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성 불응성 외 상과염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

        구정회,황태혁,이정수,조형래,김정우,Ku, Jung Hoei,Hwang, Tae Hyok,Lee, Jung Su,Cho, Hyung Lae,Kim, Jung Woo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목적: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불응성 주관절 외 상과염에 대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주관절 외 상과염으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을 시행 받은 환자 24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술 후 환자 자신의 평가, visual analog scale (VAS) 점수, Quick-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술 전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21예(88%)에서 술 후 결과에 만족 하였고 평균 VAS 점수와 Quick-DASH 점수는 최종 추시 상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나이, 성별, 우세수 여부, 증상 이환 기간, 관절낭 파열이나 석회 침착유무는 임상적 결과와 상당한 인과 관계가 없었다. 술 전 자기 공명 영상 T2강조 영상 상 단 요 수근 신건 기시부에 고강도 신호부가 없는 4예 중 3예에서 보다 높은 Quick-DASH 점수를 보였다. 결론: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불응성 주관절 외 상과염에 대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은 유용한 치료법 중 하나이며 술 전 자기공명영상 T2강조 영상에서 고강도 신호부가 없는 경우는 술 후 불량한 결과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수술 적응 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 of arthroscopic release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ECRB) tendon in chronic recalcitrant lateral epicondylitis and tried to determine any prognost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24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treated by arthroscopic ECRB release was performed. Outcome measures included a patient self rating and visual analog scale (VAS). Functional evaluation was made with Quick-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system to identify preoperative factors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outcomes. Results: Twenty one (88%) elbows received benefit from the procedure. A mean preoperative VAS pain score and the mean Quick-DAS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final follow up. Age, sex, dominant arm and duration of symptom, presence of capsular tear or calcification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clinical outcome. Three of four patients without T2-weighted high signal focus of the ECRB origin on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higher Quick-DASH score. Conclusion: Arthroscopic release of the ECRB is an effective option for chronic recalcitrant lateral epicondylitis. Lack of high signal focus on preoperative MRI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poor surgical outcome and a considerable factor for the proper surgical indication.

      • 경골 근위부에 발생한 Brodie 농양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소파술 - 증례 보고 -

        구정회,조형래,박만준,최승현,Ku, Jung-Hoei,Cho, Hyung-Lae,Park, Man-Jun,Choi, Seung-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2

        Brodie 농양은 빈도가 흔하지 않고, 독성이 적은 원인균에 의해 발생하는 아급성 혹은 만성 골수염의 국소형으로 소아나 청소년의 하지 장골 특히 경골의 골간단과 골단 부위에 호발하나 성인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시 병변의 위치가 근위 경골 골간단 후방에 위치한 경우 개방적 소파술로는 병소 접근이 어렵고 신경 혈관 손상 및 주위 조직 오염의 위험성이 있다. 본원 정형외과에서 48세 남자에서 발생한 경골 근위부 골간단 후방부의 Brodie 농양을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사용하는 표적 기구(Rigid fix system, Mitek, Johnson & Johnson, Norwood, MA)를 이용하여 병소에 손쉽고 정확하게 삽입구를 만들어 내시경 시야 하에서 염증 및 육아 조직을 제거하여 치료한 경험이 있어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Brodie abscess is a localized form of subacute or chronic osteomyelitis which is common in children but may also occur in adulthood. When Brodie abscess is located in the posterior metaphysis of the proximal tibia, open biopsy and curettage have a difficulty in approach to the lesion and can cause neurovascular injury or soft tissue contamination. We report a case wherein a novel surgical technique was used to treat a Brodie abscess in the posterior proximal tibial metaphysis in 48 year-old-male with endoscopic-assisted curettage by commerci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targeting device(Rigid Fix; Mitek, Johnson & Johnson, Norwood, MA). Two portals were created toward the abscess site and, through each portal interchangeably, the granulation tissue and sclerotic bone could be excised. We believe that endoscopic-assisted curettage presents safe technique, decreased morbidity, accurate assessment of the extent of the abscess and possible improvement in long-term outcomes.

      • 회전근 개 판분리 파열에 따른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

        구정회,조형래,박만준,김정철,Ku, Jung Hoei,Cho, Hyung Lae,Park, Man Jun,Kim, Jeong Cheo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전층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시 관찰되는 회전근 개 판분리 현상의 유무에 따른 술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관절경하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 48예(남자 31, 여자 17, 평균나이 57.6세, 범위 45~68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파열 크기는 2.8 cm(범위: 1.2~3.6 cm) 이었고 판분리 유무에 따라 봉합법을 달리하여 판분리가 있는 경우 점액낭 층과 관절면 층을 각각 구분하여 봉합하였다.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6개월(범위: 18~33)이었으며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점수와 등속성 근력 평가를 이용하여 기능적 결과를 판정하였고 술 후 평균 8개월(범위: 6~13)에 촬영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을 판정하였다. 관절경하에서 관찰된 판분리 현상의 양상과 나이, 성별, 이환 기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 재 파열 빈도와의 상관 관계를 판정하였다. 결과: 술 후 44예(91.7%)에서 견관절의 기능적 호전을 보였다. 관절경 소견 상 48예 중 15예에서 회전근 개의 판분리(31%)가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내측과 후내방으로 퇴축되어 있었고 분리된 두 층 중 관절면 층이 더 두꺼운 경우가 8예(53%), 점액낭층보다 근위부 및 후내방으로 전위된 경우가 9예(60%)이었다. 최종 추시 상의 기능적 점수는 판분리 현상의 유무와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 이환 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는 판분리 현상과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고령일수록 판분리 현상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p=0.041). 술 후 촬영한 29예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상 완전치유가 14예(48%), 부분치유가 9예(31%)이였으며 6예(21%)에서 봉합부의 완전 재파열이 발생하였으나 이 중 50%는 임상적 결과가 양호로 판정되었다. 추시 자기 공명 영상 상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에서는 79%(15/19),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는 80%(8/10)에서 봉합부가 치유된 것으로 판정되어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의 복층 이열봉합술은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의 단층 이열봉합술과 유사한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이 관찰되었다(p=0.165). 결론: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 시 판분리 현상은 본 연구에서 약 31%이였으며 이는 고령에서 더 흔히 관찰되었다. 성별, 이환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기능적 결과 및 술 후 만족도에 있어 판분리 파열의 영향은 없었으며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도 판분리 현상이 없는 회전근 개 파열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 after arthroscopic repair in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with and without del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October 2008, we included 48 consecutive shoulders (31 males, 17 females; mean age 57.6 years; 45~68) who had arthroscopic double row repair for fullthickness tears of the rotator cuff. Mean rotator cuff tear size was 2.8 cm (range: 1.2~3.6) and the techniques of tendon-to-bone fix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separate row fixations of bursal and articular layer were used in delaminated tear. The mean follow-up was 26 months (range: 18~33) and functional and structural results were evaluated by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ale, isokinetic strength testing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btained mean 8 months (range:6~13) postoperatively. The patterns of delamination, age, sex, symptom duration, size of tear, satisfaction rate, retear rate ware compared and significance was set at p values < 0.05. Results: Postoperative functional shoulder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in 44 shoulders (91.7%). Delamination was observed in 15 shoulders (31%) and it extended proximally and posteriorly in the majority of shoulders, and the articular layer was thicker (8/15, 53%) and more retracted (9/15, 60%) compared with the superficial bursal layer. Final follow up functional shoulder score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non-delaminated and delaminated tears and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had no correlations with sex, symptom duration, tear size and satisfaction rate, however, older age had more delaminated tears (p=0.041). Follow up MRI in 29 shoulders revealed that fourteen (48%) shoulders had complete healing; nine (31%), partial healing; six (21%), complete retear but the half of the retear group showed favorable clinical results. 79% (15/19) in non-delaminated tear and 80% (8/10) in delaminated tear were judged as healed tendon on MRI and double-layer double row repairs in delaminated tears resulted in nearly same rate of structural integrity of single-layer double row repairs (p=0.165). Conclusion: The incidence of delamination in our series was 31% and older age had more delaminated tears. Sex, symptom duration, preoperative size of the tear, functional results and satisfaction rate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Nearly the same postoperative structural integrity was noted in both delaminated and non-delaminated tears.

      •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의 결과

        구정회,이춘기,조형래,최승현,Ku, Jung-Hoei,Lee, Choon-Key,Cho, Hyung-Lae,Choi, Seung-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목적: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은 고정력을 향상시키며 건-골 사이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임상적 및 해부학적 결과가 우수하다는 보고들이 많고 술기 또한 여러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구를 동시에 사용한 관절경적 이열 회전근개 봉합술의 기능적 결과 및 구조적 연속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회전근개 전층 파열로 진단받고 평균 6.5개월(5~11) 보존적 치료 후 관절경적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 21예(남자 15예, 여자 6예; 평균 연령 55.6세; 48~67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하에서 측정된 파열부의 크기는 소파열이 2예, 중파열이 13예, 그리고 대파열이 6예로 평균 2.5cm(1.8~3.2)이었다. 수술술기상 내측은 매듭 결속 봉합나사를 이용한 수평 매트리스 봉합술, 외측 열은 생체흡수성 비매듭 봉합구를 이용한 단순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기능적 평가는 견관절 운동 범위, ASES, UCLA scale, 그리고 등속성 근력 평가로 하였으며, 술후봉합부의 연속성은 자기공명영상으로 판정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13~24)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 결과 평균 임상적 결과 지수와 근력에 있어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p<0.01) 19예(90.1%)에서 치료결과에 만족하였다. 술후 평균 7개월째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21예중 17예(81%)에서 건 치유를 확인하였다. 술전 파열의크기에 따른 술후 견관절 기능의 차이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p<0.01) 6예 대파열의 경우 3예(50%)에서 봉합부의 재파열이 확인되었다. 결론: 회전근개 파열환자에서 매듭 결속과 비매듭 봉합구를 동시에 이용한 관절경하 이열 고정 봉합술로 양호한 임상적 및 해부학적 결과를 얻었다. 이는 개방적 봉합술이나 알려진 다른 형태의 관절경적 이열 봉합술과 유사한 결과이나 생역학적 연구와 장기적 추시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results of arthroscopic double-row repair using combined knot-tying and knotless suture anchors in rotator cuff tea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June 2007, twenty-one patients (15 males, 6 females; mean age 55.6 years; range 48 to 67) were included who underwent arthroscopic double-row repair for full-thickness tears of the rotator cuff following conservative treatment for a mean of 6.5 months (range 3 to 11). The tear size was carefully inspected arthroscopically and we found 2 small, 13 medium and 6 large-sized rotator cuff tears, with a mean tear size of 2.5cm(range 1.8 to 3.2). The repair constructs were consisted of horizontal mattress sutures using conventional knot-tying suture anchors medially and simple suture at the same level of medial row stitch with Bioknotless RC anchors (DePuy Mitek, Norwood, MA) as lateral row. Clinical and functional evaluations were made according to the range of motion, the ASES, UCLA scale and the isokinetic strength testing. Postoperative cuff integrity was determined through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mean follow-up was 15 months (range 13 to 24). Results: The average clinical outcome scores and strength were all improved significantly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p < 0.01). Nineteen patients (90%)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he treatment. In 17 of 21 patients (81%) were judged to reveal healed tend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t a mean of 7 months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function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tear size (p<0.01), but large-sized tear shows less favorable structural results in 3 out of 6 cases(50%). Conclusion: Our results document the usefulness and variability of arthroscopic double-row rotator cuff repairs comparable to the results of the other types of double-row repairs.

      • 견관절 오구돌기 골절의 고정 후 발생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 증례 보고 -

        구정회,조형래,조수현,황태혁,박만준,최재혁,Ku, Jung-Hoei,Cho, Hyung-Lae,Cho, Su-Hyun,Hwang, Tae-Hyok,Park, Man-Jun,Choi, Jae-Hyuk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3

        상완골두의 전상방부와 전방 오구견봉 궁 사이의 비정상적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전방부 동통을 유발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이는 견관절부의 수술적 치료로 인해 오구돌기와 소결절 사이의 해부학적 관계가 변형되어 견갑하근과 점액낭을 포함한 주변 연부조직의 충돌을 유발 하게 된다. 저자들은 오구돌기 골절을 유관나사를 이용해 고정한 환자에서 오구돌기하 공간의 협소화로 인해 견갑하건 파열을 동반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을 경험하였다. 관절경하에서 유관나사 제거 및 견갑하건 봉합 시행 후 술전 환자의 증상은 소실되었다.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수술 후 지속적 견관절 동통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Subcoracoid impingement resulting from abnormal contact between the anterosuperior humerus and the anterior coracoacromial arch represents an uncommon source of anterior shoulder pain. Certain operative procedures can also al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acoid and the lesser tuberosity, leading to impingement of the interventing soft tissue, including the subscapularis and the bursa. We describe an unique case of subcoracoid impingement with the tear of subscapularis tendon after the internal fixation of the fractured coracoid process with cannulated screw due to crowding of the coracohumeral space. Arthroscopic removal of the screw and repair of the subscapularis in our patient resulted in successful resolution of his symptoms. Although subcoracoid impingement is a rare cause of shoulder pain, failure to diagnose and treat this condition may represent a significant cause of failed shoulder surgery.

      • KCI등재

        골내 침범을 동반한 견관절 석회화 건염

        구정회(Jung-Hoei Ku),조형래(Hyung-Lae Cho),박만준(Man-Jun Park),김정철(Jeong-Cheol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2

        목적: 골내 침범이 동반된 비전형적인 견관절 석회화 건염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만성적인 좌측 견관절 동통의 급성 악화와 운동 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59세 여자 환자로 단순 방사선 상 견봉하 석회 침착과 자기 공명 영상 상 감염이나 종양과 유사하게 골 피질을 침범하고 석회 물질이 골 내부로 연장되어 있었다. 관절경하 석회 제거술과 골내 석회의 소파술, 건 결손부에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의 급성 견관절 통증은 술 후 즉각적인 호전을 보였고 순조로운 재활 경과와 관절 운동범위의 회복을 보였다. 술 후 5개월에 촬영한 단순 방사선 상 석회 침착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견관절 석회화 건염은 주위 골조직으로 연장된 다양한 영상 소견을 나타 낼 수 있으며, 질환을 정확히 판별함으로써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present an atypical case of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with intraosseous loc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59 year-old female complained of acute exacerbation of chronic left shoulder pain and restricted range of motion. Simple radiographs showed a subacromial calcific deposi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cortical erosion with intraosseous extension of calcific material mimicking infection or tumor. She was managed with arthroscopic excision of the calcific deposit, curettage of the intraosseous lesion and subsequent rotator cuff repair with a suture anchor. Results: Her acute pain promptly subsided. Her rehabilitation was uneventful and she gained full range of motion. Radiographs five months after the operation showed no recurrence of calcific material. Conclusion: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can present with a variety of images involving the adjacent bone. The correct recognition of this disorder may avoid unnecessary investigation and treatment.

      • KCI등재

        주관절 내상과염과 동반된 척측 측부 인대 파열

        구정회 ( Jung Hoei Ku ),조형래 ( Hyung Lae Cho ),진홍기 ( Hong Ki Jin ),김지언 ( Ji Un Kim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7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5 No.2

        Medial epicondylitis, also known as “golfer`s elbow,” is a common overuse syndrome of the elbow and predominantly affects the origin of the common flexor tendon. We report two unique cases of medial epicondylitis complicated by chronic complete tear of the ulnar collateral ligament and common flexor tendon origin. Physical examination showed a focal huge swelling of medial epicondylar region of the dominant elbow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complete tear of the ulnar collateral ligament and common flexor tendon and extravasation of intra-articular eff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with ulnar col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and simultaneous repair of the common flexor tendon origin.

      • KCI등재

        K-강선을 이용한 소아 전완부 골절의 경피적 경골단판 골수강 내 고정술

        구정회 ( Jung Hoei Ku ),고영철 ( Young Chul Go ),박만준 ( Man Jun Park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3

        목적: 소아 전완부 골절의 표준적인 치료는 비관혈적 정복 후 석고 고정이나, 때로 불만족스런 고정이나 불안정한 경우 수술적 방법이 필요하며, 수술이 필요한 동시 골절의 치료로 본원에서 시행한 K-강선을 이용한 경피적 경골단판 골수강 내 고정술에 대해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소아 전완부 골절 중에서 동시 골절 환아 18예를 대상으로 K-강선을 이용한 경피적 경골단판 골수강 내 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골 유합의 시기와 최종 추시까지의 합병증 발생 유무를 분석하였다. 결과: K-강선을 이용한 골수강 내 고정술을 시행한 18예에서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7.8세였다. 평균 골유합 시기는 6.2주 (5-7주)였으며, 불유합, 부정유합, 요척골간 골유합증 및 재골절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2예에서 국소 핀 감염이 관찰되었으나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되었고, 술 후 반흔이 작고 최종 추시까지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K-강선을 이용한 경피적 경골단판 골수강 내 고정술은 수술이 필요한 소아의 전완부 동시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술후 반흔이 작고 술식이 간단하며 삽입물의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좋은 치료 방법의 하나로 생각된다. Purpose: Although the standard treatment of diaphyseal forearm fractures in children is conservative treatment with closed reduction and cast immobilization, unstable or irreducible fractures are usually needed by surgical interven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he percutaneous transphyseal intramedullary K-wires fixation for the forearm diaphyseal fracture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reviewed 18 cases of forearm diaphyseal fractures in children, which were treated with percutaneous transphyseal intramedullary nailing using K-wire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4. We analyzed the period for radiologic bone union and the complications until the last follow-up. Results: The average period of follow-up was 15 months with mean age of 7.8 years. The average time to bone union was 6.2 weeks and nonunion, malunion, radio-ulnar synostosis and refracture were not found, just 2 local pin site infections were seen but healed by conservative treatment. Postoperative scar was small and the complications until the last follow-up were not found. Conclusion: In the operative treatment of the forearm diaphyseal fractures in children, we think percutaneous transphyseal intramedullary K-wire fix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because of the minimal invasiveness, simplicity and easiness in removal.

      • KCI등재

        쇄골 원위단에 발생한 골용해증

        구정회(Jung Hoei Ku),김진완(Jin Wan Kim),고영철(Young Chul Ko),조형래(Hyung Lae Cho),안수한(Su Han Ah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쇄골 원위단의 골용해증은 드문 질환이며 그 원인이나 발병 기전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각각 급성 및 만성 외상 후에 발생한 쇄골 원위단의 골용해증 2예를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에 호전을 보이지 않아 쇄골 원위단 절제술로 치료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며 본 증례를 통해 쇄골 원위단의 골용해증의 발병 기전과 감별 진단, 치료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Osteolysis of the distal clavicle is a rare disease and its etiology and pathogenesis are poorly understood. We report two cases of the osteolysis that were resulted from acute blunt shoulder trauma and chronic repetitive one. After diagnosis, the two patients did not have shown the response to conservative management, so we performed distal clavicle resection on them and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Through these cases, we discuss the pathogenic mechanism,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options for the osteolysis of the distal clavicle.

      • KCI등재

        소아 야구 견의 견관절 초음파 소견

        구정회 ( Jung Hoei Ku ),조형래 ( Hyung Lae Cho ),진홍기 ( Hong Ki Jin ),박기봉 ( Ki Bong Park ),신명지 ( Myung Ji Shin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6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little leaguer`s shoulder among adolescent baseball players. Forty-two little leaguer`s shoulder patients (age, 11-16 years; mean, 13.8 years; right, 39; left, 3), based on plain X-ray, were examined by bilateral shoulder ultrasonography.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on the basis of sonographic abnormalities and bilateral differences of physeal gap were measured in the cases of significant physeal widening. Sonographic abnormalities of dominant shoulder were physeal irregularity (45%), physeal fragmentation (21%), periosteal thickening (36%) and physeal widening (83%) that was the most common abnormalities. Seven of 42 patients (group A) had only physeal irregularity with minimal physeal widening, 26 patients (group B) had more than 1-mm physeal widening compared with nondominant shoulder. Nine patients (group C) had both physeal widening and fragmentation. Mean physeal gaps of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shoulders in 35 patients (group B and C) were 3.4±0.8 mm and 1.4±0.1 mm, respectively (p=0.013) and increased average physeal gap of dominant shoulder was 2.0±0.8 mm. Among three groups of patients, the duration of symptom was significant longer in group C (p=0.011). Physeal widening and fragmentation were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the disease, but physeal irregularity was relatively early sonographic finding. Ultrasonography is a useful tool to evaluate the status of proximal humeral epiphysis and can aid early diagnosis of little leaguer`s shoulder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