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생활 공동체 의식에 따른 코하우징 선호도

        곽유미,최정신,인숙,Kwak, Yu-Mi,Choi, Jung-Sin,Kwak, In-Sook 한국주거학회 2007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8 No.4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on preference of cohousing (eg. intention to spread and intention to move in cohousing) according to sense of community, especially in housing life by married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its outskirts.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a social survey. Respondents were 214 people by accidential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using frequency, mean, average,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Chi-square tes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respondents took part in interactive activities with colleagues from the same occupation. They Focused on the issues about health, leisure and hobby. The respondents mainly wanted to have interaction for changing recycling materials and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juveniles. Degree of ideal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they think, were greeting and chatting as well as communication about issues on child-care, education for children, offense-prevention and safety. Although respondents were interested in community life and in interaction with their neighbors, they did not build up communal society due to lack of a sense of belonging in their living areas. Whil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 about preference of cohousing,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intention to spread of cohousing and intention to move in cohous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tronger sense of community in housing life meant the more interests in thoughts to spread and to move in cohousing.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sense of community in cohousing, the plan of various communication programs that enables frequent interaction among neighbors is needed. Also, in order to spread cohousing in Korea, promotion of cohousing community and cognitions about it are the most needed.

      • 적정기술과 문제해결방법론·특허의 활용

        곽유미 한밭대학교 적정기술연구소 2016 적정기술 Vol.8 No.1

        적정기술 개발에 특별한 방법론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나, 그 개발 과정에 있어서 인간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 많은 이들이 동의한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현지에서 살고 있는 이들의 진정한 필요를 찾아낼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왔는데, 현지인들의 필요를 파악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그 필요를 어떻게 기술(혹은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민의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좁게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해결해야 하는 수많은 기술적 문제들부터 넓게는 현지인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이 부재하다는 사실 그 자체까지, 적정기술 개발 과정은 문제 해결의 연속이다. 문제 해결 영역에 있어서 우리가 갖고 있는 도구는 다양하다. 선진국의 기술 발전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거쳐 수립된 문제해결방법론, 그리고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된 기술 문헌들은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도구이다. 적정기술과 일반적인 기술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만큼, 우리는 우리가 갖고 있는 이 도구들을 잘 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우리가 가진 도구들을 현지인들과 공유함으로써, 그들이 적정기술 개발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자기제시 동기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다매개효과

        곽유미 ( Yumi Kwak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5 人間理解 Vol.3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애와 우울 간 관계에서 자기제시 동기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외현적 자기애 척도, 자기제시 동기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질문지,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래핑을 적용하여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내현적 자기애든 외현적 자기애든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자기제시동기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자기제시 동기에 서 우울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아 자기제시 동기는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이는 자기애 성향자들의 자기제시 동기가 단독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을 통해서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을 호소하는 자기애 성향의 대학생 내담자들이 우울을 극복하도록 돕는 상담의 과정에서 자기제시 동기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감소시키는 다각적인 개입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 between narcissism and depression. A total of 389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Covert Narcissism Scale (CNS),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NPI), the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Scale (SPMS),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CERQ),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Correlational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Results revealed that the mediated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overt/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addressing the issues of narciss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hile counseling depressed college students.

      • KCI등재후보

        다문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과 태도 연구

        곽유미(Yumi Kwak),김신(Shin Kim),박진수(Jinsu Park),장윤석(Yunseok Jang),윤혜영(Hyeyoung Yoon),홍성희(Seonghee Hong)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다문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태도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139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 척도, 다문화 태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증,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 수준은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을 비교한 결과,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인식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다문화 태도의 하위요인 중 개방과 수용, 실천 의지에서, 다문화 인식의 하위 요인 중 다문화 수용성에서 차이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인식의 다문화 태도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다문화 태도 총 변화량의 74%가 다문화 인식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에 대해 학생들이 갖는 인식이 다문화에 대한 태도를 결정한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 확장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폭넓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nd the Multicultural Awareness Scale for Adolescents were administered to one-hundred thirty-nine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 10 and 11 located in Jeollanam-do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to be more positive on above average. Second, the multicultural at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measured variables of the multicultural awareness. Third, analyses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level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awareness showed that females were higher than males in ‘openness and acceptance’, ‘commitmen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Fourth,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74% of the total variation of multicultural attitude was explained by multicultural awareness. This resul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attitude depends upon multicultural awareness. Thus, it will be necessary to implement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Multivariate Characterization of Common and Durum Wheat Collections Grown in Korea using Agro-Morphological Traits

        전영아,순화,유미,윤혜명,신명재,천호선,최시은,모영준,강천식,Kebede Taye Desta 한국작물학회 2023 한국작물학회지 Vol.68 No.4

        Developing improved wheat varieties is vital for global food security to meet the rising demand for food. Therefore, assessing the genetic diversity across wheat genotypes is crucial. This study examined the diversity of 168 durum wheat and 47 common wheat collections from 54 different countries using twelve agro-morphological parameters. Geumgang, a prominent Korean common wheat variety, was used as a control.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gronomical characteristics showed wide variations. Most durum wheats were shown to possess dense spikes (90%), while common wheats showed dense (40%) or loose (38%) spikes, with yellowish-white being the dominant spike color. The majority of the accessions were awned regardless of wheat type, yellowish-white being the main awn color. White or red kernels were produced, with white kernels dominating in both common (74%) and durum (79%) wheats. Days to heading (DH) and days to maturity (DM) were in the ranges of 166–215 and 208–250 days, respectively, while the culm length (CL), spike length (SL), and awn length (AL) were in the ranges of 53.67–163, 5.33–18.67, and 0.50–19.00 cm, respectively. Durum wheats possessed the shortest average DH, DM, and SL, while common wheat had the longest CL and AL (p < 0.05). Common wheats also exhibited the highest average one-thousand-kernel weight.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id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grouped the population into seven cluste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quantitative variables (p < 0.05). In conclusion, this research revealed diversity among common and durum wheat genotypes. Notably, 26 durum wheat and 17 common wheat accessions outperformed the control, offering the potential for developing early-maturing, high-yielding, and lodging-resistant wheat varieties.

      • 인터넷 쇼핑몰 이용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지역 소비자를 중심으로

        노채영,곽유미,조혜정 목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0 생활과학논집 Vol.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s on consumers in Kwangju and Chonman. We analyzed consumer's purchasing merchandise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s and the consumer's needs. We also analyzed the satisfaction factors which affect on internet shopping malls users and analyzed consumer fraud and problems about the internet shopping malls. Th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umers were dissatisfied with internet shopping malls in the point of the lack of goods marking and information outflow. Second, consumers used the internet shopping malls because of the low price. Third, consumer fraud and problems about the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not a lot, but the kinds of them were many.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통제적 양육행동과 공격성의 관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

        신현숙,곽유미,김선미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adolescents’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 aggression. Nine-hundred fifty-seven high school students in Grade 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scale, the K-CES-D scale, the impulsivity scale, and the reactive proactive aggressio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test the goodness of fit of the mediation models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s’ aggression is mediated by their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Bootstrapping procedure was applied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control affects adolescents’ aggression through either the mediation of depression or that of dysfunctional impulsivity. More importantly, parental control affected adolescents’ depression, which in turn influenced dysfunctional impulsivity, which eventually affected aggression. Furthermore, even when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were taken into account as mediators,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control on adolescents’ aggress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upport an integrative framework delineating the role of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impulsivity as multiple mediators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parental control affects adolescents’ aggression. The results also imply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both direct and indirect services in school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prevention for aggressive adolescent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남녀 고등학생 957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 질문지, 한국판 우울증 척도(K-CES-D), 충동성 척도, 반응적-선제적 공격성 질문지(RPAQ)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통해,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적용하여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공격성 간 관계에서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을 매개로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로 공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우울이 역기능적 충동성에 영향을 미쳐서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도 유의하였다. 넷째,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더라도,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변수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검증했던 한계를 보완하여, 부모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에 관련지어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기 공격성에 대한 통제적 양육행동의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우울과 역기능적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다는 결과는 공격적인 청소년을 위한 학교심리 개입과 예방에서 부모자문의 간접 서비스와 청소년 대상의 직접 서비스를 병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의복의 색상에 따른 시각적 출혈량 추정값의 정확도와 주관적 응급도의 차이 비교 : 출혈모의환자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

        박시은,곽유미 사단법인 한국응급구조학회 2020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visual blood loss estimation and subjective emergency according to clothing color. Methods: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which involved the use of mock bleeding patients wearing different colors tops. Results: Differences in visual estimates according to clothing color were significant in both paramedic students (F=6.69, p=.002) and the general department students (F=20.92, p=.000). When looking specifically at the accuracy of visual estimates, the paramedic students group tended to underestimate (50% white, 62.5% black, 32.5% yellow) the actual blood volume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department group tended to overestimation (45% white, 40% black, 67.5% yellow). The subjective emergency was also found to differ between paramedic students (F=13.58, p=.000) and general department students (F=9.67, p=.000). Conclusion: Paramedics treating bleeding patients at pre-hospital stages need to pay attention to blood loss estimations depending on clothing color, a factor not to be neglected or underestim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