation to carbon dioxide, the complete oxidation of ethanol is hard to achieve due to the strong bond between the two carbons in its molecular structure. Therefore, development of high activity catalyst for ethanol oxidation is necessary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direct ethanol fuel cell. In this study, some binary and ternary electrocatalysts of PtSn/C and PtSnAu/C have been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The catalysts were fabricated with modified polyol method with the amounts of 20 wt%, where the Pt : Sn ratios in the PtSn/C were 1 : 0, 4 : 1, 3 : 1, 2 : 1, 1.5 : 1, 1 : 1, 1 : 1.5 and Pt:Sn:Au ratios in the PtSnAu/C were 5 : 5 : 0, 5 : 4 : 1, 5 : 3 : 2, 5 : 2 : 3. From the XRD and TEM analysis results, the catalysts were found to have face centered cubic structure with particle size of around $1.9{\sim}2.4\;nm$. The activity in the ethanol oxidation was examined with cyclic voltammetry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tSn(1.5 : 1)/C and PtSnAu(5 : 2 : 3)/C had the highest activity in each catalyst system. Further tests with single cell were performed with those catalysts. It was found that PtSn/C(1.5 : 1) exhibited the best performance while the long term stability of PtSnAu/C(5 : 2 : 3) is better than PtSn/C(1.5 : 1).

      • KCI등재

        1인 1회 분량을 적용한 영양 섭취량 추정 타당도 평가

        김이영,김미현,최미경,Kim, Yi-Yeong,Kim, Mi-Hyun,Choi, Mi-Kyeo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5

        24-hour recall is the dietary assessment method most frequently used to evaluate dietary intake; however, accuracy is an issue when using this method, especially in large-scale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ity of dietary intake estimation using one serving size. Estimates of energy and nutrients taken in over a 24-hr period based on actual intake amount (24HRAI) and based on estimates of one serving size (24HRSS) were compar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cross-classification method. In male subjects, intake levels of energy, fat, vitamin C, vitamin $B_1$, Zn, and total food measured using 24HRA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measured using 24HRSS. In female subjects, intake of carbohydrates, fiber, fat, vitamin A, vitamin C, vitamin B complexes, various minerals, and total food measured using 24HRAI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measured using 24HRSS. Energy-adjus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vealed that intake of all nutri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asurement methods in both males and females. Cross-classification analysis revealed that 50.5~67.6% of women and 40.3~71% of men were classified in the same quartile of intake of each nutrient when comparing data from 24HRAI and 24HRSS. We conclude that using one serving size in 24-hr recall analysis was valid and therefore may be used in studies to assess food consumption in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Also, this method can be used to classify energy and nutrient intake into quartile, which is useful in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and chronic diseases.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이영(Kim Yi Young),최윤희(Choi Yoon H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유아의 학부모 291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스마트폰 사용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과 문제행동 및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폰의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스마트폰의 인식과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이었다. 셋째,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었다. 넷째,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부모의 스마트폰 인식과 사용,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은 그들의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and parental smart phone using on children's smart phone us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elf-efficacy to target 291 children's parents who use the daycare center. In this research, the first analysis, the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directly effects to parental smart phone using. Second, the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and the parental smart phone using directly effect children's smart phone using. Third, parental smart phone using and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 impac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Fourth,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ly effect on children's self-efficacy. Lastly, the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indirectly effect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parental smart phone using and parental perception of smart phone indirectly effect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elf-efficacy. Also parental smart phone using indirectly effect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elf-efficacy through children's smart phone using. In conclusion, the parental perception and parental smart phone using, children's smart phone using directly or indirectly effect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elf-efficacy.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intervention is needed for parental and children's mart phone using.

      • 지역사회 정신사회 재활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미치는 영향

        김이영(Yi-young Kim),배성우(Sung-Woo Ba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2

        연구목적 : 우리나라에서 지역사회 정신보건법이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지역사회의 정신재활 프로그램이 어떠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지를 장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는 매우 미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 3년에 걸쳐 제공된 지역사회 정신재활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구지역 1개 사회복귀시설에 등록한 만성정신질환자 31명(대상집단 18명, 비교집단 13명)을 대상으로 2002년 5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대상집단의 경우에는 시설에 신규로 등록을 한 후,초기측정을 실시하였고,1년 간격으로 총 3회(초기 측정치 포함, 총 4회)에 걸쳐 반복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정신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는 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황태연 등(2000)이 개발한 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 은 반복측정 분산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 1) 증상의 총점과 충동 및 탐닉행동에서 대상집단의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우울 및 불안 증상과 정신병적 증상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대상집단의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증상총점과 하위영역의 분석에서 나타난 대상집단의 공통적인 변화의 형태는 최초 1년간은 기능이 가파르게 감소하지만,2년차 및 3년차에는 그 감소세가 하락하거나 유지되는 형태를 보이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하는 정신재활 프로그램은 만성정신질환자의 증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Objectives :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he community mental health law was enforced in Korea. However, little effor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long-term effect of the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nd report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a communityㅡbased psychiatric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symptom levels of the severely mentally ill. Method :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1(18 for the study group and 13 for the comparison group) patients who were enrolled at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in Daegu metropolitan area in between May 2002 and August 2007. For the study group, the newly enrolled patients were contacted and baseline data were collected within 6 months after their enrollment. Then, they were followed up every 12 months for 3 years. The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services from the agency. The data for the comparison group were collected using the same procedures mentioned above. We employed the Korean version of psychosocial function and symptom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Hwang et al. (2002) in order to measure psychiatric symptoms. The mai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employing the repeated measure of ANOVA. Results : 1)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y group"s symptom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in the domains of overall symptoms and impulse & indulgence behavior. 2) In the analyses of depression & anxiety domain and psychotic symptom domain, it was found that the study group"s symptoms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although they did not reach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3) The study group"s common longitudinal change pattern over time was as follows. The level of symptoms decreased very rapidly in the first year period. Then, the decrease rate was either diminished very much over time or remained unchanged after one tear period.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provided by a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influenced positively in reducing patients" psychiatric symptoms. It can be also concluded that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positive impact tended to last over time.

      • KCI등재

        가족지지 정도에 따른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 차이

        김이영(Yiyoung Kim),배성우(Sungwoo Bae)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2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주관적 가족지지 정도에 따라 재활성과에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였다. 참여자는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352명으로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 173명,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 179명이었다. 결과는 첫째, 임상적 영역의 재발율과 증상에서는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능적 영역의 기능평가에서 전체점수와 하위 요소인 일상생활 수행기술,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의 점수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탐색 효능감 평가에서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전체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경험의 영역의 삶의 질 평가에서 삶의 질의 전체점수와 긍정적인 자기지각 하위요소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평가에서 전체점수와 구체적 효능감, 일반적 효능감 하위요소가 가족지지가 높은 집단이 가족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지지가 정신장애인의 기능적 영역(기능과 직업태도), 주관적 경험 영역 (삶의 질,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ether the mentally ill people's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has any impact on various dimensions of their rehabilitation outcomes. The participants were 352 mentally ill patients who were attend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nationwide. The analyses were done by categorizing 173 subjects into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and another 179 subjects into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did not reveal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rms of rehospitalization rate and symptom levels. Second, the group with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functioning level than the other group. When the sub-dimensions of functioning level scale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unctioning in daily living activity skills and social relationship dimensions than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Third, the high perceived family suppor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total score of quality of life scale and in the sub-dimension of positive self awareness than low perceived family support. Fourth, compared to low family support group, high family suppor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total score of occupational exploration efficacy sca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upport from family member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ly ill people's functioning level,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exploration effica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