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실행 분석: 특수학교의 '통합교육'을 향한 시도

        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4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implementation of link programs between special and ordinary schools in Korea: Special schools' 'inclusive education' attempts 본 연구는 분리교육 환경인 특수학교의 통합을 향한 노력의 맥락에서 시작된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전국 실태를 조사하여 현재 초보적 시행에 있는 연계 프로그램의 쟁점들을 판별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국내에서의 첫 번째 전국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개발, 실행, 평가, 및 지원 전반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여, 이 연계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개발과 실행에서의 쟁점들을 판별하여 종합하고,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1차적으로 조사하고 그의 대상학교인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2차적으로 조사하여, 양 학교간의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구체적 자료 및 양 학교의 관점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계 프로그램을 실시한 학교들은 전국적으로 특수학교가 66개교, 일반학교가 47개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첫째, 연계 프로그램 실시의 기본정보; 둘째,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과 개발; 셋째, 연계 프로그램의 실행; 넷째,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와 지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다양한 측면에서 양 학교가 다른 관점을 보였으나, 연계 프로그램의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의 지적은 공유된 시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통합교육 내실화에 주로 정책적 배려 및 연구적 관심이 집중된 한국적 특수교육 상황에서 특수학교의 통합을 향한 연계 프로그램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 초보적 시행의 묘사적 자료들을 처음으로 제공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의 활성화 지원책과 미래 발전 방향성을 탐색하였다는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주제어> 통합교육, 특수학교 변화, 연계 프로그램, 통합 프로그램

      • KCI등재

        전국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대한 함의

        박승희,김지수,이성아,양여경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대학교 法學 Vol.6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law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and to generate some suggestions for law school educa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K-ATTID) developed by Kim & Park(2018) was used to measure the multidimentional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of 541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eleven law schools nationwide.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36 items of K-ATTID by 5 point likert scale(5: very true to 1: not at all). The higher the score on the items of K-ATTID, the more positive was th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The mean of 541 students’ multidementional attitudes was 3.53,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not positive but medium level of attitudes. The respondent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persons with severe ID compared to persons with mild ID. The respondents’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gender, degree of inclusive classes in their earlier schooling, lengths of volunteer works, and number of acquaintance with ID were related with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examines the law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and brings out the issue that enhancing lawy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D is critical for providing high-quality legal services for persons with ID. This study can promote the need for reexamination of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law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nurture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law school students and lawyers and to provide high quality legal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예비 법조인인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및 3가지(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하위태도의 수준과 양상 및 배경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를 국내에서 최초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진은 예비 법조인과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위해 태도의 중요성 문제를 제기하며 긍정적 태도 육성에 관심과 교육 기회 증진을 촉구하며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전국 로스쿨 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조사」라는 무기명 질문지이며, 태도 척도는 2018년에 김유경과 박승희가 타당화한 도구인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ATTID)」이다. 전국 로스쿨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1개 로스쿨에서 표집된 총 541명 예비 법조인의 응답 자료가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전국 11개 로스쿨의 541명 예비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의 평균은 5점 라이커트 척도에서 3.53으로 3점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3가지 하위태도 수준은 인지적, 행동적, 정의적 태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적장애인의 지적기능성 수준에 따른 태도 차이는 경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중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배경변인 중 성별, 장애학생과의 통합수업 경험, 장애인 대상 봉사활동 기간, 알고 있는 지적장애인의 수가 예비 법조인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국 로스쿨 운영 10년 차를 맞은 현시점에서 본 연구 결과가 로스쿨의 법조인 양성교육에 지니는 함의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로컬리티와 1954년, 대구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박승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4

        In 1954, Daegu is a region where the world condition and anti-Communism ideology followed by the Korean War and Cold War coexisted with the postwar life of poverty. The novel 『A House with the Deep Yard』 is a sort of growth novel against the background of post-war Daegu region. This represents the logic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embodied after the Korean War. In addition, this novel shows how the liberalists' growth logic after the Korean War was reflected in the local area in a boy's perspective. Represented all are the recognition of the world mirrored in the post-war culture of the U.S.,local life restructured with poverty and anti-Communism, and the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against the local area. Thus,『A House with the Deep Yard』well describes how the locals were aware of the world after the War when the liberalistic economy started to be recognized and how the local life was restructured by the government. In particular, in that the novel was created in the mid-1980's, this novel is a significant material through which you may look into the awareness of globalization among the older generation with the positive view on the post-war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글로컬리즘에 대한 재사유와 로컬리즘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세계화의 부작용을 제어하고 극복하는 운동으로서 로컬리티가 글로컬리즘의 새로운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는 (신)자유주의적 경제 체제와 자본의 이윤동기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매개고리로서의 국가, 그리고 세계/국가/중앙의 가부장 체제 등에 대응하는 로컬의 삶 자체에 대한 질문과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글은 소설 『마당 깊은 집』을 통해 대구라는 특정 지역에서 나타난 전후의 내재화된 성장과 개발의 논리를 살펴, 한국전쟁 이후 자유주의적 성장 논리가 로컬의 위치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고구하였다. 전후 미국 문화를 통한 세계 인식, 가난과 반공으로 재구성되는 로컬의 삶, 그 과정에 드러나는 로컬에 대한 국가의 억압 기제는 소설이 재현하는 로컬의 모습이다. 따라서 자유주의 경제 인식이 본격화 되는 전후의 로컬 내부에서 세계가 어떻게 인식되었으며 국가에 의해 로컬의 삶이 어떻게 재구성 되는지를 우리는 소설 『마당 깊은 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소설이 창작된 1980년대 중반의 시점에서 전쟁 이후 경제 발전과 성장을 긍정하는 기성세대들의 세계화 의식을 들여다 보고자 한다. 이는 1954년, 대구가 보여준 전후 삶의 재현 과정은 세계화 내지 글로컬리즘에 포섭된 지금의 대구 혹은 한국의 내부에서 로컬적 삶의 실체를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채널 자속누설 센서를 이용한 강케이블의 국부 단면손상 검색

        박승희,김주원,이창길,이종재,길흥배,Park, Seunghee,Kim, Ju-Won,Lee, Changgil,Lee, Jongjae,Gil, Heung-Bae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2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다채널 자속누설 센서를 이용하여 강케이블의 국부손상을 검색하였다. 먼저 자속누설 기법을 고정된 케이블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의 8채널 자속누설 센서헤드를 제작하였고, 국부손상이 발생한 케이블을 구현하기 위하여 PVC 파이프에 강케이블을 채워 강케이블 다발 시편을 제작하였고, 케이블 시편 외부 및 내부에 다양한 크기 및 방향을 가지는 국부손상을 단계적으로 발생시켰다. 이와 같이 제작된 강케이블 시편을 대상으로 각 손상단계에서 자속누설 센서헤드를 이용하여 자속신호를 스캔하고 출력전압으로 표현하였다. 이어서 일반극치분포를 이용해 손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어줄 임계값을 설정하였고, 이를 각 채널에서 계측된 자속신호와 비교하여 객관적인 손상판단을 수행하였다. 또한 케이블 모니터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정보인 손상의 길이방향 위치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모든 채널의 자속값을 합하여 총합값의 형태로 임계값과 함께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임계값을 초과한 부분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위치를 실제 손상과 비교함으로써 본 기법의 국부손상 검색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Multi-Channel Magnetic Flux Leakage(MFL) sensor - based inspection system was applied to monitor the condition of cables. This inspection system measures magnetic flux to detect the local faults(LF) of steel cable.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damage detection technique, an 8-channel MFL sensor head prototype was designed and fabricated. A steel cable bunch specimen with several types of damage was fabricated and scanned by the MFL sensor head to measure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specimen. To interpret the condition of the steel cable, magnetic flux signals were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s of the flaws and the level of damage. Measured signals from the damaged specimen were compared with thresholds set for objective decision making. In addition, the magnetic flux density values measured from every channel were summed to focus on the detection of axial location. And, sum of flux density were displayed with threshold. Finall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information on actual inflicted damages to confirm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able monitoring method.

      • KCI등재

        크리스천 아동, 부모, 교사의 리더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박승희,이소희 한국코칭학회 2023 코칭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크리스천 아동, 부모, 교사의 리더십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크리스천 아동, 부모, 교사의 리더십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객관성과 타당성의 확보를 위해 공동연구자 이외에 크리스천 리더십 전문가 3인을 포함하여 5인으로 평정 집단을 구성했으며 평정 절차를 거쳐 총 36편의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했다. 크리스천 아동의 리더십 연구는 주로 섬김의 리더십을 주제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고, 다양한 연구방법 접근 시도가 있었다. 크리스천 부모의 리더십 연구는 대부분 부모 교육 연구에서 이뤄졌으며,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소수의 연구에 그쳤다. 크리스천 교사의 리더십 연구는 다른 리더십 연구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대부분 섬김의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제한적이었으며, 이론적 탐색 연구에 그쳤다. 향후 크리스천 아동, 부모, 교사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를 위한 제언은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크리스천 아동, 부모, 교사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의 학문적 체계화를 위한 이론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크리스천 아동, 부모, 교사의 리더십에 관한 프로그램 및 척도개발이 수행 되어야하며 질적연구를 통한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실천적 측면에서 크리스천 아동, 부모, 교사의 리더십 개발 및 확장, 보급을 위한 코칭 접근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uture leadership research of Christia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by examining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leadership of Christia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a rating group was formed of five people, including three Christian leadership experts in addition to the joint researcher, and a total of 36 papers to be analyzed were selected through the rating proces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dolescents mainly on the subject of leadership of Christian children,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roach various research methods. Most of the 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Christian parents was conducted in parent education research, and only a few studies were conducted in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Christian teacher leadership research accounted for a larger proportion than other leadership research, but most of them were limited to serving leadership and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only theoretical exploratory researc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Christia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a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eory for academic systematization of 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Christia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Second, in terms of methodology, programs and scales on the leadership of Christia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and a multilateral approach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hird, in practical terms, it suggests a coaching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expansion, and dissemination of leadership of Christian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