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의 관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고민정,송미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sample of 642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ing a romantic relationships from Seoul, Daejeon, Busan, and Jeonju province w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study, scales such as Korean version of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ECRR-K),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Emotion Regulation Check list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xious attachment show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Also, avoidant attachment show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econd, the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avoidant-distr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discussed about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ed futur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시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대전 및 부산, 전주 지역에 위치한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학생 642명을 대상으로 친밀관계 경험 검사, 이성 관계 만족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 차원 수준이 높을수록 이성 관계에서의 만족감이 낮았으며,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애착 차원 수준이 높을수록 이성 관계에서의 만족감 역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역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이성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IT인력의 직무자율성과 과업상호의존성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과 직무성과 및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고민정,한주희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8

        The phenomenon of job crafting, defined as “the self‐initiated behaviors that employees take to shape, mold, and change their jobs”, has recently acquired considerable scholarly interest. We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job crafting. IT workforce is considered a key element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because information technology plays a pivotal role in recent business environments. Therefore, we focus on the IT workforce. <Figure 1> shows the research conceptual mode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from the 327 IT workforce’s survey data are as follows. First, job autonomy has significant effect on job crafting. It supports the basic assumption of Wrzesniewski and Dutton(2001), and means job autonomy not only promotes IT workforce to engage in job crafting activities, but also helps to recognize opportunities to try job crafting. Second, contrary to the prediction, task interdependence has significant effect on IT workforce’s job crafting. IT tasks are highly interdependent because tasks are often completed sequentially rather than starting and completing them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high task interdependence promotes close relationships between job managers. Because increasing job resource includes securing job resources through colleagues or superiors, IT workforce’s task interdependence might improve job crafting. Third, job craft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meaning of work and job performance. This result supports the several prior findings which means that job crafting could be one of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s as well as individual employee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ducing job demands as a control variable. Lichtenthaler and Fischbach(2019) and Lazazzara, Tims, and De Gennaro(2020) reported that the reducing job demand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meaning of work and job performance. However, we found that reducing job demand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itive meaning of work and job performance focusing on IT workforce. This result might derived from the Job characteristics of IT. Moreover,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IT workforce who are subjected to heavy workloads such as daily overtime work, reducing job demands to prevent emotional, mental, and physical exhaustion might be the key to maintaining work life beyond enhancing the meaning of work and improving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Particularly, task interdependence and decreasing job demand(as a control variable) shows contrary to the prediction, the novel findings a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남성 중심적 시선의 전복 연구: 조안나 퀸과 앨리슨 스노우덴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민정,김재웅 영상예술학회 2010 영상예술연구 Vol.0 No.16

        영국 애니메이션의 황금기라고 일컬어지는 1980년대 중반에서 1990년대 중반에이르는 기간 동안 여성 감독들에게 우호적인 환경이 마련되었다. 조안나 퀸(Joanna Quinn)과 앨리슨 스노우덴(Alison Snowden)은 이 시기에 활동을 시작했는데,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스노우덴의 <2급 우편>(Second Class Mail)이 1984년에, 퀸의 <걸즈 나잇 아웃>(Girls’ Night Out)이 1987년에 각각 수상했다. 이 두 작품은 남성 중심적 시선에 따른 여성 재현이라는 기존 관습을 전복하는데, 퀸과 스노우덴은 이후에도 90년대 중반까지 이와 비슷한 경향의 작품들을 제작했다. 존 버거와 로라 멀비의 지적처럼, 여성을 대상화하는 남성 중심적 시선은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사회에서 구조화된 시각양식이며 이것은 회화, 사진, 주류영화 뿐아니라 밥 고드프리(Bob Godfrey)와 텍스 에이버리(Tex Avery)와 같은 남성 감독의 애니메이션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조안나 퀸과 앨리슨 스노우덴은 밥 고드프리와 텍스 에이버리의 섹스 코미디를 패러디하여 기존의 회화와 애니메이션에서 재생산되던 남성 주체와 여성 대상이라는 관습을 전복한다. 여성 캐릭터들은 더 이상 성적 대상으로 머무르지 않고 스스로 욕망하는 주체이자 욕망을성취하기 위해 행동하는 존재로서 남성 캐릭터를 밀어내고 그의 행동을 그대로 재연한다. 반면 시선의 주체인 남성은 성적 대상으로 전락한다. 그러나 남녀의 역할 전도를 통한 남성 중심적 시선의 전복은 오히려 성적 이분법을 강화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 전복이라고 할 수 없다. 퀸과 스노우덴의시도는 남성적 시선에 반대되는 여성적 시선을 제시한다기보다는 이미 익숙하게몸에 배어 있어서 당연시하게 되는 기존 관습의 존재 자체를 깨닫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애니메이션은 다른 ‘진지한’ 예술들과 달리 관습을 깨고 변형시키는데서새로운 유머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배적 재현을 해체하는 것은 일종의 전략적 실천으로서 유머를 창조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 KCI등재

        移動する人々の自己評価と通時的管理 ―オーストラリアの韓国人移民の英語使用の事例を中心に―

        고민정 한국언어연구학회 2019 언어학연구 Vol.24 No.3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diachronic language management of language repertoire of Korean immigrants in Australia.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immigration background, acquisition of language used in the new country, and a person’s self-evaluation of current language usage. In addition, the influence that the diachronic management of immigrants had on social network participation in migrant communities, as identified in the self-evaluation, was analyzed and discussed. In particular,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mmigration experience and the self-evaluation of the Korean immigrants of their English ability and development of diachronic management. A comparis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evaluation of the Korean immigrants with the results of Muraoka’s (2017) investigation of Japanese immigrants in Australia was conducted. It has been inferred that by pursuing this further,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propose an analysis model regarding self-evaluation and diachronic management of language usage for the whole immigrant population, including Korean im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