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라니의 인식론과 문제해결의 암묵적 차원

        남진영,홍진곤,Nam, Jin-Young,Hong, Jin-Kon 한국수학사학회 2009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2 No.3

        수학 문제해결 교육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것은 폴리아(G. Polya)의 이론이다. 폴리아가 제시하는 발견술은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명시적으로 세분화여 드러내고 정리한 것이다. 이와는 달리, 수학 문제해결 과정의 암묵적 차원을 강조하고 있는 폴라니(M. Polanyi)의 이론은 폴리아의 이론과 상보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조명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폴라니의 인식론을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그의 문제해결 교육 이론을 고찰한다. 지식과 앎을 개인의 마음의 총체적 작용으로 보는 폴라니는 문제해결에 있어서 지적, 정서적 부분과 함께 헌신과 몰두를 강조한다. 또한 명시적 앎 이면에 있는 묵식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을 중시한다. 이와 같은 폴라니의 관점은 현재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문제 해결 양상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시사를 제공한다. It can be sai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G. Polya. His heuristics shows down the explicit process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detail. In contrast, Polanyi highlights the implicit dimension of the process. Polanyi's theory can play complementary role with Polya's theory. This study outlined the epistemology of Polanyi and his theory of problem solving. Regarding the knowledge and knowing as a work of the whole mind, Polanyi emphasizes devotion and absorption to the problem at work together with the intelligence and feeling. And the role of teachers are essential in a sense that students can learn implicit knowledge from them. However, our high school students do not seem to take enough time and effort to the problem solving. Nor do they request school teachers' help. According to Polanyi, this attitude can cause a serious problem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KCI등재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남진영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에 진술되는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 교육과정까지 진술된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정의적 영역 목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진술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on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Firstly,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thematics studied in Korea are investigated. Secondly,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current one are inspected. Thirdly,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Hong Kong, Singapore and Finland are researched. From the result, suggestions on the statement about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are proposed.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연구

        남진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1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is implemented from 2014 at high school, is applied to the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This study analyzed anticipated influence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n the CSAT mathematics. First, the content, terms and symbols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 the content area of the items in the 2009-2013 CSAT mathematic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considerable changes are inevitable in the 2017 CSAT mathematics.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하 ‘2009 교육과정’)은 초 · 중학교에서는 2013년부터, 고등학교에서는 2014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된다. 이에 따라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부터 2009 교육과정이 적용된다. 2009 교육과정에서는 기존 교육과정에서 다루던 내용의 구성이 바뀌고, 일부 내용과 용어, 기호가 삭제된다. 본 논문에서는 2009 교육과정이 수능 수학 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의 변화를 분석하고, 2009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기존 수능 문항이 속하는 과목 및 출제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수능 수학 시험의 예상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적정한 산전관리와 중증 모성질환 발생의 관련성 연구: 인구집단 기반 코호트 연구

        남진영,박은철 한국모자보건학회 2018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equate prenatal care and severe maternal morbidity among delivered women. Methods: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for 91,767 cases of delivery that were delivered during 2003~2013. Severe maternal morbidity status was determined using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s algorithm including the diagnosis and procedure code during delivery and postpartum hospitalization. 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model with log link was performed for the relationship with severe maternal morbidity and women’s factors to estimate adjusted relative risk. Results: Of the 91,767 delivery cases, 2,248 (2.45%) had severe maternal morbidity. In the GEE model, severe maternal morbidity was higher in women who had inadequate prenatal care than in those who had adequate prenatal care (relative risk (RR) 1.39, 95% CI 1.11~1.75, p-value 0.0045). For maternal age, women who delivered at extremely young or old ages had high risks of severe maternal morbidity, which showed a U-shaped distribution through the whole age range. Women who had the lowest level of income, who had cesarean section delivery, who were nulliparous, who had twins or more than triplet births had high risks of severe maternal morbidity. Conclusion: Inadequate prenatal care delivery wa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severe maternal morbidity. Therefore, policy makers should consider making quality indicators for early, timely, and sufficient visits during pregnancy and should monitor adequacy of prenatal care to prevent severe maternal morbidity.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고찰

        남진영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학교수학 Vol.13 No.1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993년 시행된 1994학년도 수능 이래 크고 작은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2012학년도 수능에서도 수리 영역은 적용되는 교육과정이 달라짐에 따라 출제 범위 등에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전 영역에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4학년도 수능에서는 더 큰 변화가 예상된다. 2014학년도 수능 체제 개편을 앞두고,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었던 2005학년도~2011학년도 수능 수리 영역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수험생들의 시험 부담 경감 및 학습 동기 고취를 위하여 더 쉽게 출제하고, 이에 따라 문항 수 및 배점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발고사로서의 변별력 확보와 시험의 신뢰성, 타당성 제고를 위하여 단답형 문항의 비율을 늘릴 필요가 있다. 셋째, 한 문항 내에 하위 문항을 출제하여 상황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은 줄이고 주어진 상황을 다각도에서 심도 있게 탐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요령과 기술에 의한 득점이 가능해진 특정 유형의 문항 출제를 지양하고 새로운 문항 유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To provide some suggestions on the setting of mathematics tes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this paper analyses the result of mathematics test in the CSAT from 2005 to 2011, on which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has been applied. From the result, four suggestions are drawn out. First, the mathematics test needs to be easier to reduce the burden of test-taker. Accordingly, the number of items and their scores need to be adjusted. Second, the proportion of multiple-choice items has to be reduced whereas that of short-answer items has to be increased to enhance the function of the CSAT as a selection test. Third, the sub-item system needs to be adopted. Fourth, new item-types have to be developed.

      • KCI등재

        수학의 가치 교육: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남진영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8 No.1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의 인지적 영역에서는 높은 성취를 보이지만 정의적 영역에서는 현저히 낮은 성취를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의 정의적 영역 중 수학의 가치 교육 문제에 대하여 폴라니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논하였다. 폴라니의 인식론에서는 개인적 지식과 지식의 암묵적 차원을 강조한다. 그는 수학의 추상성, 일반성을 강조하였고, 수학의 발전은 공리적, 형식적 측면보다는 지적 아름다움과 열정에 의하여 안내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폴라니의 인식론의 관점에서 볼 때, 수학의 유용성, 실용성 등의 언어적 전달이나 표면적인 흥미 유발을 위한 활동은 본질적으로 가치 교육 및 수학 공부의 내재적 동기 부여에 한계가 있다. 수학 공부의 가치는 적절한 수학 문제에로의 몰입과 긴장, 그리고 문제가 해결되면서 따르는 기쁨, 환희를 맛보며 몸으로 체득하면서 배워야 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