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ects of Cu,Zn-superoxide dismutase on cell proliferation and neuroblast differentiation in the mouse dentate gyrus.

        Yoo, Dae Young,Shin, Bich Na,Kim, In Hye,Kim, Woosuk,Kim, Dae Won,Yoo, Ki-Yeon,Choi, Jung Hoon,Lee, Choong Hyun,Yoon, Yeo Sung,Choi, Soo Young,Won, Moo-Ho,Hwang, In Koo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12 Neurochem Res Vol.37 No.2

        <P>Oxidative str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reducing adult hippocampal neurogenesis in the adult brain.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effects of Cu,Zn-superoxide dismutase (SOD1) on lipid peroxidation, cell proliferation, and neuroblast differentiation in the mouse dentate gyrus using malondialdehyde (MDA), Ki67, and doublecortin (DCX), respectively. We constructed an expression vector, PEP-1, fused PEP-1 with SOD1, and generated PEP-1-SOD1 fusion protein. We administered PEP-1 and 100 or 500 관g PEP-1-SOD1 intraperitoneally once a day for 3 weeks and sacrificed at 30 min after the last administrations. PEP-1 administration did not change the MDA levels compared to those in the vehicle-treated group, while PEP-1-SOD1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MDA levels compared to the vehicle-treated group. In the PEP-1-treated group, the number of Ki67-positive nuclei was similar to that in the vehicle-treated group. In the 100 관g PEP-1-SOD1-treated group, the number of Ki67-positive nuclei was slightly decreased; however, in the 500 관g PEP-1-SOD1-treated group, Ki67-positive nuclei were decreased to 78.5% of the vehicle-treated group. The number of DCX-positive neuroblasts in the PEP-1-treated group was similar to that in the vehicle-treated group. However, the arborization of DCX-positive neuroblas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he 100 and 500 관g PEP-1-SOD1-treated groups compared to that in the vehicle-treated group. The number of DCX-positive neuroblasts with tertiary dendrites was markedly decreased in the 500 관g PEP-1-SOD1-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OD1 supplement to healthy mice may not be necessary to modulate cell proliferation and neuroblast differentiation in the dentate gyrus.</P>

      • KCI등재

        수직적 안모형태와 치아성숙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구용한,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수직적 안모형태와 치아성숙도의 관계를 평가하고 이러한 연관성에 대한 사춘기 성장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연구를 위해 7세에서 9세, 13세에서 15세 환자 1306명을 Ricketts의 VERT index를 이용하여 수직적 안모 형태를 분류하였고 환자들의 치령을 Demirjian법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치령이 역령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크게 측정되었다. 2. 사춘기 연령군에서 brachyfacial type의 경우가 dolichofacial type 보다 치아성숙도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여성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는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3. Brachyfacial type의 경우 사춘기전 군들과 비교 시 사춘기 군들에서 치아성숙도가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dolichofacial type의 경우는 연령층간 치아성숙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facial pattern and dental maturation in children in pubertal and pre-pubertal periods. The material consisted of lateral head films and panoramic radiographs of 1306 patients. The subjec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Ricketts's VERT index and other including criteria. These subjects were divided by VERT index to brachyfacial group and dolichofacial group. In each selected subject, dental ag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Demirjian's dental maturity score. All subjects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age, vertical facial type and sex,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chronological age, dental age and age difference were determined in each group. And the data were analysed to find the difference of tooth maturation by facial pattern.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1. In all groups, dental age was determined higher than chronological age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2. Compared by vertical facial pattern, in pubertal age groups, it seems that subjects with brachyfacial type presented the tendency to have an advanced dental maturation, only in female group. 3. Compared by pubertal period, brachyfacial groups presented more advanced dental maturation in pubertal groups than pre-pubertal groups.

      • 고전압 대전류 회로 해석을 위한 GTO 사이리스터 모델

        구헌희,서기영,권순걸,이현우 경남대학교 신소재연구소 1996 論文集 Vol.6 No.-

        Gate Turn Off Thyristor(GTO)는 게이트 신호로 대전류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대전력 응용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의 대용량 분야에서는 고전압 대전류를 취급하기 때문에 개발시 실험을 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대용량 회로의 설계와 Simulation을 위해서 GTO의 동작특성을 정확하게 모의할 수 있는 정밀한 Model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SPICE를 이용하여 2-트랜지스터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GTO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각종 회로소자를 부가하여 GTO Model을 개발하였으며, 이 Model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위칭 특성 및 직·병렬 접속에 대한 해석을 하였다. Gate turn off thyristors(GTO) have attractive attention as an efficient switching device for high power applications, primarily due to their alibility to turn off large currents with a gate signal. For the simulation and design of high power circuits, it is necessary to have accurate model which simulate both the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GTO. In this study for the simulation of GTO with the program PSPICE. a model consisting of two transistors. passive device, and controlled source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developed. model, simulation was performed for the switching characteritics. serial and parallel connection.

      • KCI등재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교정환자의 분포양상에 대한 연구

        구용한,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4

        과거에 비해 소아 및 청소년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소아치과에서 교정치료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교정환자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내원한 환자 중 교정 진단 받은 79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 진단을 받은 환자의 연령 분포는 8세가 22%로 가장 많았고 7세(19%), 9세(16%) 순서로 나타났다. 2. 골격 분포는 골격성 1급 부정교합이 52%로 가장 많았고 3급(29%), 2급(19%)순서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3급 부정교합 환자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총 792명의 환자 중 28%인 218명에서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였으며 연령이 낮은 경우 그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Distribution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has increased recently. So it is worth to study about the present status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and orthodontic patterns of orthodontic patients in pediatric dental clinics. The material consisted of distribution and orthodontic analysis records of 792 new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6 to 2008.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ge distribution, 8-year-olds group comprised 22%, 7-year-olds 19%, 9-year-olds 16%, 10-year olds 15%, 11-year-olds 11%, and other age groups comprised 18%. 2. In skeletal patterns, skeletal class Ⅰ patients comprised 52%, class Ⅱ 29%, and class Ⅲ 19%. 3. In vertical facial types mesofacial comprised 41%, brachyfacial 35%, and dolichofacial 24%. 4. Out of 792 patients 218 patients(28%) showed anterior cross-bite, and the occurrence ratio of anterior cross-bite increased as the age decrea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의 열적 열화 특성

        김기엽,강현구,이청,류부형 한국안전학회 2003 한국안전학회지 Vol.18 No.4

        Thermal degradation of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NBR), which is used for 0-ring material as elastomeric sealed diaphragm valve in the nuclear power plants, is examined. The thermal degradation is accelerated at l30℃ by Arrhenius exploit method using the activation energy calculated by thennogravimetric analysis. The weight loss temperature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re verified for thermally aged NBR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and elongation at break are also investigated. The threshold value of thermally aged NBR is a ten year in the change of elongation at break.

      • 2석식 포워드 컨버터방식 저압대전류 직류전원장치

        서기영,구헌회,이현우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7 硏究論文集 Vol.15 No.1

        저압대전류전원장치의 소형경량화와 효율향상을 위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되어오고 있으며 적합한 전력변환방식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2석식 포워드 컨버터는 브릿지방식 등에 비해서 변압기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동작이 가능하고 고주파화에 적합한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2석식 포워드 컨버터방식의 동작모드를 해석하고 DC 30V 1000A의 직류전원장치의 주회로를 설계하고 컨버터의 안정한 동작을 위하여 보상회로를 설계하여 Simulation을 통하여 동작특성을 확인하였다. Efforts to improve low voltage high current DC power supply currently are forcused on increasing efficiency and decreasing size and weight. The two transistor forward converter features simplicity in power transformer sturucture and drive circuit as well as high reliability compare with bridge type converter. In this paper, operation mode of two transitor forward converter is analysis and DC 30V 1000 A power supply is designed and verified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converetr through simulation.

      •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성장인자의 변화 및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n Bone Mineral Metabolism

        백기현,오은숙,오기원,이원영,김혜수,권순용,한제호,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각종 장기이식의 시행이 많아지고 이식 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식 후 합병증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도 다양한 내분비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골격에 대한 합병증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이식 후 초기의 골형성 저하와 골흡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추측되는데 이러한 골재형성불일치(biochemical uncoupling)에 골 성장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로 말초 혈액에서 IGF-I, FGF-2, M-CSF같은 성장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들 성장인자의 변화가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골형과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및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 소실과의 연관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여러 가지 혈액질환으로 인해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전향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이식 전 및 이식 후 1주, 2주, 3주, 4주 및 3개월, 6개월 1년에 말초 혈액에서 골교체표지자를 측정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1년 후에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를 측정할 수 있었던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냉동 보관되어 있던 혈청을 이용하여 IGF-I, FGF-2 및 M-CSF를 시기별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성장인자와 골교체표지자의 변화 및 골밀도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과: 골흡수 표지자인 혈청 ICTP는 이식 전에 비해 이식 후 4주까지 점차 의의 있게 증가하다가 이후 6개월까지 더욱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골형성 표지자인 osteocalcin은 이식 후 3주까지는 점차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여 이식 후 3개월 및 6개월에 기저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혈청 IGF-I과 FGF-2는 각각 이식 후 3주 및 1주까지 의미있게 감소하다가 이후 증가하였으며 혈청 M-CSF는 이식 후 1주째에 기저치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기저치로 회복되었다. 이식 1년 후 평균 요추부 골밀도는 5.2% 감소하였고 평균 근위대퇴골 골밀도는 11.6% 감소하였다. 이식 전 및 이식 후 3주에 측정한 IGF-I과 같은 시기에 측정한 오스테오칼신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식 후 3주째의 M-CSF와 골흡수표지자인 M-CSF 사이에서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 후 3주 및 3개월에 IGF-I이 낮은 환자일수록 이식 1년 후 근위대퇴골에서의 골소실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 후 발생하는 골소실에는 기존에 알려진 기저질환의 영향, 성호르몬의 감소, 면역억제의 투여, 골수기질세포와 조골세포의 손상 및 이식초기 사이토카인의 변화이외에도 골성장인자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식 후 발생되는 골량소실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A loss of bone mass is usually detected after a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especially during the early post-transplant period. We recently reported that enhanced bone resorption following a BMT was related to both the steroid dose and the increase in IL-6. We also suggested damage to the marrow stromal microenvironment, by myoablation, partly explains the impaired bone formation following a BMT. It is well known that some growth factor play important role in bone growth and osteogenesis. However, the pathogenetic role of bone growth factors in post-BMT bone loss is unknown and data on the changes in the growth factors, in accordance with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re scarce. We investigated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such as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I), 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 and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 during the post-BMT period, and assessed whether the growth factor changes influenced the bone turnover and post-BMT bone loss.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prospective study to describe the changes in bone growth factors following a BMT. Method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110 patients undergoing a BMT, and analyzed 36 patients (32.4±1.3 years, 17 men and 19 women) whose BMDs were measured before,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were measured before, 1, 2, 3 and 4 weeks, 3 and 6 months, and 1 year, after the BMT. The serum, FGF-2, IGF-I and M-CSF levels were measured before and 1 and 3 weeks, and 3 months after the BM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various bone parameters was analyzed. Results: The mean bone losses in the lumbar spine and total proximal femur,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change from the baseline to the level at 1 year, were 5.2(p<0.05) and 11.6%(p<0.01), respectively. the serum type I carboxyterminal telopeptide(ICTP), a bone resorption marker, increased progressively until 6 months after the BMT, but thereafter decreased, to the base value after 1 year. Serum osteocalcin, a bone formation marker,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after the BMT but then increased transiently, and finally returned to the base level at 1 year. The serum IGF-I and FGF-2 also decreased progressively until 3 weeks 1 week after the BMT, respectively, then increased to the base values at 3 months. The serum M-CSF increased briskly at 1 week post-BMT, then decreased to the base level.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centage changes from the baseline proximal femur BMD and the IGF-I levels 3 weeks and 3 months (r=0.52, p<0.01, r=0.41, p<0.05) post BM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GF-I and osteocalcin levels pre-BMT, and 3 weeks after the BMT. Another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CSF and the ICTP levels at 3 weeks post BMT (r=0.54,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rum IGF-I, FGF-2 and M-CSF levels in the immediate post-BMT period, which were related to a decrease in bone formation and loss in the proximal femoral BMD during the year following the BMT (J Kor Soc Endocrinol 17:664∼674, 2002).

      • 천추 전방에서 발생한 신경절 세포종 : 증례 보고 A Case Report

        강현구,이승로,박동우,박충기,함창곡,박용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2 한양의대 학술지 Vol.22 No.2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resacral ganglioneuroma. So, we report a peripheral ganglioneuroma of sacral origin. The patient is 34-year-old man with intermittent low back pain and right sciatica. Myelographic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extradural lobulated low attenuated tumor lesion within spinal canal at the level of L5 and S1. Tumor indented the thecal sac to the left side, and extended into the pelvic cavity through the intervertebral foramen between S1 and S2. The mass was surgically excised and turned out to be ganglioneuroma pathologically.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