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 나타난 복합양식 문식성 양상 분석

        옥현진,서수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6 No.-

        This study aimed to analyze 24 first graders’ aspects of multimodal literacy practices in picture diary composition. 255 picture diaries collected from a classroom for three months, researchers’ interviews with the classroom teacher, and transcripts of dialogue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were triangulated f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tended to draw pictures to visualize events, describe characters, and portray settings of their diaries. Multimodality patterns shown most frequently in the diaries were naming on characters and objects, use of speech bubbles, expression of motion, and use of emotic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even the first graders are active meaning makers and bring in diverse funds of knowledge of multimodality to his/her classroom. Consequently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needs to look for the methods to help them maintain and develop their multimodality from the level of emergent literacy.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작성한 그림일기를 대상으로 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실천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약 3개월에 걸쳐 한 학급 24명의 학생들로부터 총 255편의 그림일기를 받아 분석하였으며, 연구자와 담임교사의면담 자료, 담임교사와 학생들 간의 녹취록 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일기 텍스트 의미 구성에 있어서 그림의 역할은 크게 세 가지 측면 즉, 사건의 시각화,인물의 묘사, 배경의 설정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으며, 복합양식의 유형도 크게네 가지 측면 즉, 이름 붙이기, 말풍선 달기, 움직임 표현하기, 이모티콘 사용하기로범주화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앞서 범주화한 항목들을 토대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레퍼토리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이미 다양한 레퍼토리를 가지고 공교육을 받기 시작한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학생들을 능동적인 의미 구성자로 인식하고 이들의 의미 구성 활동을 극대화할수 있는 방안을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또 복합양식 문식성을 문식성 발생 단계에서부터 공교육 막바지에 이르기까지 누적적·지속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제언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뉴스 리터러시 특성 분석 - 학년, 성별, 지역, 포털 이용 행태를 중심으로 -

        옥현진,서수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3 No.-

        As the age of media users is getting lower and their media use rate is rapidly increasing, there is a growing ne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ews literacy in learners through systematic and verified education as early as possibl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ews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rade, gender, region, and portal usage behavior based on the data of the "2019 Teenage Media Usage Survey"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future news literacy programs. To analyze the level of news literacy, the items presented in the ‘News usage behavior’ category of the survey were selected and u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ews literacy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was not generally high.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 and news literacy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news literacy by grade was mainly noticeable between 4th and 5th graders. The only difference by gender was that fe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question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Also, the scores of students in large citie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the other two region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news literacy by divi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rtal use behavior into four groups showed that the group using various contents and using it frequently showed relatively high news liter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news literacy education were drawn, and the areas that should be improved in the survey were also mentioned for better investigation in the future. 미디어 이용자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이들의 미디어 이용률도 급증함에 따라 가능한 한 조기에 체계적이고 검증된 교육적 중재를 통해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전반에 대한 발달을 촉진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년, 성별, 지역, 포털 이용 행태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생(4∼6학년)의 뉴스 리터러시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뉴스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는 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뉴스 리터러시 수준 파악을 위해서는 조사도구의 ‘뉴스 이용 행태’ 항목에 제시된 문항들을 선별하여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뉴스 리터러시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뉴스 리터러시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우선 학년별 뉴스 리터러시의 수준 차이는 4학년과 5학년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또 성별 차이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사회 참여’와 관련된 문항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지역별 분석에서는 대도시 학생의 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포털 이용 행태를 네 개의 집단으로 범주화한 뒤 이들과 뉴스 리터러시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고 이용 빈도가 높은 집단의 뉴스 리터러시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뉴스 리터러시를 보다 입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조사도구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PISA 2009(PRA와 DRA)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성취 특성 분석

        옥현진,송미영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와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읽기 영역에서 보이는 성취 특성을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읽기교육개선과 읽기교육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PISA의 경우에는 인쇄매체 읽기 평가(PRA)와 디지털 읽기 평가(DRA)의 결과를 둘 다 활용하여 NAEA와의 관련성을 살핌으로써 매체 변화에 따른 국어과 읽기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점검해 보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NAEA와 PISA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보인 성취수준에 따라 두 개의 동질집단과 두 개의 이질집단을 구성하여 교육맥락변인과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각 평가 간에 대립적으로 작용하는 교육맥락변인들이 두드러지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결과는 서로 다른 평가 간의 연계를 통해 교육맥락변인이 읽기교육에 작용하는 방식을 보다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읽기 자료의 다양성 지수와 같이 평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작용하는 교육맥락변인도 있는 만큼 이러한 변인이 합의하는 바를 읽기교육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이와 유사한 성격을 보이는 교육맥락변인들을 추가적으로 찾아낼 필요도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educational implication for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research by linking the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for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nd OECD PISA and t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chievements. Especially including two different reading assessments of PISA, Print Reading Assessment(PRA) and Digital Reading Assessment(DRA),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NAEA, PISA PRA and PISA DRA.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tudents' achievement by composing two groups (two homeogenous groups and two heterogenous group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achievement and comparing them each other. Even though remarkable variables were not found from this analysis, it could confirm that most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variables in reading education influenc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s similarly.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is.

      • KCI등재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옥현진,서수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9 No.-

        As an effort to provide a meaningful informa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explore upper elementary students’ value of and participation in digital literacy practi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and the participation. 789 elementary students across the country at 5-6 gra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y showed a middle or lower level of value to digital media and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eir willingness to digital literacy participation was also much less active than expected; finally only 15.3% of the participation was explained by the value. Implication from the study is, firstly, the concept of ‘digital natives’ needs to be re-examined based on empirical data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elementary digital literacy learners; secondly, diverse digital literacy practices needs to be introduced in the class considering some of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s were neglected; thirdly, other components to facilitate digital literacy practices need to be explored considering limited explanation of the value.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양상, 그리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학습자 친화적인 디지털 문식 교육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국 789 명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5-6학년 학생들은 디지털 문식 활동에 있어 보통 수준 또는 그 이하의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해서도 다소 소극적인 참여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이와 같은가치 인식은 실제 참여 빈도의 15.3% 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원주민’이라는 개념이 막연한 수준에서 당연한 것으로받아들여지기보다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점, 디지털 문식 활동 간에도 참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만큼 학생들의 참여가부진한 문식 활동에 대한 교육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점,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해 가치를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학생들의 문식 활동을 담보하기 어려운 만큼실제 디지털 문식 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행동으로 이끌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실증적 연구가 요구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