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스포츠 활동 복귀

        박종혁,이준모,배현경,임종한,이주홍,Park, Jong-Hyuk,Lee, Jun-Mo,Bae, Hyun-Kyung,Im, Jong-Han,Lee, Ju-H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8 No.2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정도와 관여 인자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단일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109명의 환자 중 스포츠 손상으로 2년 이상 추시 가능한 43예를 대상으로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여부를 조사하였다. 평균 나이는 26세(17~45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31.2 개월(24~53개월)이었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서의 임상적 결과는 Lysholm 점수, Tegner 활동 수준 척도, 객관적 및 주관적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questionnaires (IKDC 평가표), KT-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술 전에 비해 최종 추시에서 모두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01). 43예 중 25예(58%)는 수상 전 운동으로 복귀하였으나 18예(42%)는 복귀에 실패하였다. 복귀에 실패한 환자에서 11예(61%)는 재부상에 대한 두려움, 나머지 7예(39%)는 불안정과 통증을 이유로 복귀하지 못하였다. ANOVA test상 세 환자 군의 Lysholm 점수, 주관적 IKDC 평가표, 및 KT-1000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그러나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한 군과 재부상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복귀하지 못한 두 군에서는 Lysholm점수와 KT-1000 검사 상 유의한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Tegner 활동 수준, 주관적 IKDC 평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 스포츠 손상으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들 중 약 25%에서 재손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수상 전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하지 못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재건술 술기 향상과 체계적인 재활 방법이 여전히 요구되지만 심리적인 요인에 대한 고려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many of our patients who had ha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returned to their previous levels of sports and to identify why not doing so. Material and Methods: We evaluated 43 knees with a minimum of two years follow-up among whom undergoing 109 ACL reconstruction from September 200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26 years (17 to 45 years) Clinical result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Lysholm Knee scores, Tegner activity score, subjective IKDC questionnaires, objective IKDC evaluation form and KT-1000 arthrometer. Results: The overall clinical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at the final follow-up comparing to preoperative data (P<0.05). Among 43 patients, 25 patients (58%) returned to their previous level of sports and 18 patients (42%) did not. Of whom, 11 patients (61%) were not able to return to sports due to fear to re-injury and 7 patients (39%) suffered from instability and pain. The differences in the Lysholm Scores, KT-1000 arthrometer and subjective IKDC in the 3 groups of patients by ANOVA tes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l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in objective IKDC and KT-1000 arthrometer, the difference was observed in Tegner activities, subjective IKDC obtained by those who returned to sport and those who had fear to reinjury (P<0.001).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 quater of patients could not return to their previous level of sport after ACL reconstruction because of fear to reinjury. We thought that not only improving the technique of ACL reconstruction and systemic rehabilitation but also considering psychological factor of patients could allow more patients to return to the previous level of sports.

      • Suture anchor를 이용한 외측 반월판 연골 전방 뿌리 파열의 관절경적 치료 -증례 및 술기 보고-

        김도영,유연식,이상수,정운섭,서은민,박승재,Kim, Do-Young,Yoo, Yon-Sik,Lee, Sang-Soo,Jeong, Un-Seob,Seo, Eun-Min,Park, Seung-Jae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1

        반월상 연골판의 뿌리파열의 심각성이 인식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봉합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후각부 뿌리 파열에 대한 봉합 방법과 결과가 최근에 많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전각부 뿌리 파열에 대한보고는 아직 보고된 바 없으며 이에 저자들은 과거에 시행했던 원판형 연골의 부분 절제 후 발생한 의인성 뿌리 파열과 이로 인한 아탈구를 경험하였고 이를 봉합나사를 이용하여 정복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s awareness of root tear of meniscus have been increased, it became necessary to have an intensive repair. Posterior horn tear, especially for a lot of repair methods and the results have been reported recently. The report of the anterior root tear has yet to be found. We recently encountered a patient with an iatrogenic meniscal subluxation caused by past experienced partial menisectomy for discoid meniscus. Thus, we repots the technique and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of subluxated lateral meniscus anterior root tear using suture anchor.

      •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요법

        박진영,박희곤,Park Jin-Young,Park Hee-Go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2

        근위 상완골 골절은 골절의 형태에 따라 크게 관절편 또는 해부학적 경부, 대 결절, 소 결절, 상완골 간부 또는 외과적 경부의 4개의 골절편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Neer의 근위 상완골 골절의 분류는 골절선에 의해 골절편을 나누는 분류가 아니며, 1 cm이상전이나 45$^{\circ}$ 이상의 각형성 이 있는 경 우를 전 이 골절편으로 생각하였다.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 복 및 내고정술의 일차적 적응증은 골다공증이 없는 젊은 환자에서 발생된 튼튼한 내고정물을 시행할 수 있는 삼분 골절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위해 술후 오랜 기간동안 시행할 재활치료에 잘견딜수 있는 활동력 이 좋은 환자여야 한다. 수술적 치료의 절대적 적응증은 개방성 골절 ,혈관이 나 신경 손상이 동반될 때 , 정복이 불가능한 골절 탈구등이다. 반대로 환자가 골다공증이 심하거나, 근위 상완 골절편의 분쇄정도가 심하며 , 튼튼한 내고정을 시행할 가능성 이 희박한 나이가 많은 경 우에는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보다 일차적 인공삽입물을 이 용한 관절성형 술을 시행한 후 조기 재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요법에는 다양한 수술 기법과 이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 이고 체계적 인 재활 치 료가 꼭 필요하다. 여러 수술 기 법 중 관혈적 정복 및 장력 대 강선 기법을 시행할 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 이 방법 은 수술적 기법이 어렵지 않고, 골에 대한 고정과 함께 회전근 개의 건부착 부위에 대한 봉합을 추가할 수 있으나 역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있으므로 골절의 양상이 나 환자의 상태 ,환자의 활동력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된다.EX>46N으로, 슬개건-티타늄 간섭나사군이평균 1067.4$\pm$145N에서평균 601.8$\pm$134N으로, 슬개건-생체흡수성간섭나사군이평균 987.1$\pm$168N에서588.7$\pm$124N으로각각40$\%$, 39$\%$, 50$\%$, 24$\%$, 44$\%$, 40$\%$가감소하였다. 결론: 수술후초기고정력은슬괵건을LA나사(R) 또는Semifix(R)로고정하는방법과슬개건을티타늄및생체흡수성간섭나사로고정하는방법등이우수하였으며, 슬괵건을생체흡수성간섭나사나Endobutton(R)으로 고정하는 방법 등은고정력이 상대적으로매우약함을 알수있었다. 최대인장력은단순인장검사로는이상의대퇴골측고정방법의고정력이초기부하를견뎌내는데충분하다고생각되었으나주기성부하실험후현저히감소되어충분한초기안정성을제공하지못함을알수있었다.를 나타내었다. 또한 3m깊이에서의 측방 선량분포에서 Spoiler의 거리변화(6, 10cm)는 심부선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실험측정치를 치료계획 시스템에 입력하여 선량분포를 확인한 결과 Spoiler를 사용하는 경우 OPEN에 비해 선량분포 영역을 표면으로 끌어 올릴 수 있으며 Bolus 보다 피부 보호효과는 어느 정도 유지가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4.결론 이와 같이 Spoiler는 Bolus와 비교하여 6MV 광자선의 build up 영역을 표면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Skin Sparing(피부보호)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두경부암의 치료에서 Spoiler의 사용이 가능한 조건으로는 조사면이 Fracture about proximal humerus may be classified as the articular segment or the anatomical neck, the greater tuberosity, the lesser tuberosity, and the shaft or surgical neck. Now, usually used, Neer's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number of segments displaced, over 1cm of displaced or more than 45 degrees of angulation , rather than the number of fracture line . Absolute indication of a operative treatment a open fracture, the fracture with vascular injury or nerve injury , and unreductable fracture-dislocation . Inversely, the case that are severe osteoporosis, and eldly patient who can't be operated by strong internal fixation is better than arthroplasty used by primary prosthetic replacement and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th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The operator make a decision for the patient who should be taken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because it's different that anatomical morphology, bone density, condition of patient. The operator decide operation procedure. For example, percutaneous pinning, open reduction, plate & screws, wire tension bands combined with some intramedullary device are operation procedure that operator can decide . The poor health condition for other health problem, fracture with unstable vital sign and severe osteoporosis , are the relative contraindication. The stable fracture without dislocation is not the operative indication . The radiologic film of the prokimal humerus before the operation can not predict for fracture evaluation. It's necessary to good radiologic film for evaluation of fracture form. The trauma serise is better than the other radiologic film for evaluation. The accessary radiologic exam is able to help for evaluation of bone fragment and anatomy. The CT can be helpful in evaluating these injury, especially if the extract fracture type cannot be determined from plain roenterogram of the proximal humerus, bone of humerus head. If the dislocation is severe anatomically , we could consider to do three dimentional remodelling. The MRI doing for observing of bony morphology before the operation is not better than CT If we were suspicious of vascular injury, we could consider the angiography.

      • KCI등재

        대학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종목에 따른 도핑에 대한 사고방식과 스포츠 성취목표 성향 및 지각된 동기분위기의 관계 분석

        김은국 ( Eunkuk Kim ),박한별 ( Hanbyel Park ),최호경 ( Hokyung Choi ) 대한스포츠의학회 2021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9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doping, sport orientation, and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anti-doping strategy. Methods: A total of 567 athletes in 21 sports completed four questionnaires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 Sport Orientation Questionnaire (SOQ; competitiveness orientation, win orientation, goal orientation), Task and Ego Orientation in Sport Questionnaire (TEOSQ; task orientation, ego orientation), and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2 (PMCSQ-2; ego-involving and task-involving climate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peed/power (n=201), endurance (n=154), motor skill (n=119), and team (n=93). We identified the difference of variables among four categories and verified possibl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doping. Results: The PEAS of athletes in both speed/power sports and Team sports was higher than motor skill sports, and the team sports athletes also showed higher PEAS than endurance sports athletes. In speed/power sports, the task of TEOSQ and the win of SOQ were related to PEAS, and in endurance sports, the task of TEOSQ and the ego-involving of PMCSQ were related to PEAS. In motor skill sports and Team sports, the task-involving of PMCSQ and the goal of SOQ were associated with PEA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new insights into the psychosocial mechanisms of attitudes toward doping, and it w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effective anti-doping strategies based on sports characteristics.

      • 스키와 스노우 보드에서 헬멧의 착용이 경추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김성훈,김태균,전근철,황재선,Kim, Sung Hun,Kim, Tae Kyun,Chun, Keun Churl,Hwang, Jae S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겨울철 스포츠로서 스키와 스노우 보드를 즐기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여 대중화 되고 있다. 안전 장비에 대한 인식도 발전하여 스키나 스노우 보드에서 헬멧의 착용도 늘었고, 이 영향으로 두부나 안면부 손상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헬멧의 착용이 경추부 손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경추부손상의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보호장비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2월부터 2010년 3월까지, 2010년 1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2시즌 동안 국내 대형 리조트에서 스키 및 스노우 보드 손상으로 의무 시설에 내원한 환자 14,538명 중 경추부 손상으로 내원한 6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 432명, 여자 226명이 내원하였고, 상급자 273명 초급자 385명 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헬멧을 착용 한 군과 착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경추 손상 비율, 수상 기전, 손상의 정도 및 진단된 질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각의 군은 SPSS 12.0(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통계학적으로 처리 하였다. 결과: 스키 손상으로 인한 환자는 312명, 스노우 보드 손상은 346명 이었으며, 헬멧을 착용한 수상자는 스키 143명, 스노우 보드 140명 이었다. 각 질환 별 분류는 단순 염좌 292명, 타박상 359명, 경추부 골절 6명, 탈구 1명이며, 수상 원인 별 분류에서 대인 충돌 287명, 대물 충돌 212명, 혼자서 넘어진 경우 108명, 낙상 39명, 기타 12명으로 나타났다. 헬멧을 쓴 경우 스키 78명/스노우 보드 70명에서 단순 염좌 였고, 스키 64명/스노우 보드 68명에서 타박상으로 나타났으며, 스키 1명/ 스노우 보드 2명에서 경추부의 골절이나 탈구가 발생하였다. 헬멧을 쓴 경우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경추부 염좌의 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헬멧을 착용한 경우에 비하여 좌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골절, 탈구에서는 헬멧을 쓴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을 때 수상빈도의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헬멧이 스키와 스노우 보드에서 공히 추가적인 경추 손상의 발생과 심각도를 증가시키지 않았고, 대인 손상시에 헬멧의 사용은 경추부 염좌의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좌상의 빈도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추가적인 생체 역학적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s the number of people enjoying skiing and snowboarding which are two popular winter sports has been increasing, wearing helmet during doing these sports has been needed for safety. The rates of head or face injury have decreased after using helmet. However the effect that wearing helmet has on cervical damage is not yet to be known. So through this research we intend to be helpful in developing effective program and safety equipment.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two seasons from December 2009 to march 2011, cased 658 cervical injuries within 14538 admittance in medical center of major resort due to skiing and snow-boarding injuries. For survey and research model, one year before the research year conducted a pilot study. Admittance were 432 male and 226 female, advanced 273 and 385 novice.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wearing helmet, measured cervical damage ratio and injury mechanism, and researched the severity of damage and diagnosed injury. Each group used 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 to process data statistically.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as 312 in skier and 346 in snow boarder. Patients wearing helmet were 146 in skier and 127 in snow boarder. Classification of each injuries were confirmed as 292 cases of simple sprain, 359 bruising, 6 cervical fractures and 1 case of dislocation. Classification of injury mechanisms were 287 of human collision, 212 material collision, 108 of slip down by oneself, 39 of falling and 12 cases of etc. In cases wearing helmet ski 78/ snow board 70 were simple sprain, ski 64/ snowboard 68 were shown as bruising, ski 1/ snow board 2 had cervical fracture or dislocation. The ratio of cervical sprain increased in cases of wearing helmet compared to non-wearing cases a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The ratio of cervical contus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non-wearing helmet user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fracture and dislocation compared between helmet user and non-user (p> 0.05). Conclusion: In this study, wearing helmet had no relation to additional cervical injury occurrence or severity among skiers and snow boarders. The ratio of cervical sprain increased significantly in helmet user with person to person accident. However, the cervical contusion decreased. On this ground, further biomechanical studies are required and modified helmet will be necessary.

      • 스노우 보드 손상에 의한 요추 압박 골절 - 증례 보고 -

        정국진,정영기,노규철,홍성구,유정한,Chung, Kook-Jin,Chung, Yung-Khee,Noh, Kyu-Cheol,Hong, Sung-Koo,Yoo, Jung-Ha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2

        주5일제 근무의 도입으로 인하여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많이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로 스포츠 손상의 빈도가 비례하여 증가하는 추세이다. 겨울 스포츠 중 최근 청소년과 젊은이들 사이에 인기를 얻고 있는 스노우 보드로 인한 척추 관련 손상은 그 문헌 보고가 많지 않은 실정으로 저자들이 스노우 보드 손상에 따른 요추의 압박 골절 환자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한다. With the introduction of working 5 days a week, people who are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y has been increased so rapidly, therefore sports related injuries also has continued to grow. Among winter sports, snowboard has been gaining popularity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But, snowboard related injuries, especially spinal injuries, has been rarely documented. We report a case of lumbar compression fracture following snowboard injury.

      • 검도 운동에서 발생된 스포츠 손상의 분석

        송현석,박성진,한석구,나기호,정형국,최우혁,최남용,Song, Hyun-Seok,Park, Sung-Jin,Han, Suk-Ku,Nah, Ki-Ho,Cheung, Hyung-Kook,Choi, Woo-Hyuk,Choi, Nam-Yong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2

        목적: 일반인의 검도 운동 중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손상 기전, 치료 및 임상 결과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검도 손상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한 검도회에 등록되어 있는 검도 도장의 관원 중 6개월 이상 수련한 고등학생 이상 관원에서 검도를 시작한 후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꼈던 총 98명 (평균 연령 : 30.2세)을 대상으로 부위별, 증상별로 구분하였다. 이에 대한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는 치료 장소와 방법에 대한 설문 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증상의 출현은 운동 후 2주에서 6개월 이내가 많았으며 32.2%에서 공격을 시도하다가 손상받았다. 운동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족부 손상으로 인한 족부 통증이 가장 많았고, 이 중 족저근막염이 가장 많았다. 병원 치료는 대부분 조기에 이루어 졌으나, 59명(60.2%)에 불과하였다. 그 중 정형외과를 방문한 경우는 36%, 한의원을 포함한 기타 진료과에서 치료를 받은 경우가 38%였다. 이환부는 족부와 족관절이 가장 많았으며(38.8%), 완관절(13.1%), 견관절(11.9%), 슬관절(11.9%) 순이었다. 치료후 이전 수준으로의 운동 복귀는 50%에서 가능하였다. 결론: 검도 운동에서 발생하는 손상은 족부와 족관절이 가장 많았으며, 완관절, 견관절, 슬관절 순이었다. 적절한 치료를 받은 경우는 조사 대상자의 60.2%에 불과하였고, 이 중 정형외과를 내원한 경우는 36%였다. Purpose: To study the mechanism of injuries or discomfort during kendo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injury, injured parts of body, treatments modalities, and degree of return to the pre-injury activity level.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ninety-eight kendo players who had played at three gymnasium of Korean Kumdo Association, were older than high-school age, had been playing kendo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had any pain or discomfort after playing kendo.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ed the patients concerning the injured parts of body, symptoms, treatments. Results; The mean age was 30.2 years old, and the onset of symptoms was between two weeks and six months after starting the kendo. Many of them were injured during attacking(32.2%). The injuries of feet were increased on players who exercised for less than 1 year. Only fifty-nine players(60.2%) were treated within one month. Among them, thirty-eight percent were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or other departments and only thirty-six percent were treated by orthopaedic surgeons. The prevalence of injuries of the foot and ankle was highest(38.8%), and there were the wrist(13.1%), shoulder(11.9%), knee(11.9%) in order of prevalence. Fifty percents of them could return to the pre-injury activity level.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injuries of the foot and ankle was highest(38.8%), and were increased on players who exercised for less than 1 year. Sixty percents of players were treated with any proper modalities, and only thirty-six percent were treated by orthopaedic surgeons.

      • KCI등재

        스포츠손상의 자기공명영상 진단

        양승오 ( Seoung Oh Yang ),정선관 ( Seon Kwan Juhng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28 No.1

        스포츠손상의 진단에는 임상에서 필요한 경우에 MRI를 포함한 여러 가지 영상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면 진단에 확신이 서고, 손상의 범위와 정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좀 더 적극적으로 적절한 치료법과 재활요법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런 노력을 통해 아마추어는 물론이고, 직업적 운동 선수의 운동 능력을 온전히 보전하게 하여 오랫동안 최상의 경기력을 지킬 수 있게 하는 것이 스포츠의학의 최종 목표이다. 그러나 영상진단에서 관찰되는 이상 소견이 모두 임상적 연관성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영상 결과의 임상 적용에 주의를 요하며,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증세를 치료해야 하는 것이지, 방사선 영상의 이상 소견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엘리트 운동 선수의 경우, 손상을 받을 경우와의 비교를 목적으로 평소에 기준 영상 검사를 해 둘 가치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도 프로스포츠의 발달이 계속되고 아마추어 운동을 즐기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MRI를 포함한 여러 영상법을 스포츠의학에 활발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스포츠관련 의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열의가 필요하다.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widely applied to diagnose sport-related injuries including bone and soft-tissue injuries. Because the MR characteristics of hydrogen nuclei depend upon on their local tissue environment, soft tissue structures of similar density may exhibit difference in signal intensity (brightness on image). This enables MRI to get high soft-tissue contrast resolution superior to other imaging modalities such as computed tomography (CT). Advantages of MRI are its capacity to depict occult bone trauma or bone bruise and ligamentous or tendinous injuries that are not visible on conventional radiographs. MRI does not expose the patient to radiation dose, so it can be used safely for pediatric patients. In this review, we will discuss on the osseousand soft-tissue injuries of the extremities which could be helpful from MRI in various clinical situations.

      • 족부 족관절에 흔히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 외측 족관절 불안정성

        양기원,이경태,김진수,Young, Ki-Won,Lee, Kyung-Tai,Kim, Jin-Su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1

        족부 족관절 영역의 스포츠 손상에서 가장 많은 것은 외측 족관절 불안정성이다. 이미 이에 대하여 많은 연구 및 발표가 있어 왔다. 이 가운데 아직 결론에 도달하지는 않고, 진행중인 논제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외측 족관절 불안전성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 좀 더 좋은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Lateral ankle instability is one of common injury in sports medicine. Already many studies were done with scientific data and clinical relationship. This review article wants to discuss about controversial subject of ankle instability. It will be conducted more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 대학 태권도 선수들에서의 스포츠 손상: 47명에 대한 후향적 연구

        정홍근,박희곤,김종필,김유진,김기철,김영인,이상민,Jung, Hong-Geun,Park, Hee-Gon,Kim, Jong-Phil,Kim, You-Jin,Kim, Ki-Choul,Kim, Young-In,Lee, Sang-Mi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5 No.1

        목적: 본교에 재학중인 태권도 선수들이 태권도와 관련하여 과거의 경험하였던 운동 손상의 유형, 치료 경과 및 운동 복귀 등에 대해서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태권도를 전공으로 하는 본교 대학생 선 수 49명 중 과거 태권도와 관련하여 사지, 두부 및 척추 부위 의 손상으로 치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9명, 여자가 8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18.8세이었다 태권도 운동 경력은 평균 9.6(4-13)년 이었으며, 수상 시 태권도 경력은 평균 6.7(5-9)년 이었다. 운동 손상의 양상과 치료경과 등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47명이 과거에 태권도와 관련하여 손상 빈도는 1회 손상이 26명 (55.3%), 2회가 11명(23.4%), 3회가 4명(0.5%), 4회가 5명(10.6%), 5회가 1명(2.2%)으로 총 85예 이었다. 연습 중 수상한 빈도는 50예(58.8%), 시합 중 수상한 빈도는 35예(41.2%)로 연습 중 손상이 더 빈번하였다. 공격 시 수상 빈도는 26예 (31.7%), 방어 시 수상 빈도는 49예 (57.6%)이었다. 손상의 유형별 분류상 골절이 49예(57.5%) 및 인대손상 21예(24.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부위별 손상으로는 상지 손상이 32예 (37.7%), 하지 손상이 44예 (51.8%), 몸통 및 안면부 손상이 9예 (10.5%)였다. 치료는 수술이 15예 (17.7%), 석고 고정이 21예 (24.7%), 부목 고정이 33예 (38.8%), 물리치료가 15예 (17.7%), 침술이 1예 (1.1%)였다. 결론: 대학 태권도 선 수들의 대부분(47/49, 96%)에서 병원을 방문할 정도의 심한 운동 손상을 과거에 경험하였고, 유형별로는 골절이 가장 많았으며, 손상이 시합 때보다는 연습 중에 더 빈번하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urpose: To perform the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sports injuries sustained by the college Taekwondo athletes in the respect of the injury patterns, mechanism of injury and clinical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47 out of 49 college Takwondo athletes, who had experienced the Takwondo related musculoskeletal injuries severe enough to visit the clinic for medical treatment. The mean age at the time of injury was 18.8 years and 39 were males and 8 females. The Taekwondo career was average 9.6 years and the injuries were sustained at average 6.7 years of their career. The injuries were analyzed by the detailed interview with thorough physical examination. Results: Forty-seven Taekwondo athletes in the study experienced average 1.8 injury/person (total 85 cases) with 26 persons of one time experience(55.3%), 11 persons of 2 times(23.4%),4 persons of 3 times (8.5%),5 persons of 4 times (10.6%) and 1 person of 5 times (2.2%). Injuries occurred during training in 50 cases (58.8%), while during match in 35 cases (41.2%). Injuries occurred during the attack phase of the match are 26 cases (31.7%) while 49 cases (57.6%) during the defense phase. As for the pattern of injury,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with 49 cases (57.6%), followed by ligament injury with 21 cases (24.7%). The upper extremity injuries were 32 cases (37.7%) while the lower extremity injuries were 44 cases (51.8%) Mode of medical treatment were operation in 15cases(17.7%), cast in 21 cases(24.7%), splint in 33 cases (38.8%), physical therapy in 15cases(17.7%) and acupuncture in 1 case(1.1%) Conclusion: Almost all the college Taekwondo athletes (96%) experienced sports injuries severe enough to receive medical treatments with the fracture being the most common injury pattern. The injuries occurred more commonly during the defense phase of the compet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