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개방이후 시민사회논의의 중국적용에 대한 적실성 고찰:종교영역관련 비영리단체활동사례들을 중심으로

        박만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3 국가안보와 전략 Vol.13 No.1

        Early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not a few west scholar repeatedly have mentioned on the new possibility of western civil society in main land china. but during the past three decades of reform and opening up, the dispute about sino civil society rising, in spite of many western scholars’ speaking, didn’t even show up at the research ground on account of case study absence. therefore we wonder this subject keep going. In these years, some political theories, for example state-capacity corporatism etc, come to the fore again as sino civil society scepticism bridle slightly. lately speaking to the third sector theory in china for its’ alternative, we step aside the main sino civil society discussion. in order to find the chinese model of western civil society, the present writer, pointing the religious sector to us, try to give an answer for this question.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examining the modern meaning of chinese religious organization and the various national policies applied to them in communist chinese society, this paper responds to what is chinese civil society model as voluntary social movement and western civil society. 개혁개방초기 많은 서방 학자들은 사회주의 중국의 서구식 시민사회 발전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30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중국의 시민사회 논의는 많은 서방 학자들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정작 그 구체적인 사례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논의자체가 가능한지에 대한 기본적인 물음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난 수년 동안 조합주의적 논의나, 국가능력 등 기타 다른 이론의 적용을 검토할 정도로 서구식 시민사회가 조작정의하고 있는 부르조아 시민사회의 중국내 성장이 가능한가에 대한 회의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 거론 되고 있는 제3영역에 대한 논의가 새로운 이론적 대안으로 거론되고는 있지만 이 역시 중국식 시민사회 유형을 설명하는 데에는 아직 미흡한 듯하다. 오랜 동안 답보되어 왔던 서구식 시민사회의 중국유형을 찾아보기 위해 필자는 시민사회의 한 유형으로 인정될 수 있는 종교영역 사례를 들어 이 주제에 대한 한시적인 질문에 답해보고자 한다. 개혁개방이후 중국 사회주의 사회 속에서 존재하고 있는 종교단체의 현대적 의미를 조명해 보고, 이들에게 적용되고 있는 국가 정책이나 이념적 조작정의를 찾아봄으로써 과연 밑으로부터 자발적으로 태동된 부르조아 시민사회의 유형이 중국대륙에 존재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물음에 화답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대중문화연구에서 바라보는 예술교육

        박만준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7 No.-

        예술교육이 심각한 딜레마에 빠져있다고 한다. 주당 시수가 줄고, 급기야 내신 성적의 평가대상에서 제외시키려는 낌새까지 보인다. 사방에서 예술 경시를 개탄하며, 예술 교육의 당위성을 앞세운다. 대부분 예술 관련 교사들의 목소리이다. 그래서 당사자들의 입지에 대한 위기감 표출로 밖에 비춰지지 않는다는 말도 들린다. 이대로 예술교육이 매몰되어 가야 하는가? 문제는 ‘예술’이다. 예술에 대한 부정은 예술로 맞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맞설 능력은 되어 있고, 맞설 태세는 갖추어져 있는가? 긍정적인 답이 나오지 않는다. 당연하다. 전열을 가다듬기는커녕 허상만 난무한다. 마치 유령과 같은 모습이다. 본질을 외면한 방법과 절차에 대한 논의에 집중하다 보니 그렇다. 그래서 곁가지에 가려 예술이 유령처럼 그림자만 남는 꼴이다. 다시 그 실상을 보자. 큰 것이 작은 것보다 잘 보인다. 플라톤의 가르침이다. 다시 문화를 보자. 예술보다 문화가 크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중문화연구에서 바라보는 예술교육이 주제이다. 이 글은 이러한 논지에서 예술교육의 본질적인 지향성과 그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 This is a paper to represent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art and education in study of popular culture. First, my main concern is to open the idea of popular and popular culture. Rather, one of the severest difficulties is that these ideas are obscured. Most of literature on popular and popular culture merely paraphrases them without clarifying and discussing what they mean. To avoid this problem, I think it may make sense if this study is limited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oints in study of popular culture, and if the attempt were made to render these points and the supporting arguments as precisely and as thoroughly as possible. It should be clear from this procedure that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It is not intended to be a definitive account of all of ideas about art and education and popular culture, burt rather a clear and thorough account of essential ideas of them as follow. 1) autonomy and selection 2) resistance and critical attitude 3) production and creativity 4) communication and a deep impression 5) praxis and pleasure

      • KCI등재

        이종률의 민족혁명론에 관한 연구(1)

        박만준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1 No.-

        이 글은 이종률의 민족혁명론의 이론적 체계를 분석하고 그 원리를 규명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종률의 사학과 혁명사상을 그의 생애를 중심으로 정리하는 평면적인 서술이 아니다. 또한 그의 행적을 따라가며 그와 연관된 역사적 사실들을 요목조목 정리하는 사기()의 형식을 취하는 것도 아니다. 그의 말대로 사실()로서의 재료나 자료만으로는 그 학문의 생명력을 제대로 읽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학문의 생명력이란 무엇인가? 위기기 역사 사태를 시대적으로 구출하고 전진시키는 구체적이고도 효과적인 힘이다. 이쯤 되면 당연히 이런 반문이 나오게 마련이다. 과연 이종률의 학문은 현재적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가? 그래서 우리는 단도직입적으로 이렇게 묻는다. ‘과연 이종률은 살았는가, 죽었는가?’ 학문적 이론이나 학설은 역사적 사회적 조건을 벗어날 수 없다는 점에서 당연히 제기될 수 있는 물음이다. 결론부터 미리 말한다면 ‘이종률은 아직도 살아 있다’. 그 논거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민인사학의 문제의식과 그 방법론’을 살핀다. 왜냐하면 이것이 그 논거를 찾아가는 여러 가지 길들 가운데 가장 가까운 지름길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문제의식이란 일종의 진단이며, 정확한 진단은 질병의 치유를 위해 필연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 질병에 대한 진단 없이 치유 방법을 논하기는 어렵다. 진단이란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며, 문제를 발견하고 나서야 비로소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방법론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의 문제의식과 그 방법론을 살피고, 연장선상에서 후진성 우리 지역의 사로와 노선을 규정하고, 그 역사 사태의 구출과 전진의 길, 즉 ‘민족혁명’의 사로와 그 전진과정을 탐색해 간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ystems of Lee Jong-ryul's Theory of National Revolution and to inquire into its principles. Therefore, this is naturally not a plain delineation that simply arranges Lee Jong-ryul's view of history and revolutionary thoughts around his life. It also does not take the form of a chronology that itemizes the historical facts related to him along the course of his life. This is because we cannot take full hold of the essence of a science using only the connected data and materials as facts. What is the essence of a science? As he said, it is the concrete and effective power to solve historical tasks in a period of crisis and to make history advance toward a new age. At this point, you might well ask this question: could it be that Lee Jong-ryul's thought still has a vital force in the present? We will answer with this point-blank question: is Lee Jong-ryul alive or dead? It is a natural question, in that scientific theories and thoughts cannot free themselves from their historical and social conditions. Although we risk giving the conclusion in advance, we will say, Lee Jong-ryul is stillalive. What are the grounds for that argument? First of all, we will examine the purpose and methodology of his National-Human Historical Science, because we think this is the nearest short-cut to the path to those grounds. Purpose is a sort of diagnosis, and the exact diagnosis is indispensable for the treatment of the disease. We cannot discuss how to cure a disease whithout any diagnosis. Diagnosis is to discover problems. We cannot determine the practical methodology for solving the problem until we seek the problem out. After we look into his purpose, we will determine the course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path of revolution in our underdeveloped country in that context. After that we will carry out our search for the path to the method of the historical task and advancement, namely, the developmental course of National Revolution and the process of its historical advancement.

      • KCI등재

        명말 청초 동서 하늘관 논쟁이 가지는 역사적 함의 - 동서양 지식인들의 사상적 영향을 중심으로

        박만준,마민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In sino cultural exchange contex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the heaven view point argument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wake our desires for that academical knowleges. in reality, the key issue of this subject is not what we tell right from wrong between two camps, but what kind of research attitudes we can find in their cultural approach styles. In the Chinese Christian Missionary of 17th century, there were some thinker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heaven view points arguments. for example, Mateo Ricci, Niccolo Longobardi, Xuguangqi, lizhizao, and Leibnitz. then their research paper in this subject have formed an interchange of philosophical idea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but there are some limits to what their view points have formed. their research results only give us one-way analysis view point. so to speak, in only one way explaining us the research view points of chinese confucian scholars (like Xuguangqi and lizhizao) about the Mateo Ricci, Niccolo Longobardi papers of chinese lixue, or in only one way explaining us the research view points of Western Thinkers (like Saint Marie, Nicolas Malebranche and Leibnitz) about the chinese confucian analyses of heaven. on this account, in these years, we can not find the rIn sino cultural exchange contex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the heaven view point argument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wake our desires for that academical knowleges. in reality, the key issue of this subject is not what we tell right from wrong between two camps, but what kind of research attitudes we can find in their cultural approach styles. In the Chinese Christian Missionary of 17th century, there were some thinker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heaven view points arguments. for example, Mateo Ricci, Niccolo Longobardi, Xuguangqi, lizhizao, and Leibnitz. then their research paper in this subject have formed an interchange of philosophical idea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but there are some limits to what their view points have formed. their research results only give us one-way analysis view point. so to speak, in only one way explaining us the research view points of chinese confucian scholars (like Xuguangqi and lizhizao) about the Mateo Ricci, Niccolo Longobardi papers of chinese lixue, or in only one way explaining us the research view points of Western Thinkers (like Saint Marie, Nicolas Malebranche and Leibnitz) about the chinese confucian analyses of heaven. on this account, in these years, we can not find the reason how these historical contexts have been resulted in the interchange of philosophical idea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thinkers at chronical dimension, and why those results have ended in the conflict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o-called Bainian Jinjiao). today, the research paper is rare in this subject.. this paper is aimed at researching the historical eason how these historical contexts have been resulted in the interchange of philosophical idea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thinkers at chronical dimension, and why those results have ended in the conflict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o-called Bainian Jinjiao). today, the research paper is rare in this subject.. this paper is aimed at research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argument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heaven view points about 17th century. 중국의 동서 문화 교류사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상적 쟁점이 되었던 것은 명말 청초 동서양 간에 있었던 하늘관 논쟁이다. 명말 청초 하늘관 논쟁의 핵심은 동양과 서양 중 어느 쪽의 하늘관이 옳고 그른가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다른 하늘관에 대해 어떠한 입장 과 분석적 태도를 가지고 접근할 것인가의 문제였다. 본 논문은 이 역사적 사실에서 비롯 된 논쟁들이 오늘날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어떠한 역사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 고자 했다. 이 주제의 핵심이 되고 있는 서양사상가들과 동양 지식인들의 논조를 통해 이 문제를 조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17세기 중국 기독교전파과정에서 하늘관 논쟁의 중심인물로 거론되고 있는 마테오 리치, 롱고고바르디, 서광계, 이지조 그리고 라이프니츠의 분석적 태도와 사상연구의 결 과물들은 당시 동서문화의 사상적 교류에 가장 중요한 맥락을 형성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연구는 중국의 천명관이나 이(理)학에 대한 마테오 리치와 니콜로 롱고바르디의 분 석적 견해를 이지조나 서광계와 같은 중국 선비들이 분석한 것을 간단히 서술했거나, 중 국의 하늘관을 서양에 전한 생트마리나 말브랑슈 그리고 라이프니츠 등 서양 사상가들 의 견해를 간단히 서술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들이 어떻게 통시적인 차원에서 동서양 철학의 교류로 이어졌고, 급기야 ‘100년 금교’ 라는 동서 문화 충돌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17세기 전후 동서문화 교류사에서 핵심적인 주제로 상정되어 온 하늘관 논쟁이 동서양 사상의 교류에서 어떠한 역사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 보는데 그 주요 목적이 있다.

      • KCI등재

        현대 사회에서 바라본 마레주의 기독교비판의 역사적 함의- 마르크스ㆍ엥겔스ㆍ레닌 저작의 핵심 문구들에서 나타난 논조를 중심으로 -

        박만준,마민호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4

        Why does Marx-Leninism, starting from materialism, criticize christianity, and set up the political rules of Christians in the view of natural religious disappearance theory? Sometimes Marx-Leninist said “religion is the people's opium”, but there is not much to research of that real mechanism. Therefore, we can not describe the diachronic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riticism motivations and basic cognitive structures. in these context, we can not explain how Marx-Leninist's criticizm of christian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communist land christian policy. this paper, analyses the relevant religious comments from Marx writings to lenin writings, investigates the their criticism of christianty and the basic stand-position of communist lands christian policy. 마레주의는 왜 유물론으로부터 출발해서 기독교를 비판하고 그 정책적 입장들을 정리했던 것일까? 흔히들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라는 말로 마레주의 종교이론을 표현하고 있지만, 정작 저들 문건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독교비판에 대한 핵심문구들이 어떻게 하나의 논리로 구성되어 왔는지 조차도 면밀히 분석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때문에 기독교에 대한 이들 비판이 시작된 동기와 인식적 기본구조를 통시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오류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은 이들 마레주의 종교비판의 기본 내용들이 어떻게 사회주의국가들의 기독교정책으로 이어지는지 제대로 설명을 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포이에르바하에서부터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레닌에 이르기까지 저들 저작의 문구들 속에서 기독교비판과 관련된 핵심내용들을 발췌해서 그들이 종교를 비판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논리 그리고 사회주의 정당과 국가의 기본 입장을 하나로 정리해 봄으로써 오늘날 마레주의 비판이 우리에게 갖는 역사적 함의를 검토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식의 융합과 경계적 사유

        박만준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6 No.-

        While this paper will be of interest to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one of my main concerns has been to open the world of mind. Because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s of mind. It should be clear from this procedure that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It is not intended to be a definitive account of all problems of mind, bur rather a clear and thorough account of that segment of mind that pertains to an analysis of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This claim, with their supporting arguments, will be discussed as follow; 1. What our knowledge has been for?2. Knowledge and convergence of knowledge 3. How is the convergence of knowledge made up?1) meeting at border 2) mind as a border 3) converging at mind 최근 지식의 융합에 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지식의 융합인가 혹은 지식의 융합이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논의는 그리 많지 않다. 이 글은 이를 논의하기 위해 ‘우리의 지식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지식의 존재 근거가 우리의 생존에 있다는 사실을 전제하기 위해서였다. 지식의 융합을 논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지식의 융합은 지식의 증가이며, 생존에 관한 올바른 지식이 증가할수록 생존의 위기와 위험은 그만큼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다. 지식의 융합은 단순한 지식의 확장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어 있다. 문제는 방법이다. 어떻게 지식의 융합이 가능한가?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 경계적 사유와 경계 넘기이다. 경계적 사유는 단순히 두 영역 ‘사이’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다. 두 영역을 함께 보는 것이 곧 경계적 사유이다. 그러므로 경계적 사유는 사유의 영역과 지식의 확장이다. 경계적 사유 자체가 사유의 새로운 영역이며 또 이를 통해 기존의 지식과는 다른 새로운 지식이 생산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과연 경계는 어디인가? 경계는 곧 마음이다. 그리고 지식의 생산과 융합은 마음의 프로그램이다. 결국 왜 융합인가에 대한 해답은 지식의 존재 근거와 동일하며, 둘 다 생존을 위한 우리 마음의 프로그램이다.

      • KCI등재

        문화의 기원 ― 겔렌의 문화이론을 중심으로 ―

        박만준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11 No.-

        문화는 어디에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이 글은 겔렌의 문화철학을 중심으로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간다. 겔렌은 인간의 본성에 비추어 문화의 기원을 추적한다. 이것은 곧 미지의 상태인 인간의 범주를 개념적으로 드러내고 그 범주들의 범주적 연관을 밝히는 인류학적 탐구이다. 그가 주목하는 범주들은 행위, 습관, 제도, 문화이다. 인간은 행위하는 존재이다. 동물들은 생존에 필요한 특수한 기관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인간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인간은 스스로 생존 조건을 만들어갈 수밖에 없다. 인간은 세계로부터 밀려오는 갖가지 장애를 행위를 통해 극복하면서 스스로의 삶의 조건을 만들어가야 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행위의 발달과정을 통해 행위의 형식과 규칙성이 생겨난다. 이것이 이른바 습관이다. 습관은 불필요한 소모적인 노력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계기가 되는가 하면, 세계와의 관계에서 삶의 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습관은 자립적이고 안정된 행위의 안내자이자, 환경 세계로부터 해방되어 자기 마음대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습관의 지속을 위한 안전 장치가 바로 제도이다. 인간의 행위가 안전성을 얻는 것은 습관화에서 비롯되며, 그리고 이러한 습관이 형식화된 것이 제도이다. 그러므로 모든 제도는 습관의 체계로서 존재한다. 이렇듯 겔렌은 행위, 습관, 제도 등의 범주적 연관을 통해 문화의 기원을 추적하고 있다. 문화는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 창조한 “제2의 자연”이다. 그리고 그것이 행위와 습관, 그리고 제도라는 범주를 통해 해명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문화철학은 “행위 이론으로서 인류학적 탐구”이자 “제도의 철학”이다. Die anthropologischen Studien fürten notwendig weiter in sozialphilosophische Fragen, mit ihnen auf das Feld der Geschichte hinaus und schließlich, da diese seine eigenen, unwiderstehlichen Kraftlinien hat, zurük zu Ursprungsproblemen. Ohne gewisse Voraussetzungen wäe es üerhaupt unmölich gewesen, weiterzukommen, und zwei von ihnen sollen besonders hervorgehoben werden, sie sind ürigens selbst Befunde und nicht etwa nur Hypothesen. Die eine besteht in dem schon früer gewälten Ansatz, den Menschen als handelndes Wesen auffassen. Dieser Ansatz ist sachaufschliessender als jeder andere. In einem wesentlichen Schwerpunkt ist daher hier die kulturanthropologische Forschung alss Handlungslehre entwickelt worden. Eine zweite Voraussetzung ist ebenso prinzipieller Art. Daß der Mensch ein geschichtliches Wesen ist, hat umgekehrt die Folge, daß er sich von den historisch gewachsenden Wirklickeiten konsumieren lassen muß, und das sind wieder die Institutionen: der Staat, die Familie, die wirtschaftlichen, rechtlichen Gewalten usw. Und alle Institutionen als Systeme verteilter Gewohnheiten gelebt werden. Unter diesen Hinsichten ist also das vorliegenden Untersuchungen eine Philosophie der Institutionen―einschließlich der Frage ihrer Ursprüge und Primäformen. Wie schon angedeutet, wurde damit die Untersuchung notwendig bis zu den Problemen zurükgeschickt, welche die früesten, eigentlich archaischen Zustäde der Kultur stell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