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진도 지역어의 비모음화 재고

        강희숙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91

        이 글은 국어 비모음화의 방언지리학적 분포 및 분화 양상의 윤곽이 아직도 뚜렷하지 않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전남의 서남부 지역어에 해당하는 진도 지역어의 비모음화 양상을 재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해당 방언의 실체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자료가 새롭게 확보되고, 그러한 자료에서 비모음화 같은 음운론적 특성이 기존의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향에서의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기존 연구, 예컨대 강희숙(1996)에서는 진도 지역어의 경우, 비모음화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ㄴ’에 의한 비모음화만, 그것도 ‘어근+접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어의 파생 층위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형태소 내부에서만 실현된다는 기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기갑(2009)에 반영된 진도 지역어 비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 지역어에서 실현되는 ‘ㄴ’에 의한 비모음화는 질적인 차원에서 볼 때 경상도 방언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상당히 활발하게 실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ㅇ’에 의한 비모음화는 형태소 내부에서만 실현되되, ‘ㄴ’에 의한 비모음화와 동일하게 후행모음이 ‘i’나 ‘j’를 조건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진도 지역어에서는 모음 ‘ㅣ’와 ‘j’계 이중모음 앞이라는 제한된 환경에서이긴 하지만 ‘ㄴ’에 의한 비모음화와 함께 ‘ㅇ’에 의한 비모음화가 둘 다 실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언어적 사실은 국어 비모음화의 개신과 지리적 분포 및 확산 양상에 대해 좀 더 정밀한 관찰과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장흥 방언의 모음 조화

        강희숙 대한언어학회 1996 언어학 Vol.4 No.-

        Kang Hilisuk. 1996. The Vowel Harmony of Changhtling Dialect. Linguistics 4, 1-2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e vowel harmony occurring between verb stem and the ‘-a/a’ X ending and this basis is used to expla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vowel harmony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 in Changhtling Dialect. The cases that the vowel of stem-final syllable has the light harmonic feature and the ending becomes '‘-a X’ are: First, when the vowel final syllable of the stem is /o/. Second, when the vowel of the stem-final syllable is an open-syllable stem with /a/. Third, in specific cases when the vowel of the stem-final syllable /σ/. Finally, the stem of p(ㅂ) -irregular verbs. That the phonetic ending ‘- X’ follows the vowel of the stem-final syllable corresponds to almost all vowels except for the case that is followed by ‘-a X’ ending. That is to say, when the vowel of the final syllable is a closed syllable with /a/ and the vowel is the stem with / , u, E, o‥,u‥, i, i/, V, the ending is changed to ‘- X’. This aspect coincides with the fact that the vowel hammy of Korean language is developing toward the dark vowel. This is shown by the examples when the vowel of the final syllable is changed to the stem of closed syllables and when the conventional neutral vowel /i/ is clanged to the dark vowelizing. (Chosun University)

      • KCI등재후보

        김용택 시어의 방언 문법론

        강희숙 우리말글학회 2003 우리말 글 Vol.28 No.-

        This study aims to observe and analyze dialectal characteristics of poetic words in the Kim Yongtaek’s Poetry.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 discovered that the principal property of Kim Yongtaek’s Poetry is realism and it is embodied by means of the strengthening of narration and the insurance of narrative distance. Secondly, I discovered that such syntactic components as honorific expressions, conjunctive endings, auxiliary verbs and particles, etc. that are observed in the Kim Yongtaek’s Poetry reveal the vernacular of Jeonbuk Are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이코드라마에 의한 학대받는 아내들의 자존감과 결혼만족도 효과

        강희숙,이진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6 No.1

        가정폭력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남편의 폭력으로 부터 학대받는 여성 에 대한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도 1999년에 23개소에서 2006년 59개소로 증가 되었다(여성가족부, 2007).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에 입소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48.2%가 한 달에 1회 이상의 신체적인 폭력을 당하며(김선 아․김소야지․남경아․박정화․이현화, 2003), 부부들의 동거기간은 10년 이상 인 경우가 72.8%로 나타났고, 남편의 첫 폭력시기가 결혼한 지 6개월 미만이 42.9%, 6개월~1년 사이가 25.5%로 나타나 결혼 초기부터 폭력이 높은 것을 나타 났다(김재엽·이서원·남석인, 2007). 남편의 아내학대 원인은 남성의 가부장적 성 역할 태도, 스트레스, 자기 통제력의 저하, 알코올중독 등 다양하다. 학대받는 아 내들의 피해는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 신체적 손상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심리상태, 자존감의 저하,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양한 심리적 피해가 있으며(김광일, 1985; 여성가족부, 2007), 심지어는 물질남용, 만 성적 고통, 자살행동 등이 가해자 남성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강호선, 2008). 이 들의 회복을 돕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조정하고, 창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 어주며,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 속에서 대인관계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Herman, 2007). 미국은 1970년대부터 학대받는 아내들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되어왔으며, 이는 주로 개인 내적인 요인과 지지에 초점을 두고 진행 되었다(여성가족부, 2005a). 국외에서 연구된 학대받는 아내들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모델은 여성주의적 모델, Claerhout와 그 동료들(1982)에 의한 문제해결기술 ...

      • KCI등재

        네트노그라피를 이용한 공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확산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사례를 중심으로 -

        강희숙,윤인환,이희상,Kang, Heesuk,Yoon, Inhwan,Lee, Heesan Daehan Academ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개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이하 OSS)가 운영 기간 내 주변의 행위자들과 관계를 수립하는 동안 OSS의 개발 및 확산 패턴을 확인하는 것으로, OSS 참여자들의 변화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OSS 통과시간을 기반으로 그 변화 양상을 추적할 수 있는 온라인 데이터와 네트노그라피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OSS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인 jQuery, MooTools, YUI 등 이상 세 가지 사례에 대하여 블로그, 웹 서치와 함께 GitHub 공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SS 변형 과정의 변화 패턴을 분류하기 위하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전환(translation) 과정을 적용하였으며, 관찰된 OSS 변형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젝트 개시' 단계에서 소스 코드, 프로젝트 책임자 및 관계자, 내부 참여자 등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OSS 관련 행위자들을 확인하였고, 그들 사이의 관계성을 개념화 하였다. 이후 프로젝트 책임자가 최초로 프로젝트를 착수하는 '프로젝트 성장' 단계는 관계자들에 의해 소스 코드가 유지 보수되는 과정을 통해 개선된다. 마지막으로 OSS는 홍보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의 관찰기를 갖고, 소스 코드 사용을 통해 학습기를 거친 사용자가 본격적으로 등장함으로써 '참여자의 도약' 단계로 진입한다. 이 시기에는 기업과 외부 관계자들도 출현하는 모습도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OSS 참여자들이 OSS를 선택하는데 있어 홍보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OSS의 급속한 개발속도가 오히려 참여자의 출현을 지연시키는 구축 효과(crowding-out effec)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토대로 주요 OSS 사례를 네트노그라피를 활용하여 종단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OSS의 발전 과정을 일반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으며, OSS가 지배적인 위치에 오르기 위한 단계별 영향 요인, 세부적인 변화 양상 등을 확인함으로써 OSS 개발자와 관리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spread pattern of open source software (OSS) while establishing relations with surrounding actors during its operation peri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 of participants in the OSS, we use a netnography on the basis of online data, which can trace the change patterns of the OSS depending on the passage of time. For this, the cases of three OSSs (e.g. jQuery, MooTools, and YUI), which are JavaScript frameworks, were compared, and the corresponding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of GitHub as well as blog and web searches. This research utilizes the translation process of the actor-network theory to categorize the stages of the change patterns on the OSS translation process. In the project commencement stage, we identified the type of three different OSS-related actors and defined associated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eriod, when a master commences a project at first, is refined through the course for the maintenance of source codes with persons concerned (i.e. project growth stage). Thereafter, the period when the users have gone through the observation and learning period by being exposed to promotion activities and codes usage respectively, and becoming to active participants, is regarded as the 'leap of participants' stage. Our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motion processes in participants' selection of the OSS for participation and confirm the crowding-out effect that the rapid speed of OSS development retarded the emergence of participants.

      • KCI등재

        한국어 경음화의 실현 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강희숙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7 No.-

        This study aims to present educational directions of Korean pronunciation based on sociolinguistic analysis of the realization of tensification, Chinese learners have experienced in learning Korea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tensification of sounds presented in Section 23 through 28 in the <Standard Pronunciation> included in Part 2 of the 『Regulations on Standard Language』 into seven and examined the aspects of actual pronunciation by Chinese learners in reference to factors of fluency levels of Korean language, gender, and speech style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the seven types of tensification had low realization rate of 25.1% at a maximum and 8.9% at a minimum. Second, the types with low realization of tensification in ways of talking words or reading sentences were the following three: free nouns of two syllables are attached after ‘-ㄹ’ , a determinant-type ending; interposition of ‘ㅅ’ ; and tensification of endings of /ㄱ, ㄷ, ㅅ, ㅈ/ following after /ㄴ, ㅁ/, conjugated verbal stems of inflected words. Third, in respect to learners’ fluency in Korean language, there was little correlation between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the realization rate, which indicates an absence of pronunciation education or fossilization of pronunciation errors. Fourth, in respect to the gender of the learners, fe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rate of tensification realization than male counterparts, which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ensification rate according to gender.

      • KCI등재

        이혼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부부갈등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강희숙,양정옥 한국가족치료학회 2012 가족과 가족치료 Vol.20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arital conflict process of Korean couples experiencing divorce crises.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utilized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5 married men and women in early 2010. Results: Using open coding, the researchers identified 172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identified was “loss of the meaning of life,” triggered by “absence of self-control,” “family conflict,” and “marital conflict.” The core category was defined as go forward from a meaningless life to a new life. Conclusions: Theoretically, the process of marital conflict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structural and temporal dimensions. 본 연구는 이혼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부부갈등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기혼남녀 15명으로 2010년 1월부터 4월까지 S시에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172개의 개념, 39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혼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부부갈등에 대한 중심현상은 ‘삶의 의미 상실’로 분석되었으며, 인과적 조건은 ‘자기절제력 부재’, ‘가족갈등’, ‘부부갈등’ 등 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부부갈등 은폐’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자기합리화’, ‘자녀에 대한 책임감’, ‘인식전환’, ‘지지’, ‘상담’ 등 이었으며, 상호작용전략은 ‘절망’, ‘인정’, ‘자각’, ‘회복’ 등이었고, 결과는 ‘화합’, ‘합의’, ‘거부’ 등이었다. 이혼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부부갈등과정은 갈등태동단계, 삶의 의미상실단계, 갈등은폐단계, 인정단계, 회복단계 등 5단계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는 ‘무의미한 삶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상을 향해 나아가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 대한 유형은 ‘화합형’과 ‘협의형’, ‘거부형’ 등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이혼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부부갈등과정을 구조적 및 시간적 차원에서 조망하여 부부갈등과정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