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계특성에 따른 개인연금 가입여부와 가입유형 비교

        구지연,차경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개인연금을 연금저축(세제적격)과 연금보험(세제비적격) 및 세부상품으로 구분하여, 가입여부와 납입액, 납입기간 등의 특성을 살펴보고, 가계의 사회․경제적 특성, 은퇴기대와 노후준비 관련 특성에 따라 개인 연금 가입여부와 가입유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전국의 만 20세-59세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 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503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연금에 가입한 가계가 55%였고, 연금저축을 보유한 가계가 연금보험을 보유한 가계의 2배 이상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간평균납입액은 연금저축 보다 연금보험이 높았으며, 특히 변액․자산연계형 연금보험의 평균 납입액이 높았다. 일반연금보험은 평균 가입기간이 10.6년으로 다른 연금상품 보다 길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연금 가입가계는 미가입가계 보다 가구주의 평균연령이 높고, 예상은퇴시점까지 남은 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가 있고, 자녀 수가 많으며, 가구주의 교육수준이 높고, 자영업자, 전문․관리직, 사무직이며, 정규직인 경우, 배우자가 정규직인 경우에 개인연금 가입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개인연금 가입가계는 미가입가계 보다 월평균소득이 높고, 자가보유 비율이 높으며, 현재 경제수준과 은 퇴 후 예상경제수준에 대한 주관적 인지수준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예상생활비를 현재생활비 대 비 비중으로 질문한 결과는 개인연금 가입가계가 미가입가계 보다 낮았지만, 해당 비중을 현재소득에 준하여 금 액으로 계산하면, 개인연금 가입가계가 더 높았다. 또한 개인연금 가입가계가 미가입 가계 보다 은퇴태도가 긍정 적이고, 현재 노후준비방법의 다양성과 노후준비금액에 대해 상대적으로 충분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에 중복가입한 가계는 두 유형의 연금상품에 납입액을 분산하는 것이 아니라, 유의 하게 많은 금액을 납입하고 있었다. 가입기간 역시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에 중복가입한 가계가 유의하게 긴 것으 로 나타났다. 개인연금가입을 일찍 시작한 가계가 다른 유형의 연금상품에 추가 가입하고, 지속적으로 납입액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가계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가입유형을 비교한 결과는 자녀수, 교육수준, 고용형태를 제외하고 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금저축 또는 연금보험에만 가입한 가계 보다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에 중복가입 한 가계가 현재 노후준비방법의 다양성과 노후준비금액에 대해 충분하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household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planning adequacy according to holdings and types of annuities(private pension). A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annuity types, such as annuity saving which has tax credits and annuity insurance which does not have it. The results from performing comparison analyses on the respondents aged between 20 and 59, using online survey, are as follows. About 55.3% of households had individual annuities and those who owned annuity savings were more than those who owned annuity insurances. However, the average annual payment for the annuity savings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annuity insurances. The average holding period of annuity insurances was longer than that of annuity savings. The householders who had individual annuities were older, married, highly educated, had more number of children, were self-employed, or office workers who were full-time employed. Also, the households which owned individual annuities had higher levels of monthly income and owned home equity. They highly evaluated their current economic status and expected after-retirement economic statu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have the annuities. The householders who owned the annuities had more positive attitude for retirement and had highly adequacy of the retirement planning. The households which had both annuity savings and annuity insurances had higher level of annual amount of payment and longer periods of annuity holdings. They evaluated their adequacy of retirement planning higher than those who had only annuity savings and those who had only annuity insurances.

      • KCI등재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구지연(Ku, Ji-Yeon),김기호(Kim, Ki-H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5

        본 연구는 사람들이 외부공간에서 느끼는 범죄두려움을 고려한 환경설계가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범죄두려움 정도, 특히 재개발로 인해 변화된 공간 형태에서 두려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보다 안전한 도시 외부공간을 만들기 위한 설계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명동 가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가로특성별 범죄두려움 정도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범죄두려움 정도는 가로의 물리적 형태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났으며, 대형 개발로 인해 변화된 외부공간의 형태는 범죄두려움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로 폭이 좁고 건물 층수가 높아 D/H비가 클수록 두려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순위형 로짓모형 분석결과, 가로의 운영 및 유지관리 요인이 두려움이 높고 낮은 가로에서, 가로의 입ㆍ평면적 형태 요인이 두려움이 높은 가로에서, 주변의 용도와 가로의 가시성 요인이 두려움이 낮은 가로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범죄두려움이 적은 안전한 가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가시성과 개방감 확보를 위한 형태적 요소 뿐 아니라, 가로의 운영관리 및 저층부 용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재개발로 인한 물리적 공간형태가 두려움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적절한 가로의 운영관리 및 용도 배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요소가 향후 정비사업의 개발유도지침에 강조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design for people who might have a fear of crime in outdoor spaces. The study identifies how people experience a fear of crim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spaces, especially areas that have been modified such as redevelopment areas, to determine ways to construct the city that will allow people to feel safer when they are outside. The data source is obtained from a survey of people on the streets of Myung-Dong that determines what factors can cause a fear of crime. The first finding shows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s whether people feel a fear of crime. In addition, areas that have been modified by development can also create a fear of crime. Other factors are a higher D/H Ratio, narrow width of streets and high level buildings. The second finding,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e Ordered Logit Model, shows that flat structures increase the fear of crime.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decrease the fear of crime are the high use of the surrounding area and visibility and the shape and the use of the street as well as the maintenance can either increase or decrease the fear of crime. Urban renewal projects could increase the fear of crime if the maintenance and use of the streets are not well arranged.

      • KCI등재

        금융소비자가 인식하는 자기책임의 차원과 영향요인 분석

        구지연(Ji Yeon Koo),차경욱(Kyung-Wook Cha) 한국FP학회 202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금융소비자가 금융투자과정에서 인식하는 자기책임의 차원과 척도를 구성함으로써, 자기책임 인식을 넓은 의미로 재개념화하고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금융소비자의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재무특성, 재무관리역량, 심리적 성향, 금융투자에서의 자율성)에 따라 각 차원별 자기책임 인식수준을 비교하고, 각 차원별 자기책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금융투자상품 구매경험이 있는 만 20∼69세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2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투자에서 금융소비자가 인식하는 자기책임의 차원과 척도를 도출한 결과, 도덕 책임, 주권자 역할책임, 사회적 역할책임, 법적 책임의 4개 하위차원, 총 1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금융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각 차원별 책임인식 수준의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거주지역, 재무관리태도, 재무관리기능, 내적통제성향, 향상초점성향은 모든 차원의 자기책임 인식수준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투자성향과 예방초점성향은 도덕 책임, 금융투자에서의 자율성은 도덕 책임, 주권자 역할책임, 법적 책임 인식수준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각 차원별 자기책임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내적통제, 재무관리태도, 거주지역은 4개 차원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연령은 사회적 역할책임에서만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전문·관리직인 경우 주권자 역할책임, 사회적 역할책임, 법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다른 직업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투자성향의 경우, 안전추구형 집단은 도덕책임, 주권자 역할책임에 대한 인식수준이 유의하게 높았고, 적극투자형 집단은 사회적 역할책임 인식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재무관리기능 역량은 사회적 역할책임에 대한 인식수준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금융투자에서의 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도덕적 책임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reconceptualized and approached the perception of self-responsibility by constructing a dimension and scale of self-responsibility recognized by financial consumers in their financial investment process. The level of perception of self-responsibility by dimension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consumer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financial management ability, psychological orientation, and autonomy of financial invest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selfresponsibility by dimension were analyz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69 years with experience in purchasing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and the data from a total of 420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and measures of self-responsibility recognized by financial consumers consisted of four sub-dimensions, 19 questions. Four sub-dimensions included moral responsibility, sovereign role responsibility, social role responsibi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Secon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level of responsibility perception for each dimen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ncial consumers revealed that the residential area,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 financial management skill,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promotion foc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level of perception of moral responsi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investment propensity and prevention focus. The level of perception of moral responsibility, sovereign role responsibi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autonomy in financial investment. Third,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financial management attitude, and residential area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all four dimensions of self-responsibility. Ag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ly on social role responsibility, and those who had professional and managerial jobs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s of sovereign role responsibility, social role responsibility, and legal responsibility than other occupational groups. In the case of investment propensity, the safety-seek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moral responsibility and sovereign role responsibility. The active investment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role responsibility. Financial management skill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social role responsibilit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autonomy in financial investmen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moral responsibility.

      • KCI등재후보

        상업가로의 경관 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구지연(Ku, Ji Yeon),김신원(Kim, Shin Wo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대규모 상업시설로 인한 위압적인 도심 내 상업가로의 시각적 질을 향상시키고, 향후 상업가로 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신사동 가로수길의 경관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신사동 가로수길은 현재 서울 도심에서 가장 활성화된 상업가로로서 오늘날의 문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상권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따라서 신사동 가로수길에 대한 경관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는 것은 상업가로경관이 도시의 활동 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앞으로 어떠한 구성요소와 심리적 요인이 상업가로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것인지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경관이미지 평가를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사동 가로수길의 가로경관을 함축하는 변수로 개성성, 정연성, 개방성 등 3개의 인자가 추출되었고, 가로수길 경관 이미지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각량 추출 값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축물’의 시각량이 많이 추출된 경관 이미지에서 대체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로수’의 시각량이 많은 경관 이미지는 경관의 편안함과 조화로움의 심리적 인자를 이끌어 내며 건축물 다음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도로변 주정차’들의 시각량은 혼란스럽고 답답하며 개성이 없는 경관으로 평가되어 가로수길 내의 부족한 주차시설이 가로수길 내에서 해결해야 하는 주요 과제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경관 선호도와 이미지 변수와의 관계성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앞의 3가지 인자요인 모두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어 개성성, 정연성, 개방성이 가로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for enhancing visual quality of our street scape in commercial district which looks dreary scene because of massive commercial facilities in downtown and also proposing necessary draft for commercial streetscape plan in the future. This study is performed by image assessment and preference research about in Sinsa-dong Garosugil. The Sinsa-dong Garosugil is new type of commercial center which is leading contemporary culture as one of most activated commercial streets. Image assessment and preference research was performed to find essential factors and elements that shall be considered and reflected to the commercial streetscape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factors analysis according to landscape image assessment after select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SD Scale), the variation that contains Sinsa-dong Garosugil are narrowed down as 3 factors, such as personality, order, openness. It turns out that 3 factors are affecting on preference of streetscape. The landscape image with lots of vision amount of Sinsa-dong Garosugil brings comfortable and well-balanced feelings so that takes high assessments. However, the picture of Garosugil without leaves takes less assessment than expectation. The vision amount of parking cars near the street is assessed as stuffy and boring landscape even though there are enough vision amounts of construction and Garosugil because the parking lot is insufficient. It turns out that illegal parking near the street and shortage of parking lot are the issues to be solved.

      • KCI등재

        MPP-E 모형을 활용한 20대 대통령 선거의 교육공약 분석

        백유하,구지연,이채윤,정제영 한국교육정치학회 2022 敎育政治學硏究 Vol.29 No.3

        In order for a presidential election to become a field of rational judgment for national development, an improvement of a policy-centered election culture is required. By developing the MPP-E (Manifesto & Positioning-Education)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 policies listed in the election pledges of the 20th presidential candidates. As a result, in the case of pledge breadth, candidate Lee was shown to have proposed a more comprehensive educational pledges compared to candidate Yoon. In terms of the depth of the pledges, both candidates suggested pledges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the people, all of which demonstrated low feasibility. For pledge positioning, both of the candidates focused their pledges on distribution policies, but candidate Yoon proposed more pledges on redistribution policies compared to candidate Le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creasing the interest of political parties, candidates, and voters in the next election, and providing guidelin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educational pledges in the future. 대통령 선거가 국가 발전을 위한 합리적 판단과 평가의 장이 되기 위해서는 정책 중심의 선거문화가 발전될 필요가 있다. 정책공약에 대한 논의는 주로 정책학이나 정치학 분야에서 포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공약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PP-E(Manifesto & Positioning –Education) 모형을 새롭게 설정하여, 20대 대선 후보자들의 교육정책 공약을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공약의 지평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후보에 비해 교육정책 공약을 포괄적으로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약의 심도의 경우, 두 후보 모두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는 공약을 제시하였으나, 실현 가능성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공약 포지셔닝의 경우, 두 후보 모두 분배 정책에 공약이 집중되었으나, 재분배 정책의 경우 윤석열 후보가 이재명 후보보다 더 많은 공약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차기 선거에서 정당 및 후보자, 유권자들의 교육공약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제시된 평가 틀은 향후 교육공약 수립과정에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