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 병사의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이 부대 내 부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곽주연(Juyeon Kwak),김재엽(Jae Yop Kim),오은영(Eun Young Oh),황성결(Sung Gyul Hwang)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군 병사의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이 부대 내 부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학교 폭력 유형에 따른 피해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학교 폭력 세 가지 유형(언어폭력, 따돌림, 신체적·물리적 폭력)에 따른 피해 경험이 부대 내 부정적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에 연세대학교 가족청소년복지 연구팀에서 진행한 「한국군 장병의 정신건강 실태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해 총 988명을 SPSS 29.0의 Process Macro 4.2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군 병사의 학교 폭력 피해 경험과 부대 내 부정적 대인관계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의 유형에 따라 살펴보면, 언어폭력 피해 경험과 부대 내 부정적 대인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 병사의 군대 내 부정적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ilitary soldier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uni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s the association between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from three types of school violence(verbal violence, bullying, and physical violence) and negative interpersonal dynamic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Survey on Mental Health of Korean Soldiers' conducted in 2016 by the Family and Youth Welfare Research Team at Yonsei University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4.2 of SPSS 29.0, involving a total of 988 participan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elf-efficacy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soldiers'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nd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unit. When examining the specific types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was fully mediated by the sense of self-efficacy in relation to negative interpersonal dynamics within the uni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addressing nega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military and enhancing self-efficacy among military personnel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 간 긍정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김재엽(Kim, Jaeyop),곽주연(Kwak, Juyeon)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10년 이상 군 복무를 하고 전역한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가족 간 긍정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대군인지원센터를 방문하여 조사참여 가능한 제대군인을 모집한 후 자발적 설문참여를 진행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복무기간 10년 이상의 남자 장기복무 제대군인 33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삶의 만족도는 평균 23.4421로 ‘약간 만족’의 수준이며, 군 복무기간, 주관적 건강상태, 전직준비도에 따른 평균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경제적 스트레스는 평균 2.5608로 나타나 타 일상생활 스트레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경제적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며, 경제적 스트레스가 높은 장기복무 제대군인은 경제적 스트레스가 낮은 제대군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 간 긍정적 의사소통이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사이의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conomic stress on life satisfaction of veterans after long-term military service who have served in the military for more than 10 year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For this purpose,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visiting the Veterans Service Center to recruit discharged soldiers who could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final analysis used data from 330 men s long-term service veterans with a service period of more than 10 years.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long-term service discharged soldiers averaged 23.4421, and the avera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ngth of military servi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the transfer was confirmed. Second, the economic stress among discharged soldiers after long-term service averaged 2.5608, higher than other daily stress levels. Third, the economic stress of long-term service veterans was shown to degrade life satisfaction, and long-term service veterans with high economic stress were found to have lower satisfaction in life than veterans with low economic stress. Fourth,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was confirm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olicies and practical way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veterans after long-term military service.

      • KCI등재

        치매환자의 증상정도가 주부양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보호효과를 중심으로

        박선원 ( Park Sun Won ),곽주연 ( Kwak Ju Yeo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6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1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ymptoms of dementia elderly on the primary caregiver’s depression.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was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the necessity for intervention in the level of social welfare as a way to mitigate primary caregiver’s depression was suggested. Method: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a total of 197 who are spouse and adult-children of dementia elderly using day care facilities or services in Seoul, Gyeonggi, Busan province, South Korea were utiliz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model analysis with SPSS 18.0. Results: In case of analysis results, the mean value was reported 0.9 out of four point about primary caregiver’s depression and the mean value of family support was reported 3.34 out of five point. And besides, the analysis result of dementia elderly’s symptoms showed that prevalence of depression/dysphoria were 62.2%, prevalence of aberrant motor were 61.3%, prevalence of apathy/indifference were 56.6%. Crucial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ymptoms of dementia elderl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imary caregiver’s depression. At the same time, family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d lower level of the primary caregiver’s depression. Whi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s of dementia elderly and the primary caregiver’s depression, family support has a moderation effect by important protection factor. Conclusions: From these findings, the necessities to provide the care service for dementia elderly to help improve symptoms of dementia as well as the policy and service to manage the mental health of the family as primary caregiver were suggested. Also, the necessities to provide the family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주부양자가 인지한 치매환자의 증상정도가 케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지지 및 가족지지의 보호효과 검증

        김재엽(Kim, Jaeyop),곽주연(Kwak, Juyeon),최윤희(Choi, Yoonhee)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치매환자가 보여주는 다양한 증상의 정도가 주부양자의 케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써 전문가지지 및 가족지지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부산 3개 지역의 주간보호센터 및 병원, 요양시설 10곳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치매 진단기간 5년 이내인 치매환자의 배우자 및 자녀부양자 191명을 선정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 검증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치매환자의 증상정도는 주부양자가 느끼는 정신적 고통인 케어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전문가지지와 가족지지의 보호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문가지지는 치매환자의 증상으로 인한 주부양자의 케어스트레스를 완화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가족지지의 보호효과는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의료진 및 사회복지사와 같은 전문가지지는 주부양자의 케어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이지만 친척과 같은 가족들의 지지는 케어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한 정기적인 치매 증상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 주부양자의 케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지원 정책의 확대, 치매전문인력 구성의 확대 및 협업 시스템의 구축, 치매환자 부양가족구성원 간의 기능 증진을 위한 개입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Care-stress among the dementia caregivers has been an important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ementia elderly’s symptoms on the primary caregivers’care-stress. In addition, the moderators, the expert support and the family support, were us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symptoms and the care-stress. The data was obtained at 10 day-care facilities and services in Seoul, Gyeonggi and Busan province in South Korea. A total of 191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y were the spouses or the adult children of the dementia elderly who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within five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ymptoms that the dementia elderly show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imary caregivers’ care-stress. Also, the interactive variable with the expert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with the family support. This means that only the expert support from doctors, nurses or social workers decreased the caregivers’ care-stre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1) the necessities of the education that covers the specific symptoms of the dementia patients’, 2) the extension of the supportive policies for caregivers’ care-stress, 3) the necessities of more allocation of the dementia specialists in the practical settings and cooperative systems among the dementia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and 4) the enhancement of the family function among families who have a dementia elderly as a family member.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재엽(Kim, Jaeyop),곽주연(Kwak, Juy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4개 권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1,91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최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성폭력 가해행동의 경우 응답범주가 대부분 0에 가깝게 나타나 정규분포의 특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의 8.1%가 지난 1년간 성폭력 가해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추행, 성희롱, 음란전화 등의 가해유형이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10명 중 7명이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에 해당하며, 이들의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수준이 비중독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과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PSS 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터넷 유해매체 노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대상 성폭력 예방 교육의 개선,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의 의무화, 청소년의 인터넷 유해매체 접촉 차단 강화, 성폭력 가해 청소년 대상 상담 및 치료체계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on sexual assaul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xposure to harmful internet media. The data was harves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four regions of South Korea. A total of 1,911 adolescents who responded that using a smartphone were utiliz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oiss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mediation methods were employ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is associated with sexual assault, and the exposure to harmful internet media h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the spheres of both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 KCI등재

        부모로부터의 신체학대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교사관계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김재엽 ( Jae Yop Kim ),곽주연 ( Ju Yeon Kwak ),임지혜 ( Ji Hye 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6 청소년복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신체학대 피해경험이 학교에서 부모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교사와의 관계에서 청소년이 경험하는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ㆍ경기지역 9개 중ㆍ고등학교를 조사대상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에 비하여 학교에서의 부적응 문제가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남.여 중학생 835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모로부터의 신체학대 피해경험은 청소년의 교사관계부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자기통제력에 대한 부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통제력의 경우 교사관계부적응에 대하여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최종적으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의 대안으로 Preacher와 Hayes(2008)가 제안한 SPSS Macro를 활용한 부트스트랩 방법을 통하여 부모로부터의 신체학대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교사관계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실시와 부모에 대한 가정폭력 예방교육 의무화, 가족기능강화를 위한 가족치료프로그램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담임교사 및 학교사회복지사의 학대피해청소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hysical abuse by parents on adolescents’ relationship maladjustment to a teacher as a protector at schoo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835 participants consisting of males and females from 9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responded to the survey. By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it was checked if participants experienced physical abuse by parents and were suffering from relationship maladjustment to their teacher. Preacher and Hayes’ SPSS macro using the bootstrapping mediation methods was employed. Crucial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hysical abu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control and adolescents’ relationship maladjustment to a teacher. At the same time, self-control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lationship maladjustment to a teacher. Self-control partly had a mediating effect on physical abuse and the relationship maladjustment to a teacher. Based on the results, it was necessary to intervene at the level of the social welfare as a way to mitigate adolescents’ relationship maladjustment to a teacher.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자살위험성의 관계에서 TSL(부모-자녀 간 긍정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김재엽 ( Jae Yop Kim ),류원정 ( Won Jung Ryu ),곽주연 ( Ju Yeon Kwak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5 한국가족복지학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osure to school violence on adolescents’ suicidal risk.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dolescent positive communication (TSL)was examined. For the purpose, data from “The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 and adolescents” section of the 2010 National Data on Domestic violence, which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used. A total of 369 middle-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ctimizatio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risk. At the same time, parent-adolescent positive communication (TSL)significantly resulted in a lower level of suicidal risk. Meanwhile parent-adolescent positive communication (TSL)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chool violence and suicidal risk as an important protection factor. From these findings, the necessity of the interven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o decrease suicidal risk caused by school violence and TSL, as a parent-adolescent positive communication program, were suggested to improve family function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말초 임파구에서 도파민 수용체 mRNA의 변화

        용태,최철희,김옥준,주연,김형섭,강성숙,구민성,선우일남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정신분열병은 주로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정신과에서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다. 이 질환의 원인이나 병인은 아직 불확실하지만 뇌 도파민계의 기능장애가 중요한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부검없이 뇌 도파민계를 직접 관찰할수 없으므로 많은 혼란이 있어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발견된 말초 임파구의 도파민 수용체를 이용하여 정신분열병에 있어서 말초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가 뇌 도파민계의 기능을 반영하는 말초표식인자일 가능성이 있는지를 규명한다. 방 법 : 3년 이상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약물투약군) 44명, 최근 3개월 이상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약물비투약군) 43명, 정상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말초 임파구의 D3, D5 도파민 수용체를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quantitative reverse transcritp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서 정량 비교하였고, 또한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들에 있어서 약물 투여 후 도파민 수용체의 변화 및 임상양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1) 말초혈액 임파구의 D3R/βA는 약물비투약군에서 정상대조군이나 약물투약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D5R/βA의 경우 약물비투약군이 약물투약군에서만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약물투약군과 정상대조군 간에는 도파민 수용체 mRNA(D3R/βA, D5R/βA)양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2) 항정신병 약물을 새로 투여하는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 후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의 변화를 추적 관찰한 결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약물비투약군을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D3R/βA mRNA가 정상범위에 속하는 군과 높은 군으로 나누어서 임상척도와 비교 분석한 결과 임파구 도파민 수용체가 증가한 군에서 다음과 같은 임상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1) 정신병리증상이(BPRS) 현저하였다. (2) 약물치료에 대해 양성 정신병리증상(pBPRS)의 호전도가 낮았다. (3) 약물치료시 추체외로 부작용이 심하였다. 결 론 : 이상의 연구결과로 말초 임파구에서 발현되는 도파민 수용체는 정신분열병의 소군 분류 및 예후 예측에 있어서 임상적 의의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말초임파구에서 발현되는 도파민 수용체는 비록 이에 상응하는 뇌의 해부학적 위치는 알 수 없지만 중추신경계의 도파민 수용체의 기능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었다. Objectives : Schizophrenia, commonly developed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is one of the most common mental diseases in psychiatry. The etiology or pathogenesis of this disease is uncertain yet, but the dysfunction of dopaminergic system in the brain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re is no direct evidence of dysfunction of brain dopaminergic systems in schizophrenic patients because the direct assessment of brain dopaminergic systems is almost impossible at present. To overcome this problem, recently founded dopamine receptors and their mRNAs in peripheral lymphocytes was u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whether the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can be the peripheral markers of schizophrenia or not. Methods : The total numbers of subjects are 87 schizophrenic patients. Among them 44 patients were schizophrenics who had been taking antipsychotic drugs for more than 3 years(medicated patients), 43 schizophrenics who recently are not taken antipsychotic drugs for more than 3 months(drug-free patients). For controls age and sex matched 31 healthy persons were enrolled. Sequential reverse transcription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of the mRN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s in peripheral lymphocytes. The gene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s were compared in each groups and after starting antipsychotic medicines in drug-free patients, the clinical scales and the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were sequentially studied before, 2 weeks after and 8 weeks after medication. Results : 1) In drug-free schizophrenics, D3 dopamine receptor mRNA expression of peripheral lymph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with that of controls and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and D5 dopamine receptor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comparing with only that of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s and drug-medicated schizophrenics. 2) After antipsychotic medication, dopamine receptors of lymphocytes were increased tendency. 3) Drug-fre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opamine receptor expression in control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increased dopamine receptor expression. The group of patients with increaseddopamine receptor expressio had following clinical characteristics. (1) More severe psychiatric symptoms (2) Poor pharmacological response of pBPRS on medicines (3) Severe extrapyramidal side effects after pharmacological treatment Conculsion :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molecular biologically determined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s were reactive, and increased expression of dopamine receptor in peripheral lymphocyte had clinical significance for subgrouping and prognost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dopamine receptors of peripheral lymphocyte may represent dopamine receptors of the brain, even the location cannot be deter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