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직무발명에 있어서의 국제재판관할 및 준거법 - 대법원ㅤ2015. 1. 15.ㅤ선고ㅤ2012다4763ㅤ판결 -

        강명수1 ( Kang Myung-soo )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9

        직무발명은 사용자와 종업원 사이의 권리관계이면서 통상실시권 설정이나 권리 승계에 대해 법에서 규정을 두고 있는데, 외국에서의 특허받을 권리도 승계 대상에 포함 되는지 또는 종업원이 외국에서 특허권을 설정등록받는 경우 사용자가 등록국에서도 통상실시권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이 없다. 속지주의 원칙상 외국에서의 권리관계에 대해서는 등록국의 법에 따라야 하겠지만 직무발명에 관한 법률관계를 통일적으로 취급할 필요성을 고려해 볼 때 직무발명이 완성된 국가법에 따를 필요성도 부인할 수 없다. 대상 판결은 국내의 직무발명을 종업원이 외국에서 출원하여 등록받는 경우 사용자가 등록국에서도 통상실시권을 갖는지의 문제와 관련하여 국제사법 제2조에 따라 당사자 및 분쟁이 된 사안은 대한민국과 실질적인 관련성이 있어 대한민국 법원이 국제재판관할권을 가진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이에 적용될 준거법은 분쟁 발생의 기초가 된 근로계약에 관한 준거법으로서 국제사법 제28조 제1항, 제2항 등에 따라 정하여지는 법률로서 직무발명 완성 당시의 특허법이라고 하면서 직무발명에 기초하여 외국에서 특허권을 등록받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우리나라 법에 따라 통상실시권을 갖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이와 같이 직무발명에 관한 섭외적 법률관계에서의 국제재판관할 및 준거법 결정 기준을 제시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고, 또한 외국에서의 특허권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통상실시권을 가진다는 점도 분명히 하였는데 다만 이 부분 판단에 대해서는 속지주의에 따른 법 적용 한계의 문제와 어떻게 조화로운 해석을 해 나갈 것인지의 문제를 남긴 것으로 볼 것이다. Work-for-hire is a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employee for which the grant of non-exclusive licenses and the succession of rights is regulated by law. However, there is no law on whether the rights to obtain a patent overseas is also included in a succession or whether employers have a right to non-exclusive license in a foreign country if their employee was granted a patent in that foreign country. According to the territorial principle, the legal relationships in a foreign country should follow the respective legal system in that particular foreign country but when considering the necessity to approach legal relations on work-for-hire in an integrated manner, the need to observe the laws in which the act of work-for-hire was completed is also undeniable. The judgment in question rul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international jurisdiction over a case in which an employee registered a patent overseas and there was a dispute on whether the employer had rights to non-exclusive use in that foreign country based on Article 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Act as the case itself and parties to the dispute had substantial relevance to the Republic of Korea. Moreover, the judgment ruled that the governing law for the dispute should be the Korean Patent Act at the time of the completion of the employe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28, Paragraphs 1 and 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Act. The judgment went on to make it clear that when an employee registers a patent overseas based on an invention related to one`s duties, then the employer also has rights to non-exclusive use in that country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Korean law. This ruling is significant as it has presented standards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and governing laws for international legal issues arising from employee invention disputes. It has also clarified that the employer has a right to non-exclusive use overseas for work-for-hire registered overseas. However, there remains the problem on how to harmonize such legal interpretation with the realistic limits in applying them arising from territorial principle grounds.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 인공지반 대형교목 식재 개선방안

        강명수,김남정,Kang, Myung-Soo,Kim, Nam-Jung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5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6 No.4

        아파트 단지 내 대형교목은 공동주택 외부환경의 질적 수준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이것은 단지의 랜드 마크적 활용 및 공간 상징성 제고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대형교목의 식재는 높은 유지관리비용 및 하자의 발생으로 오히려 외부환경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인공지반에 식재되는 대형 교목을 대상으로, 식재실태를 분석하여 대형교목의 식재 개선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개 대상지의 대형교목(R20이상) 총 265주를 대상으로, 조경설계계획 및 현장설계 변경사항, 그리고 준공실태를 관련 설계도서 및 현장 조사를 기반으로 식재 현황 및 최소 생육 토심, 추가 토심조치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동주택의 대형교목 조경설계는 85% 심근성 수종으로 평균 R35의 대형교목이 인공지반에 식재되고, 평균 65cm 최소 생육 토심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현장설계변경은 주로 R30과 R40의 특정 규격에 한정된 검토가 이루어지고, 부족 토심에 대한 추가계획 등은 수반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추가 토심 확보방안으로 85%가 마운딩으로 조치하였으나, 만족율은 10%내외로 매우 낮아, 조치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대형 교목의 규격과 뿌리근 특성 이외에, 식재 입지선정이 최소 생육 토심 확보에 주요한 요인임을 지적하고, 식재계획 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Large trees in the apartment complex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decide the quality of external environment. They are planted with the object of utilizing themselves as a landmark of the complex and enhancing space symbolism. Since planting large trees would require high maintenance costs and generate defect, it would cause decline in quality of external environment. This study researches on large trees in artificial ground of the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analyzes actual condition of planting and tries to provide improvement direction of planting.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three target areas (over R30) and 265 trees are selected. Based o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plan of landscape design, changes of field design, actual condition of completion, present condition of planting,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and types of extra action for soil depth. The result shows that 85% of drawings and specifications for large trees in the apartment complex are deep-rooted tree species. On average large trees with R 35 are planted in artificial ground and there is lack of on average 65cm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Reviewing changes of field design is conducted in such limited size as mainly R30 and R40 and there is no extra plan for lack of soil depth. The plan for securing additional soil depth is done by 85% of mounding. However, since there is only 10% of satisfaction, the inappropriateness in securing additional soil is pointed out. This research also points out that the size of large trees, root characteristics and location-allocation for planting are pivotal factors for securing minimum soil depth of growth and development. This research also provides improvement direction in case of planning planting.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대규모 지하통합주차장을 갖는 공동주택 인공식재지반 토양품질 개선방안

        강명수,이은엽,이정민,김미나,Kang, Myung-Soo,Lee, Eun-Yeob,Lee, Jung-Min,Kim, Mi-Na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5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6 No.1

        공동주택 아파트의 조경공간이 변화하고 있다. 지하주차장 조성 면적이 증가하면서 자연지반 면적이 감소되었다. 그 결과 단지 대부분의 조경공간이 인공지반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주택 식재공간의 현재 토양품질 실태를 분석하여 단지 내 조경공간의 토양품질 관리를 위한 시사점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토양반입형태가 상이한 3개 사업지구 대상으로 총 17개의 물리성 및 화학성 항목을 조사하여 현 토양품질수준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통계분석(T-test 검증)을 수행하여 지반특성별과 공정주체별 토양 품질의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규모 지하통합주차장을 갖는 공동주택 단지의 토양수준은 인공토양 식재기준과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가시적 판단이 용이한 물리성은 양호하나 화학성 품질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동주택 지반특성별 토양 품질과 담당공종별 토양 품질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유의수준 5%). 일반적으로 인공지반보다 자연지반의 식재환경이 양호하다는 인식이지만 실제 분석결과 토양품질에 있어서는 자연지반의 토양이 인공지반 토양 품질수준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자연지반 토양에 대한 관리기준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종별 담당부서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수준의 토양이 반입되고 있는 점은 바람직하나 그 토양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품질제고를 위한 관리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Most landscape areas in apartment complex have been changing. Increasing the area of underground parking lots have an effect on apartment's circumstance. Natural ground was decreased so that the most space in apartment complex were converted into an artificial ground. To suggest the soil quality manag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about the soil quality of planting ground such as the quality standard as artificial soil, the difference of natural ground, and the difference of soil quality according to the work classification. As a result, the soil quality of the apartment complex with a large underground parking lot had low quality of soil.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relatively fine but soil chemical properties needed the quality control. The soil quality of natural ground and artificial grou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soil quality by the work classification also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we established improvements about standards of the chemical properties for quality management, the soil quality in the natural ground and applying the equivalent standard according to the work classification.

      • KCI등재

        시간민감성분석을 활용한 프리미엄 아웃렛의 시장권역에 대한 연구

        강명수(Kang, Myung-Soo),신종칠(Shin, Jong-Chil) 한국지역개발학회 201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3 No.1

        With the maturity of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many Korean retail companies have an interest in developing outlet shopping centers such as Yeoju Premium Outlet. To develop a successful outlet shopping center, developers should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ket area for outlet shopping center. Market area is the geographic area from which a retail property consistently draws most of its customers. The boundaries of the market areas are determined by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type and size of the shopping center, automobile and transit access, physical barriers, location of competing retail scheme,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ket area for outlet shopping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because shoppers tend to choose shopping center based on the time they have to travel to shopping center. This study analyzes market area for outlet shopping center by using time sensitivity measurement(TSM). Wit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finds out the expected travel time for outlet shopping center is 52.2 minutes and the average time considered to be too long is 129.98 minutes. The indifference point(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thought it was short was equal to the percentage who thought it was long) is 66.7 minutes. The optimal point(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thought it was too short was equal to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thought it was too long) is 67.3 minute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wheth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have an impact on time preference.

      • KCI등재

        전직금지의무에 관한 소고

        강명수(Kang, Myung-Soo)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東亞法學 Vol.- No.70

        근로관계 종료 후 경쟁업체로의 이직이나 기존 근로관계에서 담당했던 업무와의 동종업무 취급을 제한하는 것이 전직금지의무 또는 경업금지의무이며, 부정경쟁방지법이나 근로기준법 분야에서 여러 차례 연구가 되어 온 주제이다. 그런데 정작 경쟁업체로의 이직 자체를 금지하는 전직금지와 경쟁업무취급을 제한하는 경업금지의 구분조차 명확하지 않고 이를 통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업원에게 미치는 직업선택의 자유에 대한 제한 정도를 고려해 볼 때 두 개념은 명확히 구분되어야 하고, 이를 전제로 전직금지 또는 경업금지의 요건 및 허용범위 등에 대한 검토가 되어야 한다. 경업금지보다 전직금지의 요건이나 허용범위를 보다 엄격히 한정해야 하는데, 기존 연구들에서 이에 대한 분석틀이 제공되지 못한 점이 있어서 판례를 통한 일응의 기준을 예측할 수 있을 뿐인데 향후에는 보다 세밀한 분석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직금지등 약정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영업비밀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한 요건하에서 전직금지등 의무를 인정하고 있는데, 명시적인 약정이 있는 경우와의 차별화가 두드러지지 못하고 있다. 즉, 두 경우 모두 사용자의 영업비밀을 보호하기 위해 전직금지등이 인정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종업원이 사용자와 명시적으로 전직금지등 약정을 한 경우와 그러한 약정을 하지 않은 경우 종업원이 부담하게 될 전직금지등 의무는 분명히 차이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약정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전직금지등 허용범위 및 그 요건 등 구체적인 차이를 어떻게 규정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연구와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전직금지등 약정에 대해서는 약정의 존재에 대한 엄격한 입증의 요구, 약정의 유효성, 적용배제 기준 등을 찾아보고 위반의 효과에 있어 전직금지와 경업금지를 나누어 고찰하고 손해액 입증을 위한 손해배상액 약정의 효력을 긍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전직금지등에 대한 일반적인 체계를 정립해 나가야 한다. Prohibition of competitive transaction or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prohibit managers or workers cannot work for competing companies in same or similar business field or for same or similar task after termination of contract of service. That has been a subject of studies i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and LABOR STANDARDS ACT. However, there is no clear division between prohibition of taking job on competing companies and prohibition of dealing with same or similar tasks, and those two terms are commonly used. Two terms should be clearly divided since those terms restrict workers in consideration of freedom of occupation. Based on that, requirement and tolerance range of prohibition of competitive transaction or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should be studied. Requirement or tolerance range of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compared to those of prohibition of competitive transaction should be strictly limited. Since previous studies were not able to give a detailed analysis for those requirement or tolerance range, it is necessary to study properly to give a detailed analysis for those requirement or tolerance range to apply prima facie standard given by precedents. In addition,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is accepted under certain conditions even though there is no contract of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to protect trade secret of business. therefore, there is no difference whether there is contract of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or not. In other words,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is accepted to protect trade secret of business whether there is contract of prohibition or not. However, there should be differentiated between there is contract of prohibition and there is no contract of it since that decides whether obligation duty can apply to workers or not. Thus, there should be studies and researches to define specific differences in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based on whether there is contract of prohibition or not. In addition, about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demand strict proof of existence of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to investigate effectiveness of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and to find standard on exclusion of appli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effectiveness of breaching the prohibition between prohibition of competitive transaction and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and to affirm the contract which is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breaching the prohibition. Based on this, we should establish general system of prohibition of taking jobs on competing companies.

      • 직무발명에 있어서의 국제재판관할 및 준거법 - 대법원ㅤ2015. 1. 15.ㅤ선고ㅤ2012다4763ㅤ판결 -

        강명수 ( Kang Myung-soo ) 법조협회 2016 최신판례분석 Vol.65 No.9

        직무발명은 사용자와 종업원 사이의 권리관계이면서 통상실시권 설정이나 권리 승계에 대해 법에서 규정을 두고 있는데, 외국에서의 특허받을 권리도 승계 대상에 포함 되는지 또는 종업원이 외국에서 특허권을 설정등록받는 경우 사용자가 등록국에서도 통상실시권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정이 없다. 속지주의 원칙상 외국에서의 권리관계에 대해서는 등록국의 법에 따라야 하겠지만 직무발명에 관한 법률관계를 통일적으로 취급할 필요성을 고려해 볼 때 직무발명이 완성된 국가법에 따를 필요성도 부인할 수 없다. 대상 판결은 국내의 직무발명을 종업원이 외국에서 출원하여 등록받는 경우 사용자가 등록국에서도 통상실시권을 갖는지의 문제와 관련하여 국제사법 제2조에 따라 당사자 및 분쟁이 된 사안은 대한민국과 실질적인 관련성이 있어 대한민국 법원이 국제재판관할권을 가진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이에 적용될 준거법은 분쟁 발생의 기초가 된 근로계약에 관한 준거법으로서 국제사법 제28조 제1항, 제2항 등에 따라 정하여지는 법률로서 직무발명 완성 당시의 특허법이라고 하면서 직무발명에 기초하여 외국에서 특허권을 등록받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우리나라 법에 따라 통상실시권을 갖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이와 같이 직무발명에 관한 섭외적 법률관계에서의 국제재판관할 및 준거법 결정 기준을 제시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고, 또한 외국에서의 특허권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통상실시권을 가진다는 점도 분명히 하였는데 다만 이 부분 판단에 대해서는 속지주의에 따른 법 적용 한계의 문제와 어떻게 조화로운 해석을 해 나갈 것인지의 문제를 남긴 것으로 볼 것이다. Work-for-hire is a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employee for which the grant of non-exclusive licenses and the succession of rights is regulated by law. However, there is no law on whether the rights to obtain a patent overseas is also included in a succession or whether employers have a right to non-exclusive license in a foreign country if their employee was granted a patent in that foreign country. According to the territorial principle, the legal relationships in a foreign country should follow the respective legal system in that particular foreign country but when considering the necessity to approach legal relations on work-for-hire in an integrated manner, the need to observe the laws in which the act of work-for-hire was completed is also undeniable. The judgment in question ruled that the Republic of Korea had international jurisdiction over a case in which an employee registered a patent overseas and there was a dispute on whether the employer had rights to non-exclusive use in that foreign country based on Article 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Act as the case itself and parties to the dispute had substantial relevance to the Republic of Korea. Moreover, the judgment ruled that the governing law for the dispute should be the Korean Patent Act at the time of the completion of the employe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28, Paragraphs 1 and 2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Act. The judgment went on to make it clear that when an employee registers a patent overseas based on an invention related to one`s duties, then the employer also has rights to non-exclusive use in that country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Korean law. This ruling is significant as it has presented standards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and governing laws for international legal issues arising from employee invention disputes. It has also clarified that the employer has a right to non-exclusive use overseas for work-for-hire registered overseas. However, there remains the problem on how to harmonize such legal interpretation with the realistic limits in applying them arising from territorial principle grounds.

      • 시간민감성분석을 활용한 프리미엄 아웃렛의 시장권역에 대한 연구

        강명수(Kang, Myung Soo),신종칠(Shin, Jong Chil)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1 Working Paper Series Vol.11 No.14

        With the maturity of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many Korean retail companies have an interest in developing outlet shopping centers such as Yeoju Premium Outlet To develop a successful outlet shopping center, developers should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de area for outlet shopping center. Trade area is the geographic area from which a retail property consistently draws most of its customers. The boundaries of the trade areas are determined by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type and size of the shopping center, automobile and transit access, physical barriers, location of competing retail scheme,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de area for outlet shopping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because shoppers tend to choose shopping center based on the time they have to travel to shopping center, This study analyzes trade area for outlet shopping center by using time sensitivity measurement (TIM). Wit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finds out the expected travel time for outlet shopping center is 52.2 minutes and the average time considered to be toe long is 129.98 minutes. The indifference point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thought it was short was equal to the percentage who thought it was long) is 66.7 minutes. The optimal point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thought it was too short was equal to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thought it was too long) is 67.3 minute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wheth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have an impact on time preferences.

      • 현장 초음파 데이터 기반 장대레일 중립온도 평가 기술 개발

        강명수 ( Kang Myung Soo ),이창길 ( Azad Ali ),안윤규 ( Lee Changgil ),( An Yun-ky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1

        장대레일은 최대 수 km까지 열팽창 조인트 없이 연속적으로 용접한 레일로, 온도 및 응력 변화에 따른 좌굴 및 파단에 매우 취약하다. 이에 따라 레일에 누적된 응력을 해소하여 레일의 열응력이 ‘0’이 되는 중립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매년 재설정 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나, 매년 증가하는 노후화 레일과 재설정 필요 유무를 알 수 있는 지표의 부재로 인해 유지 관리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 및 열응력에 따른 초음파의 전파특성을 기반으로 현장 레일의 재설정 작업 이후 초음파 데이터를 취득하여 레일의 중립온도를 추적 및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