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전수진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8 No.2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zing the cases of on-line archival contents services of the national archives' web-sites and explaining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on-line archival contents servic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n, it examines the cases of on-line archival contents provided by web-sites of the USA, the UK, Australian and Korean national archives. The types of on-line archival contents service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main purpose of use, the structure, and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and users. Lastly, it summarizes their structural and thematic characteristics by type and country. 본 연구는 보존기록관리기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의 사례를 분석하고 그 유형과 특징을 정리하여 기록관리기관이 콘텐츠 개발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의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미국과 영국, 호주의 국립기록관과 우리나라의 국가기록원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 사례를 조사하였다. 콘텐츠의 주요 목적과 구조, 콘텐츠와 이용자의 관계에 따라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유형별 및 국가별로 온라인 기록정보콘텐츠가 갖는 구조적․내용적 측면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 KCI등재

        효과적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오디오 마커 검출

        전수진,김영섭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11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10 No.2

        Augmented Reality integrates virtual objects onto a real world so that it extends the human's sensibility of real-world.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ombines real and virtual object in a real environment, and runs interactive in real time, and is regarded as an emerging technology in a large part of the future of information technology. So the benefits for the various businesses are estimated to be very high. In this paper, combine ARToolkit with OpenAL we can provide audio to users. These proposed methodologie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immersive realization of the conventional Augmented Reality system

      • KCI등재

        컴퓨팅 사고 향상을 위한 UMC 수업전략의 개발과 적용

        전수진,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SW교육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의 향상을 위한 놀이활동 중심의 UMC(Use-Modify-Create) 전략을 개발하였다. UMC 수업 전략은 학생들이 예제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이를 수정, 확장하여 새로운 SW를 개발하는 모형이다. 먼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1학기 동안 UMC 수업을 적용하였다. UMC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self-CT 향상에 대한 t-검사 결과, UMC 수업전략이 CT개념과 실습능력에 도움을 주었다. 또한 Modify 단계와 직접교수식 단계보다 Use단계와 Create 단계의 탐색과 자기주도적 개발과정이 CT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e have developed a UMC (Use-Modify-Create)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SW education. UMC model is an instructional strategy that students analyze examples of algorithms, modify-expand it and to develop new SW. First, we applied the UMC classes during 1 semester targeting pre-service teacher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we conducted a t-test for improving students' self-CT. Through a result, we found that is the UMC teaching-learning strategy helped the CT concepts and practice skills. In addition, we could see the Use and Create steps help to improve the ability of students’ CT than directly teaching and Modify steps

      • KCI등재

        최신 정보기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 S-Learning, SNS, Web3.0 기술 중심으로

        전수진,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S-러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웹3.0 등의 최신 정보 기술 기반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조사를 하고자 한다. 우선 새로운 정보기술의 변화 인식, 최신 정보기술의 교육적 필요성, 정보기술의 교육적 영향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그러한 최신 기술들에 대한 인식과 이해도는 낮았으나, 최신 기술을 활용한 교육이 중요하고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최신 IT의 교육적 활용 의지 및 최신 기술에 대한 연수에 대한 의욕은 높게 나타났다. 반면 관련 업무를 담당하거나 학생들의 교육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두려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세대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21세기 정보교육의 방향을 정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study of survey about teachers' attitude and recognition of education using newest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s-learning, social network and Web 3.0. We research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recognition of the newest IT trend, educational necessity and effect of the newest IT. As a result,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newest IT is low but teachers think that effect of education using the newest IT is very high. Moreover, they have a lot of will for using the newest IT devices and training about the newest IT. However, it shows that they are diffident of taking charge of the newest IT and teaching for students using it. Also,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tendency as generations. This study would be a important role for deciding on direction of informatics education for 21C.

      • KCI등재

        국어과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전수진,옥현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2 No.-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Arts(KLA) class. Currently demands of character education is very strong in Korean society because of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character education. As a step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lso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it is teachers who will play a leading role in implementing the character education at school, this study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KLA class. 132 teachers from 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nchon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was mainly designed with 7-point Likert scale. The survey question consisted of two parts: teachers' 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in general and character education in elementary KLA class.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teachers strongly agreed with the demands of character education but, in some cases, showed slightly different opinions based on their age,teaching experience, gender, and training experience in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elementary teachers' 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planning an in-depth study on this topic, and designing pre- and in-service teacher programs on character education.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인성의 부재로 인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그 대책으로서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성교육은 가정, 학교, 사회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부분이지만 우리 사회의 여러 여건을 감안했을 때 학교가 주축이 되어 가정과 사회를 연계하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일 것으로보인다. 학교 중심의 인성교육 실행 방안의 일환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국어과에서의 인성교육에 주목하고, 그 일차적인 단계로서 국어과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것은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주체가 교사이며,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경험, 입장이 인성교육의 실행 양상과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라고 보았기때문이다. 인식 조사는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 5개교에서 132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설문 문항은 인성교육 전반에 대한 견해와 국어과에서의 인성교육에 대한 견해를 묻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초등 교사들은 인성교육의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매우 공감하고 있었으나 문항별로 연령이나 교직 경력,성별, 인성교육에 대한 연수 경험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견해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국어과에서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이 조금씩 달랐으며,전반적으로 이 분야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폭넓게 점검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리고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교사교육을기획·실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Analysis of minimum noise range for signal detection method using 2 harmonic frequency in biosensor signal detection

        전수진,김지훈,지명기,박준희,최영완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설계교육센터 2016 IDEC Journal of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Vol.2 No.3

        Recently, biosensors have been developed for portable biosensor system. Signals measured in the biosensor system are inevitably accompanied by a variety of internal and external noises. Thus, biosensor systems require very low-level signals detection under noisy environments. Lock-in amplifier (LIA) has been used for the detection of a weak signal concealed in an intense background noise such as thermal noise, flicker noise (1/f) and shot noise in biosensor systems. The LIA is composed of a trans-impedance amplifier (TIA), a phase sensitive detector (PSD) and filters such as low pass filter (LPF) and high pass filter (HPF). In general, output signal of the LIA is that modulated signal by the PSD is represented by the DC voltage after passing through the LPF.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signal to noise ratio (SNR) and dynamic reserve, a second-order harmonic frequency (2 ) which is double of reference frequency is used. For the detection of 2 signal, the minimum noise region in frequency domain should be determined. Also, this region should not be affected by the flicker noise. The total noise characteristics of a system almost depend on the first stage of cascade system by Friis formulas. Therefore, total noise figure of the LIA is determined by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TIA. In this paper,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TIA and found the minimum noise region for using 2 detection method. We implemented the LIA based on CMOS integrated circuit using 0.18㎛ process and detected the 2 signal for improvement of the SNR. As a result of experiment, the minimum noise region is ranged from 20 to 55 ㎑ in the TIA.

      • KCI등재

        Intensive Treat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Game Addiction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전수진,김수환,이원규,한선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1

        For this paper, we developed a game-addiction therapy program for students with gaming addiction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MI) and verified its effects. The participants were 54 elementary students selected through a game addiction test in Incheon City, Korea. We tested the students’ MI to facilitate program development. the students with gaming addiction showed strengths in the Bodily-kinesthetic, Naturalist, and Spatial intelligences whilst showing weaknesses in the Logical-mathematical,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as opposed to normal students who had opposite results. We arranged the program around various gaming and playing activities to engage their stronger intelligences; we added activities to address their weakness (i.e., Logical-mathematical,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is program lowered the game immersion level of the students and was helpful in turning their attention to other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game addiction scores (p<0.001). Their weekly gaming time and computer usage decreased rapidly. Satisfaction with the game addiction therapy program based on MI was very high.

      • KCI등재

        매체별 노트필기 방식에 따른 학습효과 연구

        전수진,위지은,박인영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3

        Background: Using digital devices such as laptops and tablet PCs in note-taking is becoming more common with the ri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majority of note-taking studies have reported that digital devices degrade learning abilities by increasing cognitive loads. Yet, more recent studies suggest that note-taking with digital devices could rather augment the amount of recall and comprehension of contents. More importantly, previous studies generally focused on the different levels of information processing caused by different media.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defined functional differences between media and suggested ideas to advance the media interface. Methods: We analyzed how the content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ritten notes differ in media: a paper, laptop, and tablet PC with a stylus. Then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se characteristics on learning. Result: The difference in contents(i.e. the amount of entire written notes and written keywords within notes), according to the note-taking methods did not affect learning. In terms of perceived media utilities and cognitive loads, papers have the highest, followed by laptops and tablet PCs in order. Based on the post-experiment questionnaire, we found that both the familiarity to the media and media skills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earning.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fferences in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note-taking between media affect learning. This study presents somewhat different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It could be due to the fact that current research focuses on a digital-friendly generation. Further, unlike prior research, we looked int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medium.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should not be overlooked and such properties should be incorporated in designing media interfaces. 연구배경: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노트필기에도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인 노트필기 연구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인지 부하(cognitive load)를 가중시켜 학습능력을 저하시킨다고 보고하였으나, 최근에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오히려 기억과 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는 모두 매체의 차이에 따른 학습자들의 정보 처리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으며, 각 매체들의 특성을 사용자들의 매체친숙도와 숙련도와 관련지어 매체별 학습효과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필기한 노트의 내용과 구조적 특성이 종이 노트, 노트북 컴퓨터, 펜 기반 태블릿 PC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회상(recall) 기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 본 연구는 매체별 노트필기 방식에 따른 노트내용의 차이(필기 전체 분량 핵심어 필기 비율)가 학습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매체효용성과 인지부하의 경우 종이 노트,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사후 설문으로 진행된 매체친숙도와 숙련도 역시 실제 학습효과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드러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평소에 필기를 많이 하는 집단인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매체 간 노트필기 특성의 차이가 강의 내용을 회상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의 결과가 보여주듯이 매체 간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익숙한 20대 대학원생의 특징으로도 볼 수 있지만, 그간의 연구가 매체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정보처리라는 인지적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각 매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학습효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