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모막 융모샘플링(C.V.S)이 임산부 혈청 alpha-Fetoptrotein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영호(YH Yang),김도형(DH Kim),김창규(CK Kim),이명선(MS Lee),이창훈(C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 산전유전질환 진단 및 치료적 임신중절을 목적으로 내원한 56명의 환자중 27명을 대상으로 융모막 융모셈플링을 실시하엿으며 융모채취전후 MSAFP치를 측정하여 이를 임신주수, 융모채취량, 카테터 삽입회수와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임신 6-12주의 주수별 MSAFP치의 중앙값은 각각 3.0, 3.0, 3.0 , 3.0, 3.7 , 5.9, 10.0 IU/ml 이었다. 2. CVS를 시행한 27예중 18예에서 (59.3%) 20%이상의 MSAFP증가를 보였고, 이중 50%이상 100%미만은 15예로 55.5%, 100%이상은 13예로 48.1%의 빈도를 보였다. 3. CVS 후의 MSAFP로부터 태아모체성 출혈량을 계산하여 60ul이상 3예, 100ul 1예의 결과 를 보였다. 4. 채취된 융모양이 많을수록 MSAFP가 증가하였다. 5. 같은 양의 융모채취에 대해 카테터 삽입회수 3-4회인 군에서 1-2회인군에비해 MSAFP의 증가폭인 컸다. 본연구결과 CVS 후의 태아모체성 출혈을 주소하기 위하여는 CVS에 충분한 경험을 가진 산 부인과 의사와 초음파 및 유전학실험실 요원간에 긴밀한 협조하에 가능한한 최소한의 카테 터 삽입회수와 검사에 필요한 최소량의 융모채취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MH during CVS may contribute in subsequently raising the chance of abortion and even cause maternal Rh isoimmunization . Detection and quatitation of FMH could be made by determining the changes in MSAFP level by enzyme immunoassay before and 15 minutes after CVS. CVS was perfomred in 27 patients for prenatal genetic diagnosis using a flexible plastic catheter introduced transcervically under real-time ultrasonography guidance . MSAFP level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according to their gestational weeks, amounts of villi sampled and the frequency of catheter-pass. Fifty-nine percent of these patients had an increaed MSAFP levels by 20 per cent or more. Such a rise was thought to reflect crossing of fetal blood through intervillous space upon performing CVS, A prospective correlation was obtained. The group given three to four catheter-passes had more elevated levels of MSAFP than the group given only one or two passes . In three of these patients more than 60 ul of fetal blood was transferred with only one of them presumed with more than 0.1ml of expected volume of FMH. To minimize the chance of FMH during CVS, a least amount of villi should be obtained for diagnosis with as few catheter-pass as possible.

      • KCI등재
      • KCI등재

        원발성난관암 7 예에 대한 고찰

        최동희,박찬규,김재욱,김도형,란세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6

        1980년 1월부터 1989년 8월까지 본 연세대학교부속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여 원발성난관암에 대한 치료를 받은 7명으로부터 임상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평균연령은 48세였고, 분만력상 미경산부는 7명중 2명이었다. 2. 증상으로는 하복부 동통을 5예, 점상 질출혈을 4예에서 호소하였다. 3. 내진상 5예에서 골반내 종괴를 촉지할 수 있었다. 4. 증상발현후 진단까지 평균 14개월이 지연되었다. 5. 진단당시 암기는 Ⅰa기 4예, Ⅰc, Ⅱc, Ⅲb 각 1예로 3예에서 진행되어 있었다. 6. 조직학적으로 전예에서 유두상을 보였고 분화정도는 Grade Ⅰ이었다. 7. 수술적 처치는 외부에서 전원된 1예(증례 1)을 제외한 전예에서 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8. 보조요법은 3예에서 방사선요법 4예에서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하였고, 방사선요법을 받은 2예(증례 2, 3)에서 18개월, 20개월후에 재발되었다. 재발된 2예에서 cis-platin을 포함하는 복합 화학요법으로 각각 44개월, 17개월동안 생존하였다. Primary 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is extremely rare malignant tumor of the female genital tract. Clinical aspect of 7 cases of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fallopian tube are presented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음향자극검사를 이용한 진통중 태아 안녕 평가의 효용성

        최동희,김동규,박찬규,박용원,서경,김도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4

        저자들은 1988년 3월부터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125예 중 고위험 임신군 48예와 정상 임신군 77예를 대상으로 진통중 전자태아감시장치를 이용하여 태아의 상태를 평가함과 아울러 음향자극검사를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적응증으로서 조기양수파막이 21예, 임신중독증이 9예, 과숙아임신이 4예, 조기진통이 3예 등이었으며 대조군으로 정상임신이 77예이었다. 2. 각검사의 반응성을 보면, 음향자극검사의 반응성은 86.4%, admission test의 반응성은 52.8%으로 음향자극검사의 반응성이 admission test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3. 주산기이환율 평가를 위한 1분 Apgar score의 비교에서 음향자극검사가 반응성인 경우 25.9%, admission test가 반응성인 경우 24.2%로 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무반응성인 경우는 41.2%와 32.2%로 음향자극검사 때 admission test에 비교하여 상승된 소견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5분저 Apgar score의 비교에서도 음향자극검사와 admission test 반응성인 경우가 각각 1.9%, 1.5%로 차이는 없었으나 음향자극검사 무반응성인 경우는 23.5%로 admission test 무반응성 8.5%에 비교하여 3배의 높은 신생아 주산기 이환율을 나타내었다. 4. 분만중 태아곤란증의 빈도는 음향자극검사에서 반응성을 보인 경우는 25.9%, 음향자극검사 무반응성을 보인 경우는 76.5%로 나타났고, admission test에서 반응성을 보인 경우는 21.2%, 무반응성을 보인 경우는 45.8%에서 나타났으며 이들의 차이는 각각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p$lt;0.01). 음향자극검사 무반응성인 군에서 admission test 무반응성인 군과 비교해 분만중 태아곤란증의 빈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5. 두 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보면, 음향자극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및 음성예측율은 각각 31.7%, 95.2%, 76.5% 그리고 74.1%이었으며, admission tes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및 음성예측율도 각각 65.8%, 61.9%, 45.8% 그리고 78.8%이어서 음향자극검사가 admission test와 비교해볼 때 높은 특이도 및 양성예측율을 보여주었다. 6. Admission test와 음향자극검사상에서 모두 반응성을 보인 군과 admission test에서 무반응성이나 음향자극검사에서 반응성을 보인 군 그리고 admission test와 음향자극검사에서 모두 무반응성을 보인 군에서의 응급 제왕절개술의 빈도, 태아곤란증의 빈도 및 주산기 이환율의 평가를 비교하여보면, 음급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두 검사 모두 무반응성인 군에서 11.8%로 admissiontest에서 무반응이나 음향자극검사에서 반응성인 2.4%와 두 검사 모두 반응성인 3.0%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여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태아곤란증의 빈도는 각각 52.9%로 31.0%와 15.1%에 비해 의의잇는 증가를 보였다(p$lt;0.05). 7이하의 5분 Apgar score도 23.5%로 2.4%와 1.5%에 비해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p$lt;0.05). 양수의 태변 착색빈도도 52.9%로 33.3%와 31.0%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로서 admission test 무반응성인 경우라도 음향자극검사가 반응성일 때, 두 검사 모두 반응성인 경우와 비교분석한 결과 임신의 예후에 차이가 없었으나, admission test 무반응성이고 음향자극검사가 무반응인 경우와는 임신 예후에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분석한 바 진통중 태아안녕의 평가방법으로서 음향자극검사의 우수성을 제시하여 이검사를 이용하므로 admission tesst의 위양성율을 감소 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March through August at 1988. In order to evaluate the fetal well-being during intrapartum, 125 patients with 48 cases of high risk pregnancy, 77 cases with normal pregnancy were assessed with Acoustic stimulation test(AST) immediately followed by Admission test(AT) of intrapartal fetal monitoring and the following data were observed. 1. According to the indications, PROM was most frequent with 21 cases, post-term pregnancy 4 cases, preterm labor 3 cases as decreasing in order and the 77 cases for the control group. 2. The incidence of reactivity on each tests were 86.4% for the acoustic stimulation test, 52.8% for the admission test. 3. Perinatal morbidity was assessed with use of low Apgar score. The 1 minute low Apgar score was 25.9% for the AST reactive and the 24.2% for the AT reactive group. For the nonreactive groups its were 41.2% and 32.2% respectively. The 5 minute low Apgar score, the both reactive groups revealed 1.9% and 1.5% respectively, but in the AST nonreactive group showed three times high perinatal morbidity than AT nonreactive group as 23.5% to 8.5%(p$lt;0.01). 4. The incidence of fetal distress during labor, in AST reactive group is 25.9% and nonreactive group is 76.5%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lt;0.01). For the AT reactive group 21.2% and for the nonreactive group 45.8% were observed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lt;0.01). 5. Diagnostic accuracy of AST and AT in the prediction of intrapartal fetal distress were, sensitivity for the AST and AT were 31.7% and 65.8% respectively. The specificity for the AST and AT were 95.2% and 61.9%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for the AST and AT were 76.5 and 45.8% respectively.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for the AST and AT were 74.1% and 78.8% respectively. 6. Cesarean section rate, fetal distress and the perinatal morbidity were compared to the different result of AT in relation to reacive and nonreactive AST. Both reactive in AT and AST group and the AT nonreactive and AST reactive group showed low incidence of cesarean section rate compared to the both AT and AST nonreactive group as 3.0%, 2.4% and 11.8%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incidence of the fetal distress was high in the both AT and AST nonreactive group comared to the AT reactive group as 52.9%, 31.0% and 15.1% respectively(p$lt;0.05). 5 minute low Apgar score was highly noted in both AT and AST nonreactive group compared to the AT nonreactive and AST reactive group and the both AT and AST reactive group as 23.5%, 2.4% and 1.5% respectively(p$lt;0.01).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로겐 보충요법시 병행 투여된 활성형 비타민 D의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은동,김흥열,김성환,김도형,석원일,서남원,이상민,노선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폐경 후 여성에서 1년간 활성 vitamin D, 경피적 에스트로겐,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활성 비타민 D의 병합투여가 골밀도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위해 1996년 5월 1일부터 1997년 8월 31일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환자 중 자연 폐경된 여성으로 마지막 월경 후 최소한 12개월 이상 무월경인 여성 중에서 폐경과 관련된 증상이 있는 환자와 이미 자궁의 양성 질환으로 인하여 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적으로 3종류의 치료군, 즉 활성 비타민 D 투여군(제Ⅰ군), 경피적 에스트로겐 투여군(제Ⅱ군),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활성 비타민 D 병용투여군(제Ⅲ군)에 각 군별로 35, 50, 35명씩을 배정하여 아침 첫 소변의 중간뇨에서 요중 칼슘/creatinine비, 혈중 osteocalcin, 척추(L2-L4)및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6개월 및 12개월 간격으로 소변내 칼슘/creatinine 비의 변화, 척추 및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척추(L2- L4) 골밀도의 변화는 6개월, 12개월째 에 기저치에 대한 척추 골밀도의 비는 활성 비타민 D 를 단독으로 투여한 제Ⅰ군에서는 기저치에 대한 유 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경피적 에스트로겐 단 독으로 투여한 제Ⅱ군,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활성 비 타민 D를 병용한 제Ⅲ군에서는 기저치에 비해 12개월 치료 후의 결과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척추 골밀도 의 증가를 보였다. 치료군간의 비교에서는 제Ⅰ군에 비해 Ⅲ군은 유의한 척추골밀도의 증가를 보였다. 2. 대퇴골 경부 골밀도의 변화는 6개월, 12개월째 에 기저치에 대한 척추 골밀도의 비는 활성 비타민 D를 단독으로 투여한 제Ⅰ군, 경피적 에스트로겐 단 독으로 투여한 제Ⅱ군,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비타민 D를 병용한 제 Ⅲ군 모두에서 기저치에 대한 유의 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혈청 osteocalcin의 변화는 6개월, 12개월째에 기 저치에 대한 혈중 osteocalcin치는 활성 비타민 D를 단독으로 투여한 제Ⅰ군에서는 기저치에 비해 유의 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경피적 에스트로겐 단독 으로 투여한 제Ⅱ군에서는 투여 12개월째 유의한 감 소를 보였으며, 경피적 에스트로겐에 활성 비타민 D 를 병용한 제Ⅲ군에서도 투여 12개월째 유의한 감소 를 보였다. 세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 지만 제I군에 비해 Ⅱ군, Ⅲ군 모두 혈중 osteocalcin 의 감소를 보였다. 4. 요중 칼슘/creatine비의 변화는 6개월 12개월째 에 기저치에 대한 요중 칼슘/creatinine의 비는 활성 비타민 D를 단독으로 투여한 제Ⅰ군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경피적 에스트로겐 단독으로 투여한 제Ⅱ군에서는 투여 12개월째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경피적 에스트로겐에 활성 비타민 D를 병 용한 제Ⅲ군에서도 투여 12개월째 유의한 감소를 보 였다. 세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제I군에 비해 Ⅱ군, Ⅲ군 모두 혈중 osteocalcin의 감 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활성 비타민 및 경피적 에스트로 겐 단독 투여보다 경피적 에스트로겐과 활성 비타민 D를 병용투여함으로써 골밀도 증가 및 골대사에 보 다 나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impacts of vitamin-D o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in the estrogen replacement 1-year trials of 3 grops: Group 1 was 35 wemen recieved the treatment with 0.5 ㎍ of vitamin D daily by oral administration, Group Ⅱ was 50 wemen recieved the treatment with 50 ㎍ of 17 β-estradiol by percutaneous administration, Group Ⅲ was 35 wemen recieved with percutaneous estrogen with daily addition of vitamin D. In all subjects, bone mineral density (BMD) of lumbar spine and femur neck,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and serum osteocalcin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and after 6 and 12 months of treatment. BMD of femur neck in Group I, Group Ⅱ and Group Ⅲ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compared to basal level at 6 months and/or 12 months of treatment. As for BMD of lumbar spine,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treatment in Group Ⅱ and Group Ⅲ, but not in Group Ⅰ. Serum osteocalcin in Group Ⅱ and Group Ⅲ decreased significanly at 12 months of treatment compared with Group Ⅰ. Urinary calcium/creatinine ratio in Group Ⅱ, Group Ⅲ, decreased significantly at 12 months of treatment compared with Group I. From the above results, it might be suggested that combined therapy (percutaneous estrogen with daily addition of vitamin D) is more effective in post menopausal women with the protection on decreasing bone mineral density.

      • KCI등재

        신생아 쇄골 골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권해,이순곤,김도형,이정재,김보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8

        쇄골골절은 분만시 골절이 가장 잘 일어나는 뼈로서, 질식분만시 두정분만이 어렵거나 둔위시 팔분만이 어려울 때 잘 일어난다.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8월까지 분만한 총 6138예를 대상으로 신생아를 쇄골골절에 관한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쇄골골절의 빈도는 총 분만 6158예중 17예로 0.28%이었으며, 16예가 정상분만시 발생하였으며 1예만이 제왕절개술에 의해 발생하였다. 2. 태위에 따른 쇄골골절의 빈도는 정상분만시 두정위가 15예였으며, 제왕절개시에는 두정위 1예에서 만 쇄골골절을 보였다. 3. 쇄골골절의 좌우측 빈도는 좌측이 7예(41.2%), 우측이 10예(58.2%)였다. 4. 쇄골골절이 위치에 따른 발생빈도는 중간 1/3이 10예(58.8%), 내측 1/3이 5예(29.4%), 외측 1/3이 2예(11.8%)로 중간 1/3부위에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5. 분만시 체중과의 관계는 질식분만시 쇄골골절이 있었던 16예중 3,000 gm이하는 1,147예중 3예(0.26%), 3,000-3500 gm이 1,803예중 5예(0.28%)였고, 3,500-4,000 gm이 758예중 7예(0.92%)였으며, 4,000 gm이상이 68예중 1예(1.47%)로 신생아의 몸무게가 증가할수록 쇄골골절의 빈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었고 이들의 평균체중은 3,480 gm이었다(p$lt;0.05). 6. 분만시 쇄골골절로 인한 합병증으로 혈관 및 신경손상, 가골의 과도형성으로 인한 잔여변형, 부정유합, 불유합, 외상성 관절염은 한 예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The clavicle is the most frequently fractured bone in the full-term newborn during vaginal delivery. In the new-born, the breaking force may arise from compression of the shoulders during a difficult delivery at virth. An asymptomatic fracture in the neonate may be ignored. It will unite without external immobilization and any malalignment will correct itself with growth. The typical clinical signs of the clavicle fractures are diminished movement of the affected side arm. On palpation, there is local swelling, tenderness, crecipatation over the fracture site. Fracture in the middle third of the clavicle will be clearly depectied in the anterior posterior radiogram. To demonstrate fractures of the medial and lateral end of the clavicle, however, special oblique, lateral, or lordotic 40-degee cephalic tilt views may be required. This study was analized 6,158 live births, who were delivered at th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1 to August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clavicle fracture was 0.28%(17cases), and 16 cases were in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only one case was occured in cesarean section. 2. The incidence of clavicle fracture by presentation was following; 15 cases of vertex presentation and 1 case of breech presentation in the vaginal delivery, 1 case of vertex presentation in secarean section. 3. The incidence of site(riht or left) of clavicle fracture was left with in 41.2%(7 cases), right site in 58.2%(10 cas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incidence of fracture site(right or left). 4. The incident site of clavicle fracture was at mid 1/3 in 58.8%(10 cases), inner 1/3 in 29.4%(5cases), outer 1/3 in 11.8%(2cases). 5. During vaginal deliver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of clavicle fracture and body weight are as follows: below 3000 gm in 0.26% (3 out of 1147 cases), 3000-3500 gm in 0.28% (5 out of 1803 cases). 3500-4000 gm in 0.92%(7 out of 758 cases), above 4000 gm in 1.47%(1 out of 68 cases), the mean body weight was 3480 gm. The clavicle fracture incidence was increased as fetal body weight was increased(p$lt;0.05). 6. In our study, we did not find any fetal complications vessel, nervel injury remnant deformity, non-union and traumatic arthritis in clavicular fractured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