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정영옥,장경윤,탁병주,강현영,서동엽,박선화,남진영,김구연,고호경,김진호,권나영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학연구 Vol.26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athematics curriculum among the United States, Singapore, England, Japan, Australia and Korea and offer suggestions to improv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in the future.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many aspects including mathematics education system, mathematics courses, mathematics contents, assessment syllabus for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construction principles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our suggestions for improving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re as follows: revising the contents of analysis, geometry, probability and statistics strands; organizing curriculum based on spiral construction principle;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to select mathematics courses according to students’career;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ir courses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수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학교 체계와 교육과정, 대학입학시험의 특징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내용 체계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외국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및 대학입학을 위한 평가 요목을 중심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수학 내용 요소, 이수 계열, 나선형 구성 방식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런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의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해석, 기하, 통계와 확률 영역에서의 내용 요소에 대한 재고. 나선형 구성 방식에 대한 재고, 개인의 진로에 대한 다양한 선택권과 평가에의 반영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정영옥,정유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학교수학 Vol.18 No.4

        This research analyzed proportional reasoning abilities of the 5th grade students who learned only the basis of ratio and rate and 6th grade students who also learned proportion and cross product strateg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oportional reasoning tests and the interviews, and then th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nd their proportional reaso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In the light of such analytical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the achievement scores. Secondly, both 5th and 6th graders are less familiar with the geometric, qualitative and comparisons tasks than the other tasks. Thirdly, not only 5th graders but also 6th graders used informal strategies much more than the formal strategy. Fourthly, some students can’t come up with other strategies than the cross product strategy. Finally, many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discerning proportional situation and non-proportional situation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ing proportional reasoning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s follows: focusing on letting students use their informal strategies fluently in geometric, qualitative, and comparisons tasks as well as algebraic, quantitative, and missing value tasks focusing on the concept of ratio and proportion instead of enforcing the formal strategy. 본 연구는 비와 비율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배운 5학년 학생들과 비례와 비례식 및 형식적인 전략까지 배운 6학년 학생들의 비례추론 능력을 비교 분석하고, 초등학교의 비례 추론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학년 131명과 6학년 138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과제로 구성된 비례 추론 검사를 실시하여 성취도와 전략을 분석하고, 일부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평균은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크지 않았고, 과제 유형별로는 5, 6학년 모두 기하 과제보다는 대수 과제, 질적 과제보다는 양적 과제, 비교 과제보다는 미지값 과제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5, 6학년 모두 형식적 전략보다는 인수 전략과 단위 비율 전략 같은 비형식적 전략을 훨씬 더 많이 사용하였고, 비례 상황과 비 비례 상황을 구분하는 데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비례 추론 지도를 위한 시사점으로 다양한 비례 추론 과제의 도입과 학생들의 유연한 전략의 중시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 지도에 관한 논의

        정영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에 해당하는 쌓기나무 단원과 관련된 공간 감각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핀란드, 네덜란드 교과서의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 관련 내용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 지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 감각의 의미와 하위 요인을 알아보고,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과 관련된 공간 감각의 하위 요인과 활동 예들을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핀란드, 네덜란드 교과서의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 지도 내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교과서 비교 분석 결과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 지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으로 교육과정에서 공간 감각 요인의 포괄적 제시와 학년간의 연속성, 공간 시각화뿐만 아니라 공간 방향의 포함, 정신적 회전과 정신적 변형의 강화, 정신적 차원 변형의 다양한 방법들의 비교, 다양한 현실적인 공간 상황과 공간 대상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sub-factors of spatial sense that can be contained in spatial sense of solid figure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offer suggestions to improve teaching spatial sense of solid figures in the future.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and sub-factors of spatial sense and the relations between spatial sense of solid figure and sub-factors of spatial sense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regarding various studies on spatial sense. Based on such examinatio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used in South Korea, Finland and the Netherlands with respect to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in grades, sub-factors of spatial sense, and realistic contexts for spatial sense of solid figure. In the light of suc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tical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ing spatial sense of solid figures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s follows: extending contents regarding spatial sense of solid figures 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considering continuity between grades in textbooks, emphasizing spatial orientation as well as spatial visualization, underlining not only construction with blocks but also mental activities in mental rotation and mental transformation, comparing strength and weakness of diverse plane representations of three dimensional objects, and utilizing various realistic situations and objects in spac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쌓기나무 단원 지도 방안 탐색-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서와 미국의 MiC 교과서 비교 -

        정영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7 No.2

        Spatial sense has recently received much attention in prim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t seems that a growing interest is due to the findings of many research studies. Those research findings report that the students who have good spatial sense reach higher mathematics achievement than those students having poor one. The studies also suggest that students' spatial sense can be improved through appropriate learning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of spatial sense,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started to include teaching of spatial sen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dactical background of building with block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ffective teaching that can be meaningful to students.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e present paper discusses the definition of spatial sense and the relations between spatial sense and building with blocks. It als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building with blocks and descriptive geometry. Subsequently,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ompare lesson units in the Korean textbooks with MiC lesson units of building with blocks with respect to spatial visualization, spatial orientation, spatial reasoning, and types of contexts. Finally, the study offers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ing building with block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providing problem situations to enhance spatial orientation ability, offering challenging problems for higher-order spatial reasoning with respect to building with blocks, providing students with diverse realistic contexts relating to the origin and application of descriptive geometry. ≫본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의 도형 영역에 새롭게 도입된 공간 감각 신장을 위한 쌓기나무 단원의 지도 의의를 탐색해 보고, 이러한 의의에 비추어 볼 때 쌓기나무 단원을 좀더 풍부하게 지도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쌓기나무 단원과 공간 감각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쌓기나무 단원은 이후의 수학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본 후에,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와 미국의 Mathematics in Context 교과서의 쌓기나무 관련 단원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쌓기나무 단원 지도에서 좀더 고려할 점들을 논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쌓기나무 단원 지도를 위해서는 공간 시각화 능력뿐만 아니라 공간 방향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내용을 다양하게 다루고, 이 단원을 통해 다룰 수 있는 좀더 도전적인 공간 추론 활동을 제공하며, 이 단원과 관련된 수학이 어떻게 발생되고 현재 어떻게 응용되는지와 관련해서 다양한 맥락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컨설팅 사례 : 자연수의 나눗셈 수업을 중심으로

        정영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교육논총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수업 컨설팅 모형을 개발하고, 수학 수업 평가 기 준과 더불어 수학 수업 분석틀을 마련하여, 이를 기초로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에 대한 컨설팅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수업 컨설팅 모형은 준비, 자료수집, 문제 분석, 반성적 실행, 평 가 단계로 설정하졌고, 수학 수업 평가 기준은 배경 지식, 내용, 목표, 방법, 평가의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하였고, 이를 구체화한 수학 수업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수학 수업 분석틀을 기초로 예비교사의 수학 수업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가 가 장 보완해야 할 부분은 가르칠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 학생들의 활동과 원리의 연결, 시 간 안배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경지식과 관련하여 수학 교과서의 내용을 연 결하여 활동의 여러 가지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이 가장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수학적 지식 구성의 사회적 인식론 고찰 : Steinbring의 인식론적 삼각혁을 중심으로

        정영옥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과학교육논총 Vol.25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meaning of construc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and to investigate the social epistemology that integrates social context based on semiology and personal context based on epistem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from a point of view of Steinbring. He argues that students’ construc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means an extension and a re-construction of the old knowledge context and contains not only personal construction but also social negotiation in students’ interaction of relations between sign/symbol and object/reference context. According to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analysed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mathematical relations between sign/symbol and object/reference contexts in classroom interaction with respect to division with decima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ed implications to mathematics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 SCOPUSKCI등재

        류마티스 관절염 병인에서 제2형 콜라겐에 대한 면역반응의 역할

        정영옥,홍승재,김호연,Jung, Young Ok,Hong, Seung-Jae,Kim, Ho-Youn 대한면역학회 2003 Immune Network Vol.3 No.1

        Type II collagen (CII), major component of hyaline cartilage, has been considered as an auto-antigen in rheumatoid arthritis (RA). However, the clinical and biological significances with regard to the CII autoimmunity need to be clarified in human RA. The presence of antibodies to CII has been identified in sera, synovial fluid, and cartilage of patients with RA. In our study, the increased titer of IgG anti-CII in sera was well correlated with C-reactive protein, suggesting that this antibody may reflect the inflammatory status of RA. The titer of anti-CII antibodies (anti-CII Abs) tended to be higher in early stages of diseases. In our extending study, among 997 patients with RA, 269 (27.0%) were positive for circulatory IgG antibody to CII, those levels were fluctuated over time. It is hard to assess the significant amount of T cell responses to CII and CII (255~274) in RA. By using a sensitive method of antigen specific mixed lymphocyte culture, we can detect the presence of CII-reactive T cells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RA patients. Sixty seven (46.9%) of 143 patients showed positive CII reactive T cell responses to CII or CII (255~274). The frequencies of CII reactive T cells were more prominent in inflamed synovial fluid (SF) than in peripheral blood. These T cells could be clonally expanded after consecutive stimulation of CII with feeding of autologous irradiated antigen presenting cells (APC). Moreover, the production of Th1-related cytokine, such as IFN-${\gamma}$, was strongly up-regulated by CII reactive T cells. These data suggest that T cells responding to CII, which are probably presenting the IFN-${\gamma}$ producing cel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erpetuation of inflammatory process in RA. To evaluate the effector function of CII reactive T cell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II reactive T cells and fibroblasts-like synoviocytes (FLS) interaction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hen the CII reactive T cells were co-cultured with FLS, the production of IL-15 and TNF-${\alpha}$ from F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2 to 3 fold increase) and this increase was clearly presented in accord to the expansion of CII reactive T cell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IFN-${\gamma}$ and IL-17, T cell derived cytokines, were also increased by the co-incubation of CII reactive T cells with FLS. We also examined the impact of CII reactive T cells on chemokines production. When FLS were co-cultured with CII stimulated T cells, the production of IL-8, MCP-1, and MIP-1${\alpha}$ were significantly enhanced. The increased production of these chemokines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increase the frequency of CII reactive T cells. Conclusively, immune response to CII was frequently found in RA. Activated T cells in response to CII contribut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which were critical for inflammatory responses in RA. The interaction of CII-reactive T cells with FLS further augmented this phenomenon. Taken together, our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autoimmunity to CII could play a crucial role not only in the initiation but amplification/perpetuation of inflammatory process in human 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