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evalence and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in Korean medical journals

        김성중,한미아,Jung Jae Hung,Hwang Eu Chang,Kim Hae Ran,Yoon Sang-Eun,Kim Seo-Hee,Kim Pius,Kim So-Yeong 한국역학회 2023 Epidemiology and Health Vol.45 No.-

        This study aimed to assess and evaluate the prevalence and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SRs) published in major Korean medical journals (KMJs). The top 15 journals with the highest Korean Medical Citation Index, published between 2018 to 2021, were selected. We assess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Rs using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ystematic Reviews 2 (AMSTAR 2). In total, 126 SRs were included, with an average of 32 SRs being reported annually. The overall prevalence of SRs in KMJs was 2.8%, with an increase from 2.6% in 2018 to 3.4% in 2021. Overall,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Rs was low (9.5% low, 90.5% critically low). More than 80% of the studies adhered to critical domain items such as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and risk of bias assessment, but for items such as protocol registration and listing excluded studies and the justification for exclusion, the adherence rate was less than 15%. While the number of SRs in KMJs steadily increased, the overall confidence in the methodological quality was low to critically low.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evidence for decision-making in clinical and public health areas, editors, reviewers, and autho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Rs.

      • 관절경을 이용한 대퇴골과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치료

        김성중,경희수,인주철,이성만,Kim Sung-Jung,Kyung Hee-Soo,Ihn Joo-Chul,Lee Seong-Man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2

        목적 : 관절경 소견을 기준으로 슬관절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 17면 19례에 대해 관절경을 시행하고 그 소견을 토대로 치료방법을 결정하였다. 관절경 관찰후에 특별한 조작을 가하지 않은 경우를 1군,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한 경우를 2군, Herbert 나사로 고정을 시도한 경 우를 3군, 유리체 제거나 기저부 소파술을 시행 한 경우를 4군으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Hughston등의 방법에 의한 분석으로 우수, 양호, 보통, 불량, 실패 등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총 19례 중 14례$(74\%)$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치료 방법에 따른 분류상 1군 중 3례(3/4)에서, 2군 중 3례(3/4)에서, 3군 중 7례(7/8)에서, 4군 중 1례(1/3)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Herbert 나사 고정군에서 다른 군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대퇴골과의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방법 결정에 있어서 관절경 소견은 믿을만 한 지표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골성장판이 완전 폐쇄되기 전의 환자에서 Herbert 나사 고정술과 같이 병변부에 대하여 적극적인 재건을 시도하여 만족 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 We analyz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in the femoral condyle under arthroscopic guidance.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group consists 19 cases in 17 patients.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34 months and average age was 16 years. The cases were classified by 4 different groups, using the fellowing system: Group 1-stable lesion and no specific treatment after arthroscopic examination; Group 2-early separation and multiple drilling; Croup 3-unstable lesion and Herbert screw fixation; Croup 4-loose body removal and/or crater curettag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criteria of Hughston which including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Results : There were 14 cases$(74\%)$ of good and excellent results in 19 knees in which, $75\%$(3/4) in Group 1, $75\%$(3/4) in Group 2, $86\%$(7/8) in Group 3 and $33\%$(1/3) in Group 4. The result of Herbert screw fixation group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In the treatment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skekletally immature patients, arthroscopic finding was reliable guidance in decision of treatment method and active fixation was recommended in patients with large, unstable lesion.

      • KCI등재
      • KCI등재

        소교량 유송잡물 저감시설의 비교 분석 연구

        김성중(Kim, Sung-Joong),정도준(Jung, Do-Joon),강준구(Kang, Joon-Gu),여홍구(Yeo, Hong-Koo),김종태(Kim, Jong-T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홍수 시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유송잡물로 인해 교량을 비롯한 구조물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송잡물 저감시설인 수직분리대, 우회말뚝, 스위퍼를 제작하여 실험수로에서 저감시설 유무에 대한 집적실험을 실시하였다.수직분리대는 교량에 집적되는 유송잡물에 평행 흐름을 발생시켜 이를 통과시키는 저감시설로써 목재를 이용해 제작하였으며, 우회말뚝은 유송잡물의 방향을 우회시키는 방식으로 강파이프를 이용해 제작하였다. 스위퍼는 스크류 형태의 원통형 구조물이 흐름에 의한 자력 회전으로 유송잡물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아크릴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실험은 유송잡물의 경도 및 투하 방법에 따른 집적 정도를 분석하여 저감시설의 집적률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5회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저감시설의 종류, 유송잡물 형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유송잡물이 집적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경우가 많았다. 교량에 대한 직접적인 저감효과는 우회말뚝, 스위퍼, 수직분리대 순으로 나타났지만 우회말뚝의 경우 말뚝에 직접 집적되는 유송잡물로 인하여 흐름교란, 수위 및 하상변동, 말뚝의 유실 등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Damage to structures, such as bridge piers, are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debris moving along rivers at the time of flooding. Therefore, the debris fin, debris deflector and debris sweeper, which are debris reduction systems, were produced in this study and an accumul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channel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reduction system. The debris fin is the reduction system that creates parallel flow on debris accumulated on the bridge to pass through the bridge, which was produced using wood. In addition, the debris deflector was produced using steel pipes and it has the type of detouring the direction of debris. The debris sweeper passes the debris using the magnetic force rotation of a screw-shaped cylindrical structure by water flow and it was produced using acrylic material.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analyzing the level of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hardness and dropping method of the debris and comparing the accumulation rate of reduction systems,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5 tim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ccumulation rate according to the type of reduction system and the shape of debris, and it often depended significantly on the initial shape of debris accumulation. The direct debris reduction effect on the bridg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debris deflector, debris sweeper and debris fin, but in case of the debris deflector, damage, such as stream turbulence, changes in water level and river bed, and the loss of deflector can occur due to debris accumulated directly on the debris defl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debris deflector considering these issues.

      • KCI등재

        교량의 유송잡물 집적을 고려한 추가 여유고 산정식 개발

        김성중(Sung-J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소교량에서의 대표적인 홍수피해는 교각기초의 세굴, 여유고 부족으로 인한 파괴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더불어 유송잡물 집적으로 인한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는데 교량에서의 유송잡물에 대한 피해는 유송잡물 집적으로 인한 교량전도, 수위상승으로 인한 제방월류, 압력흐름 증가로 인한 하상세굴 등의 피해 등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유송잡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방법으로는 유송잡물 차단, 우회시설을 설치하거나 충분한 교량의 여유고를 확보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유고 확보를 위한 수리실험을 계획하였다. 수리실험은 소교량 대상실규모 유송잡물 집적실험과 집적형태를 반영한 수리특성실험으로 구성하였다. 집적형태를 반영한 수리실험은 개수로 흐름의 유속에 따른 흐름특성을 나타내는 값 중 하나인 프루드 수(Froude Number) 조건에 따라 유송잡물의 폭비(W/a), 높이비(H/a)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유송잡물을 고려한 Fr에 따른 여유고 산정식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Typical flood damages in small bridges include scour of the pier foundation and destruction due to lack of freeboard. In addition, there are cases of damage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debris. The debris on the bridge causes various damage, such as bridge overturning due to the accumulation of debris, river bank overflow due to water level rise, and bed scours due to increased pressure flow. Methods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debris include blocking the debris, installing bypass facilities, or securing freeboard for the bridge. This study performed a hydraulic experiment to secure freeboard for the bridge. The hydraulic experiment consisted of real scale tests on a small bridge and a hydraulic characteristic experiment that reflected the type of accumulation. In the hydraulic experiment reflecting the type of accumulation, the effect of the width ratio (W/a) and height ratio (H/a) of debris under the Froude Number (Fr) conditions was reviewed. These variables and conditions represent the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low velocity of the open channel.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freeboard equatio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Fr, considering debris.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