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졸중 이후 수면관련 행동장애를 보이는 환자에 대한 억간산가미 치험 2례

        김수현,이유진,양정윤,조기호,문상관,정우상,권승원,진철,Kim, Soohyun,Lee, Yu Jin,Yang, Jung-yun,Cho, Ki-Ho,Moon, Sang-Kwan,Jung, Woo-Sang,Kwon, Seungwon,Jin, Chul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 2019 대한중풍학회지 Vol.20 No.1

        ■ Objectives This case study is to report the two cases of Ukgansan-gami on sleep-related behavior disorder after stroke. ■ Methods Two patients who had sleep-related behavior disorder after stroke were treated by Ukgansan-gami about a month. We evaluated these patients with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symptoms. ■ Results During treatment period, decreases in both frequency and severity of symptoms were observed in two cases. ■ Conclusion Two patients who were suffered from sleep-related behavior disorder due to sequelae of strok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ir symptom after taking Ukgansan-gami.

      • KCI등재

        다양한 등급의 17종 석탄의 CO<sub>2</sub> 가스화 반응특성 연구

        김수현,유지호,전동혁,이시훈,이영우,Kim, Soohyun,Yoo, Jiho,Chun, Donghyuk,Lee, Sihyun,Rhee, Young Woo 한국청정기술학회 2013 청정기술 Vol.19 No.3

        휘발분 21~57 wt%를 포함하는 17종의 다양한 등급의 석탄에 대하여 $CO_2$ 가스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TGA를 이용하여 $CO_2$ 가스화 반응을 실시한 후 열분해 조건($N_2$)에서의 거동과 비교하였다. $N_2$ 분위기에서 온도 증가에 따른 무게 감량은 석탄 내 휘발분 함량에 비례하였고, $CO_2$가스화 반응성도 휘발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열분해 대비 분산된 모습을 보였다. 석탄 내 산소 기능기들은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크며, 이에 따라 O/C 비율의 증가는 $CO_2$ 가스화 반응성의 증가로 나타났다. 하지만 H/C 비율 및 가스화 반응의 촉매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회분의 함량은 $CO_2$ 반응성과 유의할만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반응 특징은 수증기 가스화 반응과 유사하였으며 고정층 반응기에서 얻어진 $CO_2$ 가스화 결과와 일치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results on $CO_2$ gasification of 17 raw coals containing a wide range of volatile matter (21-57 wt%). The gasification is performed using a TGA under $CO_2$ and also under $N_2$ atmosphere. An amount of weight los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s proportional to that of volatile matter in a coal under $N_2$ atmosphere. Reactivity of $CO_2$ gasification also increases with a content of volatile matter. However, the correlation is a little scattered. Oxygenated functional groups in a coal are generally reactive and therefore, an increase in O/C ratio leads to enhanced reactivity. However, $CO_2$ reactivity is affected by neither H/C ratio nor a content of ashes that possibly activate the gasification reaction. These findings are also applicable to steam coal gasification and the reactivity series are confirmed in the test at a fixed bed reactor.

      • Effects of Dangui-jakyak-san on Common Carotid Artery Elasticity in Healthy Subjects ;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study

        김수현,서유나,배인후,조기호,문상관,정우상,권승원,진철,Kim, Soohyun,Seo, Yuna,Bae, In-hu,Cho, Ki-Ho,Moon, Sang-Kwan,Jung, Woo-Sang,Kwon, Seungwon,Jin, Chul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n Medicine 2020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Vol.21 No.1

        ■ Objectives 당귀작약산 단회 복용으로 정상인의 총경동맥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Methods 본 연구는 정상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교차시험연구다. 모든 대상자들은 임의로 당귀작약산 복용군과 비복용군인 대조군으로 나누어졌다. 1주일 간격으로 총 2회 방문하며, 첫 번째 방문 시에 당귀작약산 복용군은 당귀작약산 1포(2.5g)과 물을 제공받고, 대조군은 물만 제공받아 복용하였다. 두 번째 방문 시 첫 번째 방문과 반대로 당귀작약산을 복용했던 복용군은 물만 제공받고, 물만 복용했던 피험자들은 당귀작약산 1포와 물을 제공받았다. 물은 100 cc로 매번 동일하게 제공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복용 직전과 복용 2시간, 4시간 후에 총경동맥 탄력도, 혈압, 총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맥박수를 측정하였다. ■ Results 총 20명의 정상인 남성이 모집되었으며, 시간에 따라 당귀작약산 복용 후의 총경동맥 탄력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상승한 것이 확인되었다. 내막-중막 두께, 혈압 및 맥압, 맥박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Conclusion 당귀작약산의 단회 복용으로 총경동맥 탄력도가 즉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써 당귀작약산이 동맥 경직도 완화 및 탄성의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진주오광대 문둥탈의 유형과 조형성

        김수현(Kim, Soohyun)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1

        진주오광대의 전통 오문둥탈은 세 가지 유형이 알려져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송석하가 1934년에 수집한 바가지탈인데, 오방색 체계를 청적황백녹의 오색으로 융통성 있게 구사했다. 녹탈은 오탈놀이에서 흑탈로, 말뚝이놀음에서 말뚝이탈로 겸용된 것이다. 이 오문둥탈의 안면은 전통미술의 용면, 산예, 세화의 호랑이 같은 영물의 형상을 연상시킨다. 원래의 탈에 달려 있었던 수염, 갈기와 송곳니의 영기 표현이 그러한 인상을 강화한다. 최상수가 수집한 것으로는 바가지탈과 나무탈 두 벌이 전하며, 상식과 다르게 나무탈보다 바가지탈이 오래된 것이다. 최상수 컬렉션은 1956-7년 진주오광대부흥 움직임과 관련된다. 적어도 그가 1959년에 수집한 차생원, 어딩이, 무시르미탈이 그 사실을 알려준다. 이에 비해 그가 수집한 문둥탈들과의 관계는 확실치 않다. 이 문둥탈들은 마치 잡귀 잡신의 해학적 형색이며 스스로 희롱당하고 구축되어야 할 대상인양 형상화되어 있다. 반면에 송석하 컬렉션의 오문둥탈은 전통의 원형성을 보유한다. 그 조형성을 분석함으로서 이것이 원래는 신장놀음의 오방신장탈처럼 신성한 위엄을 갖고 있었고 새해 초 지신밟기와 관련된 벽사진경을 위한 탈로서 기능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오방신장이 천신이듯이 오문둥이가 원래는 지신이었다. 다른 오광대나들놀음에서 쓰이는 문둥탈들은 해학의 효과를 부각시킨 오락탈이다. 한편으로 벽사탈의 신성한 위엄, 다른 한편 오락탈의 친숙한 해학성을 고루 갖춘 것이 진주오광대 문둥탈이다. There are three types of mask sets called the five mundungi(lepers) masks in Jinju-Ogwangdae performance. The oldest set is that Sukha Song collected in 1934, in which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system of five-directional hues was not precisely employed but the ordinary five color system in a series of hues including white, blue, red, yellow, and green. In the course of performance, the same green mask was used at once for the black mask wearing on by the northern mundungi in leper’s stage, and also used for the Malttugi mask in the next stage. The features of leper masks recall haunting images of dragon-face, lion, and the new year’s tiger in traditional art subject. What make such impression more strong is beast-like beards originally attached to the face of each mask. Sangsu Choi collected a pair of five mundungi masks made both of wooden and of gourd. It seems contrary to the common sense that the former is not older than the latter. His collection was in relation with the revival events of 5 lepers’ performance in 1956 and 1957. It was the consequence that he had got 3 masks of Jinju-Okwangdae including Cha-saengwon, Eodingi, and Musilmi in 1959. However, we may not yet recognize that the events had been concerned with his collection of leper mask sets. They look like humble ghosts or demons that their figural forms might be characterized as humorous as are scorned by themselves and expelled far beneath a stream away from human life world. In contrast, designs of the leper masks in Song’s collection represent some primordial characteristics of archtype. The masks were in past used in the context of the New Year’s ritual of trotting earthly demons, showing majesties sacred as with the divine five-directional generals, that had functioned for celebration of repelling evil & greeting happiness. As the divine five-directional generals were heavenly gods, so the five lepers originally were earthly demons. The aesthetic function of leper mask of the other Okwangdae or Field Play is to arouse a sense of the humorous in amusement. To the contrary, the aesthetic quality of all the earthly demonic masks of Jinju-Okwangdae is a chasm of sacred dignity and familiar humor.

      • KCI등재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김수현(Soohyun Kim),김동균(Dong Kyun Kim)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6

        본 연구는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하여 Sentinel-1으로 중소규모 하천의 수체 추출 방법을 검증하였다. 연구지역으로 한강유역의 한탄강과 중랑천 일부를 선정하였다. Sentinel-1의 수체 추출 방법 검증을 위해 고해상도 광학위성인 PlanetScope를 함께 활용하였다. 수집한 SAR 위성영상자료(Sentinel-1)는 전처리과정 후,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을 통해 영상의 밝기 분포를 동일시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하천추출을 위하여 하천중심선에서의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가중치를 추가하였다. 이 가중치 값과 Sentinel-1의 VH, VV 편광과의 조합을 통해 k-mean 방법으로 최적의 매개변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해상도의 한계에 따라 Sentinel-1에서 최대 정확도의 수체를 추출할 수 있는 값이며, 이 수준에 해당하는 수체 추출을 VV, VH, 평면최단거리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타원방정식으로 계산식을 도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평균 정확도가 0.45~0.75 사이에서 도출되었고, 평균 Kappa 계수가 0.60~0.85에 근접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평면최단거리 값을 활용하여 참값이 없더라도 수체면적의 추정을 보여준다. 또한, 현존하는 수체 추출 방법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체를 추출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In this study, a method for extracting the waterbody of small- to medium-sized streams is verified using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based on the shortest plane distance (DST). The areas investigated are the Hantangang River and Jungnangcheon stream. To verify the waterbody extraction method, SAR satellite image data (Sentinel-1) and PlanetScope, which is a high-resolution optical satellite, are used simultaneously. After preprocessing the Sentinel-1 images, their brightness distribution is equalized via histogram matching. To realize an efficient stream extraction, a weight, which is the DST from the stream centerline, is added. After combining this weight value and Sentinel-1's VH and VV polarizations, the optimal parameter value is obtained using the k-means method. This value allows the waterbody to be extracted from Sentinel-1 images with maximum accuracy, depending on the resolution limit. Based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VV, VH, and DST, the waterbody extraction can be calculated using an elliptic equation.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accuracy is 0.45-0.75, and the average Kappa coefficient is 0.60-0.85. This study shows that the waterbody area can be estimated using the DST. Additionally,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waterbody more simply and rapidly than the existing waterbody extraction method.

      • KCI등재

        다양한 조명 환경에 강인한 실시간 얼굴확인 기법

        김수현(Soohyun Kim),한영준(Youngjoon Han),차형태(Hyungtai Cha),한헌수(Hernsoo Hah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4 No.7

        얼굴인식기술이 인증 및 보안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지만 입력영상의 상태, 즉 조명환경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제약적일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면과 후면조명 등의 불규칙한 조명환경에서 획득한 입력영상에서 얼굴의 특징을 구분하여 얼굴영상임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에지차영상을 얼굴특징이 두드러지도록 전처리한 후, X와 Y축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예측하고 영역 내의 밝기분포를 이용하여 눈, 코, 입 등의 얼굴특징이 놓일 수 있는 수평영역을 분리한다. 수평영역들은 눈, 코, 입을 포함할 수 있는 영역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각 그룹에서 코와 입, 그리고 눈의 순서로 특징들을 검출한다. 얼굴여부는 검출된 특징들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증하여 확인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배경색상이나 조명의 방향과 색상 등으로 인해 얼굴의 형태와 특징이 결여된 입력영상에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적용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A face recognition has been used for verifying and authorizing valid users, but its applications have been restricted according to lighting conditions. In order to minimizing the restricted conditions, this paper proposes a new algorithm of detecting the face from the input image obtained under the irregular lighting condition. First, the proposed algorithm extracts an edge difference image from the input image where a skin color and a face contour are disappeared due to the background color or the lighting direction. In the next step, it extracts a face region using the histogram of the edge difference image and the intensity information. Using the intensity information, the face region is divided into the horizontal regions with feasible facial features. The each of horizontal regions is classified as three groups with the facial features(including eye, nose, and mouth) and the facial features are extracted using empirical properties of the facial features. Only when the facial features satisfy their topological rules, the face region is considered as a face. It has been proved by the experiment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detect faces even when the large portion of face contour is lost due to the inadequate lighting condition or the image background color is similar to the skin color.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