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실험적 항기저막 사구체신염에 재조합 Uteroglobin 투여가 미치는 영향

        김연수(Yon Su Kim),김현리(Hyun Lee Kim),이상구(Sang Goo Lee),양승희(Seung Hee Yang),김유영(You Young Kim),이세한(Sei Han Lee),정남현(Nam Hyun Chung),정현주(Hyun Joo Chung),김성균(Sung Kyun Kim)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4

        목 적 : 면역복합체 침착으로 인한 사구체신염은 우리나라 말기신부전의 중요한 원인이다. 최근 면역조절기능을 가진 uteroglobin(UG)을 유전적으로 결핍시킨 동물모델에서 인체의 IgA 신염과 같은 사구체신염의 발생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생쥐에서 항기저막 사구체신염(aGBMGN)을 발생시키고 인체 재조합 UG를 이용하여 신염의 발생에 UG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신염 억제기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토끼에서 생산한 Anti-GBM Ab 4.5 ㎎을 8주령의 생쥐(C57BL/6)에 정맥주사하여 aGBM-GN을 유발시킨 후, UG를 투여한 치료군, 질환대조군, 정상대조군에서 신염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생쥐의 메산지움세포를 LPS로 자극한 후 UG에 의한 세포증식의 저해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신염 유도 후 7일째 치료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요단백량/creatinine 값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질환대조군에 비해서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UG의 효과는 사구 체신염이 유도된 14일째까지 유지되었으며, 21일째에는 치료군과 질환대조군에서의 요단백/creatinine 값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신염이 유도된 7일째, 질환대조군에서는 메산지움세포의 증식과 사구체의 50% 이상에서 세포성 반월상이 관찰되었으나, 치료군은 정상대조군과 유사한 조직학적 소견을 보였다. 생쥐 메산지움세포를 LPS로 자극한 후 UG를 투여 하였을 경우 LPS에 의한 세포 증식효과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 론: 실험적으로 유도된 항기저막 사구체신염에 인체 재조합 UG를 투여함으로써 항기저막 사구체신염의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그 기전으로 메산지움세포 활성화 억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질환 진행 고위험군 집단의 유전자치료에도 이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Glomerulonephritis(GN) is characterized by cognate immune responses against self or non-self antigen. It is suggested that the crescentic GN is a manifestation of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kin to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Uteroglobin(UG) is a steroid-dependent, immunomodulatory, and cytokine-like protein. It was reported that UG prevented fibronectin(Fn) deposition in the glomeruli of normal mice to form Fn-UG heterodimers that competed with Fn self-aggregation. We hypothesized that UG would prevent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GN induced by anti-glomerular basement membrane globulin(anti-GBM Ab) in mice through immunomodulatory properties. GN wa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4.5㎎ rabbit anti-GBM Ab to mice(C57BL/6). Renal injury was evaluated at 7, 14, and 21 days thereafter. UG-treated mice(n=10) were received for 3 days(0.5 ㎎/mouse/day) beginning 1 hour after anti-GBM Ab injection. Also, disease-control mice(n=10) were received PBS for 3 days after anti-GBM Ab. Proteinuria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mice treated with UG when compared with the disease-control mice after 7 and 14 days of anti-GBM Ab injection. The amount of proteinuria was similar between UG treated and normal control mice. The mesangial matrix expansion and cellular crescent were markedly attenuated by the injection of UG. The proliferative responses of mesangial cells(C57BL/6) to LPS were blunted with the addition of UG in dose-dependent manner. In this study, we revealed the preventive effects of UG in the experimental model of glomerulonephritis. This result in turn could provide the basis for the treatment of human disease such as chronic glomerulonephritis.

      • 표준전동차의 상용전제동 제어방법에 관한 연구

        이우동(Lee Woo-Dong),변윤섭(Byun Yeun-Sup),김연수(Kim you-su),김원경(Kim Won-Kyung),최성규(Choi Sung-kyou) 한국철도학회 199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propose the control method of FSB(full service brake) for the standard EMU. Recently, the variable control function was applied to train by introducing the TCMS. When the vehicle in the train fails, the emergency brake of the train should be automatically operated. In case of VVVF EMU operated by the TCMS, the FSB is applied to the train for safety instead of emergency brake. When the FSB is applied to train regardless of its weight and the numbers, the train safety operation may not be obstained. Therefore, the FSB force which considers its weight and numbers should be applied to the train. This paper describes the blending brake control for standard EMU.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FSB is proposed and its simul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MATLAB.

      • SCIESCOPUSKCI등재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에서 신경성 산화질소-합성효소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구

        이태희 ( Tae Hee Lee ),이준성 ( Joon Seong Lee ),김연수 ( Yun Soo Kim ),이종은 ( Jong Eun Lee ),조은영 ( Eun Young Cho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홍수진 ( Su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You ),김진오 ( Jin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2

        목적: 일차성 식도운동장애는 내인성 억제신경의 기능의 문제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억제신경에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로 NO 합성효소(NO synthase)에 의해 합성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nNOS 유전자 다형성과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체 168명(남자 76명, 여자 92명; 중앙 연령 49세) 중 36명의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 환자군 129명(식도이완불능증 25명, 미만성식도경련 6명, 호두까기 식도 37명, 비특이적 식도운동장애 17명, 고압성하부식도조임근 3명, 저압성하부식도조임근 5명)과 건강한 39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전자 다형성을 보였던 세 nNOS 유전자 SNP (rs374147, rs2682826, rs3782218)를 이용하여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nNOS의 유전자 다형성(rs374147, rs2682826, rs3782218)은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군과 대조군 간에 유전자형, 대립유전자 빈도 분포 및 일배체형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nNOS 유전자 다형성은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의 병태생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PEMDs) are caused by different degrees of inhibitory dysfunction. Nitric oxide (NO) is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NO production is regulated by NO synthase (NOS) polymorph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neuronal NOS (nNOS) gene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a susceptibility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Methods: Total 168 persons (76 men and 92 women; median age 49 yea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EMD group and control group. PEMD group was composed of 25 achalasia, 6 diffuse esophageal spasm, 37 nutcracker esophagus, 3 hypertonic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5 hypotonic LES, 17 nonspecific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and 36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comparisons of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NOS ge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rs374147, rs2682826, and rs3782218) were made between PEMD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ele frequencies and genotype among the groups. Haplotypic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polymorphisms of neuronal NOS (nNOS) gene are not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8;14:108-114)

      • SCOPUSKCI등재

        담석증과 아포지단백 E 유전형과의 관련성

        이문성,김연수,심찬섭,조영덕,홍수진,문종호,이유경 대한소화기학회 199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3 No.3

        Background/Aims: Cholesterol gallstones which are the most common gallbladder stone found in Western countries are recently increasing in Orient including Korea. The formation of cholesterol stone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cholesterol and bile acid metabolism. Apolipoprotein (apo) E is a genetically polymorphic protein influencing lipoprotein metabol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apo E polymorphism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gallstone or bil duct stone. Methods: Apo E phenotype was determined in 132 patients with biliary stone (95 gallstones, 37 bile duct stones) and 49 controls without stone. We determined apo E phenotyp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line probe assay with reverse hybridization principle using allele-speci fic oligonucleotide probe. Results: The E4/3 phenotype (21.0%) and 4 allelic frequency (0.1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gallbladder stones than in patients with bile duct stones and controls (p$lt;0.05). The differences in apo E phenotype and 4 allelic frequency between the patients with bile duct stones and controls were not significant.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 level of E4/3 ph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phenotypes (p$lt;0.05). Conclusions: The apo E4 isoform of apo E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allstones.

      • KCI등재후보

        만성신부전이 경피적 관동맥 풍선확장 성형술(PTCA)의 치료성적에 미치는 영향

        오지은,김현리,나기영,정우경,오세일,채인호,김연수,안규리,한진석,김성권,이정상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2

        목 적 : 허혈성 심질환은 만성신부전 환자들의 사망에 관계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이의치료로 경피적 관동맥 풍선확장 성형술(PTCA)이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으나, 투석을 받고 있지않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의 치료 성적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허혈성 심질환으로 진단되어 PTCA를 시행 받은 환자들의 치료결과를 정상 신기능을 가진대조군과 비교하여 향후 치료방침의 결정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대학교병원에서 1996년 1월부터 1999년 8월 사이에 PTCA를 시행 받은 590명의환자 중 혈청 크레아티닌이 1.4 mg/dL 이상인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22회에 걸쳐 26개 병변에 대한 PTCA가 시행되었다. 대조군은 나이, 성별, 당뇨병 유무에 따라 짝지워진 29명의 환자로 이들에서 39회에 걸쳐 56개 병변에서 PTCA가 시행되었다. 결 과 : 만성신부전군은 남자가 11명과 여자가 4명으로, 연령은 59±9.2(평균±표준편차)세였으며, 혈청 크레아티닌은 3.8±2.4 mg/dL였다. 대상 환자 중 11명(73%)이 당뇨병으로 인한 신병증이었다.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단일혈관질환이 9예, 두혈관질환이 6예, 세혈관질환이 7예였다.26곳 병변에서 시행된 PTCA 중 17곳에서 성공하여 시술성공율은 65%이었고, 나머지 9곳 병변은 곧이어 스텐트를 시행하여 모두 성공하였다. PTCA 시술 후 평균 7개월 후에 시행된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에서 10곳(38.5%)이 재협착을 보였다. 관상동맥 조영술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재발한 협심증으로 추정되는 재협착은 6곳(23.1%)에서 나타나 전체 재협착율은 61.6%였다. 재협착율을 혈관질환 종류에 따라 비교해 보면 단일혈관질환과 두혈관질환에서는 만성신부전군과대조군이 차이가 없었으나, 세혈관질환에서는 만성신부전군에서 재협착율이 89%로 그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만성신부전군 중 혈청 크레아티닌이 2.5 mg/dL 미만인 환자들은 46%의 재협착율을 보인 반면, 2.5 mg/dL 이상인 환자들은 77%로 나타났다. 결 론 :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다혈관질환이거나 신부전이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PTCA 보다는 다른 재관류 요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Ischemic heart disease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regard to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Although PTCA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ischemic heart disease, its result has little been reported in chronic renal failure(CRF) patients not in maintenance dialysis. We examined the therapeutic outcome of PTCA in CRF group in comparison with that in control group with normal renal function. Methods : In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15 patients with CRF(Scr ≥1.4 mg/dL) were compared with 29 sex, age and diabetes mellitus matched controls without renal disease who had been randomly selected from the PTCA registry of our institution. Restenosis was evaluated by follow-up angiography or recurrent angina. Twenty-two PTCAs were performed over 26 stenotic lesions in CRF group, and thirty-nine PTCAs undergone over 56 lesions in control group. Results : CRF group consisted of 11 men and 4 women with a mean age of 59.2±9.2(mean±SD) years and a mean serum creatinine of 3.8±2.4 mg/ dL. Cause of renal failure was diabetes mellitus in 11 cases(73%). Angiographic lesion success was confirmed in 17(65%) out of the 26 stenotic sites and stents were inserted successfully in the other nine lesions. Restenosis was confirmed by angiography in 10 lesions(38.5%) over a mean of seven months and suspected by recurrent angina in 6 lesions(23.1%), so overall restenosis rate was 61.6% in CRF group. Risk of restenosis was little differen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single- and double vessel disease, but increased up to 89% in triple vessel disease in CRF in contrast with control group. Among CRF group patients with serum creatinine ≥2.5 mg/dL showed much increased restenosis rate(77%) compared with those with serum creatinine <2.5 mg/dL (46%). Conclusion : Restenosis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RF patients who have multivessel disease or advanced renal failure, so other reperfusion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m. (Korean J Nephrol 2002;21(2):295-302)

      • KCI등재후보

        복막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진균성 복막염의 임상적 특징

        오국환,안규리,오윤규,김현리,정우경,김연수,한진석,김진석,김성권,이정상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2

        목 적: 진균성 복막염은 지속적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질환이다. 저자들은 복막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진균성 복막염의 원인 진균과 임상상, 치료 방법 및 결과 등을 살펴보고 동일한 기간에 발생한 세균성 복막염의 임상상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진균성 복막염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방 법: 1991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복막투석을 시작한 환자 총376명 중 이 기간 동안에 진균성 복막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 14명(총 15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3.7±11.6세(이하 평균±표준편차)이었으며, 남·녀비는12 : 3이었다. 진균성 복막염을 진단 받은 당시까지의 복막투석 기간은 29.2±27.7개월이었다. 원인균은 Candida species가 10예(62.5%)로 가장 많았으며, Aspergillus 2예, Cryptococcus 1예, Penicillium 1예, Torulopsis 1예, Trichosporon beigelii 1예 등이었다. 5예에서 진균과 아울러 세균의 중복 감염이 확인되었다. 발병 당시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세균성 복막염의증상과 유사하였다. 진균성 복막염 환자에서 복막투석 도관은 모두 제거하였으며, amphotericin B, fluconazole, flucytosine 등을 단독 혹은 병합 투여하였다. 질병의 경과 중에 4예(26.7%)에서 장폐색 또는 복막 유착이 합병되었다. 치료 결과로는, 완치 후 도관 재삽입 후 복막 투석을 지속한 경우가 3예(20%), 혈액투석으로 전환한 경우가 9예(60%)이었고, 3예(20%)는 진균성 복막염으로 인하여 사망하였다. 원인 진균이 Candida species인 환자군과 나머지 군에 있어서 사망률에 차이가 있었으나(33.3% vs 0%)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1). 투여한 항진균제의 종류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동일한 기간에 발생한 세균성 복막염과 진균성 복막염 환자들의 특성을 비교해 볼 때 도관 제거율과 기술적 실패율은 진균성 복막염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 론 : 진균성 복막염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세균성 복막염의 사망률보다 더 높은 사망률과 복막투석 중단의 원인이 되는 심각한 질환으로서, Candida species가 가장 흔한 원인균이었다. Purpose : Fungal peritonitis is a fatal disease with a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to the peritoneal dialysis(PD) patients.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provide a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ungal peritonitis in PD patients by analyzing the clinical and microbiologic features of fungal peritonitis cases. Methods : We analyzed retrospectively into the 15 cases(14 patients) of fungal peritonitis among 376 end stage renal disease(ESRD) patients who newly started P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1 to Dec. 1999. Results : The patients' age was 53.6±11.6 years (mean±standard deviation) and their male to female ratio was 12:3. They have been on PD for 29.2±27.7 months before the fungal peritonitis developed. Candida species was the most common etiologic agent, accounting for 10(62.5%) out of the 16 fungal organisms isolated from our patients. Among others were two Aspergillus, one Cryptococcus, one Penicillium, one Torulopsis, and one Trichosporon beigelii cases. Bacterial agents were isolated simultaneously in five fungal peritonitis cases. Peritoneal catheters were all removed no later than 72 hours after the diagnosis was made. Patients were given a single or combined therapy with amphotericin B, fluconazole, or flucytosine on the physician's choice. The outcomes of fungal peritonitis were as follows; 20% continued PD, 60% converted to HD and 20% died of fungal peritonitis. W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fungal and bacterial peritonitis cases which developed in the same 5-year period, whi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theter removal and technique failure rates in the fungal cases. Conclusion : Fungal peritonitis is a rare but a fatal disease with a high mortality and a technique failure rate. Candida species was the most prevalent microorganism in our study. (Korean J Nephrol 2002;21(2):303-31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