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실내환경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분리 및 특성

        김나영,김영란,김민규,조두완,김종설,Kim, Na-Yeong,Kim, Young-Ran,Kim, Min-Kyu,Cho, Du-Wan,Kim, Jong-Seol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3

        울산 소재 초등학교 3곳의 교실과 복도에서, 배양가능한 공기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를 조사하고, 이들 미생물을 분리한 후 동정하였다. 세균과 진균의 포집에는 충돌식 공기 채취기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수와 진균수의 측정에는 각각 plate count agar와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를 사용하였다. 학기 중 세균 농도는 교실에서 $168{\sim}3,887MPN/m^3$ 복도에서 $168{\sim}6,339MPN/m^3$의 범위였으며, 진균 농도는 교실에서 $34{\sim}389MPN/m^3$, 복도에서 $91{\sim}507MPN/m^3$의 범위로, 상황과 학교에 따른 측정값의 편차는 세균에서 진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분리한 세균의 84%는 그람양성으로 관찰되었는데, 전체 시험한 세균의 61%는 Micrococcus 속으로, 이중 75%는 M. luteus로 확인되었으며, Staphylococcus속은 전체의 10%수준이었다. Micrococcus 속의 주요 발생원은 사람으로 생각되며, 함유한 색소나 높은 세포벽 함량 등의 생리적 특징이 이들 세균의 공기중 생존력을 높이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집한 시료로부터 15속의 사상성 진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ladosporium 속,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등이 분리한 진균의 69%를 차지하였다. 1개 학교의 교실에서는 Stachybotrys속이 검출되었는데, 이 속의 S. chartarum은 많은 진균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독소생산과 관련이 깊은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Stachybotrys 속에 대한 종 수준에서의 동정, 분리한 진균의 독소생산능력, 공기중 진균독소 검출 및 진균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ndoor airborne bacterial and fungal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at classrooms and corridors of 3 elementary schools in Ulsan. Airborne microorganisms were collected with an impaction-type air sampler using plate count agar and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 During the semester, concentrations of bacteria ranged $168{\sim}3,887 MPN/m^3$ at classrooms and $168{\sim}6,339 MPN/m^3$ at corridors, while those of fungi ranged $34{\sim}389 MPN/m^3$ at classrooms and $91{\sim}507 MPN/m^3$ at corridors. The bacterial concentrations showed larger variations between situations and schools compared to those of fungi. When airborne bacteri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84% were observed as Gram-positive, and Micrococcus spp. was the most abundant group with 61% of tested isolates, followed by genus Staphylococcus with 10%. The Micrococcus spp. isolates, of which 75% were identified as M. luteus, appeared to be from human origins. The protective pigments and substantial cell wall of Micrococcus may provide selective advantage for their survival in the air. We also isolated and identified 15 genera of filamentous fungi. The most common culturable fungi were Cladosporium, Aspergillus and Penicillium, and these 3 genera were 69% of fungal isolates. Genus Stachybotrys, of which S. chartarum is a well known producer of many potent mycotoxins, was also detected from one of the schools. further systematic studies are necessary with an emphasis on species identification and mycotoxin production of isolated fungal genera, including Aspergillus, Penicillium, and Stachybotrys.

      • SCOPUSKCI등재

        용담의 RAW 264.7 세포주에서의 Nitric Oxide 생성 저해물질

        김나영,강태현,김도훈,김윤철,Kim, Na-Young,Kang, Tai-Hyun,Kim, Do-Hoon,Kim, Youn-Chul 한국생약학회 1999 생약학회지 Vol.30 No.2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a $H_2O$ extract of the roots of Gentiana scabra has furnished 5-(hydroxymethyl)-2-furfural (1) as an inhibitory compound for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stimulated with $interferon-{\gamma}$ plus lipopolysaccharide. Compound 1 showed the moderat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with $IC_{50}$ value of $803\;{\mu}M$.

      • KCI등재

        충남 일부 지역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생활에 관한 연구

        김나영,김성환,김은미,Kim Na-Young,Kim Sung-Hwan,Kim Eun-Mi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life by residence type of 409 university students (198 male and 211 female) in Chungnam They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heir residence: living in the family home a short distance from the university, living in the family home a long distance from the university, boarding house, self-boarding house, and university dormitory. In this study,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s and health, and dietary behaviors of each group were investigated through two-week questionnaire.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21.4, 175.3 cm, 68.9 kg, 22.3 in males, and 19.9, 162.3 cm, 53.3 kg, 20.2 in females, respectively. Dietary attitude of the students living in hom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tudent groups. The rate of breakfast intake and the frequency of eating 10 food items of subjects except processed food of self-boarding house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4 student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iversity students of self-boarding house might have low ability of meal management and more reasonable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for desirable food behaviors.

      • 기후.환경 변화 분석을 위한 GIS기반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김나영,김계현,박용길,Kim, Na-Young,Kim, Kye-Hyun,Park, Yong-Gil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6

        기후변화는 지구환경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권역에 영향을 미치며 각 권역은 서로 비선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다시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후와 지구환경 시스템 사이의 피드백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변화특성을 진단하여 예측할 수 있는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환경 시스템의 특정 권역의 변화에 대해서만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 기후 환경 상호간의 연계 연구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 환경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 자료 저장, 관리 및 배포를 지원하는 GIS기반의 통합DB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통합DB 관리시스템은 VB.NET 2005와 지도 기반의 공간 표현을 위한 ArcObjects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먼저 기후 환경 전문가의 요구사항을 고려한 연구 대상 및 자료를 선정하였고, 자료 관리 및 활용 방법을 정의하였다. 또한 연구 자료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하여 데이터를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데이터 모델링을 통하여 기후 환경 DB와 자료의 이해도를 높이고,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GIS D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DB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DB의 다양한 검색 및 접근을 통해 자료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자료의 배포가 가능한 프로토 타입의 통합DB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GIS기반의 기후 환경 통합DB 관리시스템은 효율적인 자료 관리는 물론 자료를 배포하는 환경을 제공 할 수 있으며, 미래의 기후변화를 종합적으로 진단 및 예측 하는데 기여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Climate change affects all components of the global environment system and, in turn, all components mutually interact and affect climate change through non-linear feedback processes. It is thus necessary to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limate and the environment, in order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and predict climate and environment change. However, current relevant systems are limited to particular areas and do not sufficiently support the mutual linking of research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prototype a GIS based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the climate and environment data storag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The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using VB.NET languages and ArcObjects component. First, considering the demands of climate environment experts, the study areas are selected and the methods of data management and utilization were defined. In addition, a location-based GIS DB was created in order to aid in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Finally, the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provides an efficient data management and distribution data and it creates synergistic effect on climate and environment study. It also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comprehensive diagnosis and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systems.

      • 한국인 위암 진단에 있어 혈청 펩시노겐과 혈청 가스트린 검사의 역할

        김나영,Kim, Na-You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3

        위암 발생률이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위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에서 위암 발생 여부를 알 수 있는 생물학적 인자(biological marker)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데 가장 많이 연구되는 인자로 혈청 펩시노겐(Pepsinogen)이 있다. 이에 소화기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군과 건강검진센터 수진자를 대상으로 한두 가지 연구에서 혈청 펩시노겐 검사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고 위축성 위염이나 위암 진단에 있어 혈청 펩시노겐 검사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혈청 펩시노겐 검사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H. pylori 감염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성별, 연령이 있었다. 이를 고려한 결과 한국인에서의 내시경적 위축성 위염 진단에 있어서 PG I/II ratio 기준은 H. pylori 감염 여부에 따라 달랐는데 H. pylori 감염이 없는 경우는 PG I/II ratio 6이, H. pylori 감염이 있는 경우는 국제적 기준인 PG I/II ratio 3이 예민도와 민감도에서 우수했다. 또한 한국인에서의 위암이나 위축성 위염 진단에 있어 PG I이나 PG II는 별로 유용하지 않은 반면 PG I/II ratio는 비교적 유용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H. pylori 감염이 있는 경우 PG I/II ratio $\leq3$ 이하가 위암 발생위험도 예측에 도움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혈청 펩시노겐을 위암이나 위축성 위염 진단 biomarker로 사용할 때는 기존의 국제적인 기준도 중요하지만 각 나라의 현실에 맞는 기준치 적용을 위해 validation study를 시행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Serum pepsinogen (sPG) is a marker of gastric mucosal atrophy, a condition that has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gastric neoplasia. A low sPGI level and a low PG I/II ratio have been associated with severe gastric atrophy, and are frequently found in gastric cancer. Because the prevalence of gastric cancer is high in Korea, it would be convenient if a good biomarker for gastric cancer were developed. Two studies recently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sPG along with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as a screening tool for gastric cancer. In these studies, sPG was measured using a Latex enhanced Turbidimetric Immunoassay. We found that H. pylori IgG status, age and gender were associated with serum pepsinogen levels. Thus, to increase the ability of the PG I/II ratio to detect atrophic gastritis, the cutoff value for the PG I/II ratio should be stratified according to the H. pylori IgG status. In addition, a PG I/II ratio ($\leq3.0$), which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gastric cancer, was found to be a reliable marker for the detection of gastric dysplasia or gastric cancer, especially of the intestinal type. The efficacy of the test in Korea was lower than the efficacy in Japan. However, the detecting power of a PG I/II ratio ($\leq3.0$)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H. pylori. The ratio together with H. pylori psotivitiy could provide a means of identifying persons at high risk of developing gastric cancer in Korea.

      • KCI등재

        Effects of Mobile Phone Use on Aviation Students' English Learning

        김나영,Kim, Na-Young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는 모바일폰 사용이 항공대학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히 외국어 학습에 정서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영어 학습에서의 자신감, 동기 및 불안감에 중점을 둔다. 본 실험을 위해 46명의 참가자들을 실험집단(n = 24)과 통제집단(n = 22)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16주 동안 실험집단에 속한 학생들에게 모바일폰을 이용한 총 10회의 영어 채팅에 참가하도록 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실험집단의 영어 학습을 위한 모바일폰 사용 경험을 파악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참가자들은 통제집단의 참가자들보다 영어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모바일폰을 사용한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에 비해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더 높았고,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동기가 더 강했으며, 영어 학습에 대한 불안감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항공대학 학생들의 성공적인 영어 학습을 위한 모바일폰 활용에 대해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서, 각 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CTL)가 맡고 있는 역할에 시사점을 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bile phone use on aviation students' English language learning. Considering that affective factors have impacts on English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focuses on confidence, motivation, and anxiety in English learning. For the current study, 46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one experimental group (n = 24) and one control group (n = 22) at random. During 1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joined in chat via mobile phone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o understand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mobile phone use and to compare the attitudes towards English language learning, a survey was perform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English learning than the control group did.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who engaged in chat via mobile phone became more confident and motivated to learn English but less anxious about English learning.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s into the engagement in chat via mobile phone for aviation students' English learning. This study also suggests ways how CTL at universities can support their students' English language learning using mobile phones.

      • KCI등재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위한 2차원 코드

        김나영,이재진,Kim, Na-Young,Lee, Jae-Jin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11C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로 부각되고 있는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장치를 위한 2차원 변조코드를 제안한다. 단위 면적당 기록 밀도의 증가로 인한 인접 심볼간 간섭과 3차원적인 홀그래픽 저장으로 인한 페이지간 섭 등에 강인한 성능을 갖도록 같은 페이지 내의 1과 0의 개수가 거의 동일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또 가능한 많은 1과 0의 천이가 일어나도록 설계하였다. 제안된 코드의 코드율은 5/9로서 기존의 4/9 코드보다 25%의 코드율 개선을 하였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two-dimensional modulation code for holographic data storage systems(HDSS), which is a candidate for the next generation data storage system. The two-dimensional(2D) intersymbol interference(ISI) induces higher bit error rate(BER). The balanced number of zeros(dark) and ones(light) in each page reduces inter-page interference(IPI). The code rate is 519. Although the proposed code has higher code rate than other 2D code with rate 4/9, the BER performances of two codes are similar.

      • KCI등재

        A Study on Chatbots for Developing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김나영,Kim, Na-Young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8

        본 연구는 챗봇의 활용이 국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및 읽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실험 참가자의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이 챗봇과의 채팅을 통해 실제로 상승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46명의 참가자를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나누어 16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시작 전과 실험 종료 후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챗봇 활용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사전 사후 평가 결과 실험그룹과 통제그룹 모두에서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 듣기능력과 관련하여 실험그룹이 통제그룹보다 사후 평가에서 더 많은 상승폭을 보임으로써 듣기 능력 향상에 대한 챗봇 활용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영어 학습을 위한 챗봇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atbots on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46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first-year students who enrolled in an English class at a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experimental group (n=24) and one control group (n=22). During 1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chats with a chatbot, named Elbot,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re were pre- and post-tests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chatbot usag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On the post-listening test,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s. Their listening proficiency level improved from intermediate to advanced level after engaging in chat with the chatbot.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at the end.

      • GAME Review -웨스트우드의 ‘어스 앤 비욘드(Earth and Beyond)'

        김나영,Kim, Na-Yeong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3 디지털콘텐츠 Vol.11 No.-

        어스 앤 비욘드는 광활한 우주를 한 척의 우주선으로 날아다니는 게임으로, 웨스트우드(Westwood)사에서 만든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SF MMORPG이다. 어스 앤 비욘드에서 플레이어는 목성, 토성 등 아름다운 행성들과 인공위성들 사이를 여행하며, 때로는 화물칸에 물건을 가득 싣고 무역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우주해적과 외계 생명체를 빔과 미사일로 공격하며 신나는 우주 전투도 즐길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