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성취기준의 개념 혼란과 도덕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설정 원리와 방법
김국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3
The term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introduced in Korea by the process of policy borrowing from USA. Korea re-borrowed the concept of standards from USA that USA had borrowed from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Korea whose educational system is centralized and standardized. The process of borrowing in Korea was not discretionary. A definition of that terms which was suggested by the concept borrower or concept former was not analytical, logical. And It was introduced without it's reason for borrowing or introduction, guiding philosophy or ideology, vision or goals. And so, since 1996 the concept of Achievement standards has been used in a confusing manner among various users such as teacher, researchers, concept borrower. To solve these problems good evaluation standards which describe the degree of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of each achievement levels and method of writing achievement level descriptors should be developed. because good descriptors are instrumental to the validity and defensibility of the standard setting process. 성취기준은 제7차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 담론에 새롭게 등장한 용어이다. 성취기준이라는 용어는 그 형성 배경과 이유, 지향하는 교육철학과 이념, 목적과 비전, 분석적이고 명료한 개념 정의가 결여된 채 제시되었고, 교과별 성취기준 연구․개발과정에서 의미의 상이성이 증가하였다. 그 결과 교사, 학자, 연구자들을 포함한 용어의 사용자들에게서 성취수준의 개념 혼란 은 중첩적 양상을 띠고 있다. 또한 평가기준은 기준설정 원리와 방법, 수준별 기준 진술을 위한 기 술어 및 그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지 않아 학교교육에서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 러한 현상은 도덕과 교육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성취기준의 개념 혼란을 진 단하고, 윤리적 탐구와 성찰, 논술을 포함하는 다양한 평가방법의 적용 등 도덕과의 특성에 적합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설정하는 원리와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평가기준의 설정 방법으로 교육목 표분류에 따른 평가기준 설정, 학습자 발달 수준에 따른 평가기준 설정, 기술어의 활용을 통한 수 준별 평가기준 설정을 제안한다.
실물크기 구현과 조감도 구현 방식에 의한 증강현실 적용효과 분석
김국현,류지헌 대한사고개발학회 2023 사고개발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learner's perception level according to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method. It is to find out the application effect of augmented reality implemented in life-size, although it cannot show the overall appearance at once, and augmented reality, which implements the overall appearance in the form of a bird's-eye view, although it is not life-siz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 university students, and they were assigned completely wirelessly to each of the three treatment condition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life-size realization method, bird's eye view realization method, and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attention, virtual presence, and situational interest.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group mean analysis. As a result, the learners perceived a higher sense of spatial presence and immersion in the augmented reality data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learners perceived higher attention, spatial presence, immersion, and situational interest in the bird's eye view method than in the life-size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3D augmented reality learning materials can affect learners' virtual reality and immersion compared to picture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ird's eye view data can increase attention and situational interest more than the life-size method in augmented reality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composition of augmented reality-based learning materials into a more specific form. 이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구현방식에 따른 학습자의 지각수준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모습을 한번에 보여줄 수 없지만 실물크기로 구현된 증강현실과 전체적인 모습을 조감도 형식으로 구현해주는 증강현실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이들은 세 가지 처치조건에 12명씩 완전무선배치되었다. 이 연구의 독립변수는 실물크기의 구현조건, 조감도 구현조건, 통제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실물크기 구현조건은 전통가옥의 모습을 실제 크기로 보이도록 한 것이다. 조감도 조건은 실물크기는 아니지만 조감도처럼 위에서 내려다보는 구도로 구현되는 조건이었다. 통제집단은 2D 이미지를 관찰하도록 한 조건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내용은 한국의 전통가옥을 표현한 것이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주의집중, 가상실재감, 그리고 상황흥미이다. 수집된 설문은 집단별 평균분석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학습자는 통제집단 보다 증강현실 자료에서 더 높은 공간실재감과 몰입감을 지각했다. 또한 학습자는 실물크기방식 보다 조감도방식에서 더 높은 주의집중, 공간실재감, 몰입감, 그리고 상황흥미를 지각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3D 증강현실 학습자료가 그림자료에 비해 학습자의 가상실재감과 몰입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증강현실 학습자료에서 실물크기방식 보다는 조감도방식 자료가 주의집중과 상황흥미를 더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학습자료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인 형태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NATO식 핵 공유를 통한 미국의 확장억제 강화 필요성
김국현 세종연구소 2022 국가전략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ways to strengthen expanded deterrence through nuclear sharing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y revealing the implications of NATO's nuclear sharing system in response to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e examples of NATO countries dealing with the Soviet nuclear threat in the 1950s teach us a lesson today facing North Korea's nuclear threat. What distinguishes this paper from existing studies is that it presents concrete measures to actually enhance the U.S. expansionary deterrence to cope with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in an environment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hat can change the security framework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udy confirmed that strengthening the expanded deterrence through the sharing of nuclear weapons has the effect of providing practical countermeasures against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trengthening the Korea-U.S. alliance, which could weaken by shifting wartime operational control, and, third, serving as leverage for North Korea. The study applied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utilize previous research data, government publications, and media such as North Korea's nuclear armament, NATO's nuclear sharing system, wartime operational rights conversion, and papers and books related to the Korea-U.S. alliance. 본 논문은 점증하는 북 핵 위협 상황에서 NATO의 핵 공유체제가 북 핵 위기 대응에 주는 시사점을 밝혀 한미간의 핵 공유를 통해 확장억제력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50년대 소련의 핵 위협에 대처했던 NATO 국가들의 사례는 오늘날 북한의 핵 위협을 직면하고 있는 우리에게 교훈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이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 것은 한반도 안보의 틀을 바꿀 수 있는 전작권 전환의 환경하에서 북핵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미국의 확장억제력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구를 통해 한미 핵 공유를 통한 확장억제 강화는 첫째 북핵 위협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력을 제공하고, 둘째 전작권 전환으로 약화될 수 있는 한미동맹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 한미 핵 공유는 핵 균형으로 이어져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끄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북한의 핵무장, NATO의 핵 공유체제, 전작권 전환, 한미동맹과 관련된 논문과 서적 등 선행연구 자료와 정부 간행물, 언론매체 등을 활용하였다.
디지털휴먼 대화유형이 정서 및 주의집중에 대한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김국현,류지헌,이선옥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3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versational styles with digital humans on users' persona perception, emotions, emotional engagement, and attention to enhance experiences in virtual environments, seeking to use the educational advantages of digital human. We categorized conversational style with digital human into social-oriented and task-oriented dialogues. A total of 45 participants (14 males and 31 females) were engaged in both social-oriented and task-oriented dialogues successively and responded to a persona perception survey. Facial expressions and eye information(fixation duration time and blink rate per a minute) collected during the dialogues were used to analyze emotional responses and attention. Findings revealed higher persona perception, more positive emotions, and increased attention concentration during social-oriented dialogues. Th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utilizing social-oriented dialogues with digital humans to foster a more enriched user experience in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nd propose a strategic approach in designing interactive modules involving digital humans.
김국현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basic theories, learning topics, and scholars that select and organize essential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to be included in book that could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for secondary school moral teacher curriculum and teacher selection test. This learning materials for moral pedagogy can suggest standards for the competence of moral teachers measured in the secondary school pre-service moral teacher curriculum and secondary school teacher selection test evaluation. The essential knowledge to be contained in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related to the standards that a person who major in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must achieves, that is, moral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nd dispositions. This materials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useful for developing the morality of teachers and the ability of teachers to teach morally. Only then can it serve as a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 for pre-service moral teachers. 본 논문의 목적은 중등학교 도덕․윤리 교사 교육과정과 교사임용선정시험에서 학습자료로 쓸 수 있는 도서에 담길 도덕과 교육학의 필수 지식을 선정․조직하는 기초 이론, 학습 주제, 학자들을 분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는 중등 도덕․윤리 교과 예비교사 교육과정과 중등교사임용시험 평가에서 측정하는 도덕․윤리 교사의 역량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서에 담겨야 하는 필수 지식은 도덕․윤리 교과를 전공한 사람이 성취해야 하는 기준, 즉 도덕성 발달에 대한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 성향과 관련되어야 한다. 도덕과 교육학 학습자료는 교사의 도덕성과 도덕적으로 가르치는 교사의 능력 두 가지 측면을 발달시키는 데 유용한 내용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래야만 도덕․윤리 교과의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공통으로 다루어야 하는 교과교육학 지식으로서 도덕․윤리 교과 예비교사의 학습 성취기준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거의 사문화되고 있는 중등교사임용시험 도덕․윤리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를 보완할 수 있다.
김국현,권혁민,조대승,김재호,전재진 대한조선학회 2012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5
A vibration source identification method of complex structures has been presented with an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technique. ICA technique based on statistical independency of the signals is known as suitable to the problem that correlations between sources and measured signals are unknown and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the field of medical care, communications. In this study, a vibration source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ICA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for structures. To validate the method,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carried out for a plate and a cylinder structure.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method could be applied efficiently to source identification of complex structures. Nevertheless, additional studies would be required to complement problems of occasional inaccuracy.
김국현,이동섭,조대승,최태묵 대한조선학회 2012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5
Foundation for shipboard equipments should have enough rigidity in order that the resilient mount demonstrates its inherent performance. Foundation rigidity is assessed as mobility defined by velocity-force ratio. In general, a numerical method like finite element analysis is adopted in design stage, in which a block scale model not whole ship scale is used as a numerical model and fluid loading conditions are not considered as well. In this study, numerical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on an effect to the foundation mobility of shipboard equipment by numerical model scale and fluid loading condition. For this purpose, a numerical model of whole ship scale has been generated for a 60m class ship and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The result has shown that a whole ship model considering fluid loading condition should be used for accurate mobility assessment in low frequency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