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areer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8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 정서지능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에 소재하는 대학생 450명을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4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분화는 진로적응성 및 정서지능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진로적응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은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자기분화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는 동시에 정서지능을 통한 진로적응성의 향상 가능성을 입증해 준 결과로 판단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위한 자기분화와 정서지능의 향상 방안, 상담에 대한 함의, 향후 과제와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 정서지능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에 소재하...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 정서지능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에 소재하는 대학생 450명을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4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분화는 진로적응성 및 정서지능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진로적응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은 자기분화와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자기분화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는 동시에 정서지능을 통한 진로적응성의 향상 가능성을 입증해 준 결과로 판단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위한 자기분화와 정서지능의 향상 방안, 상담에 대한 함의, 향후 과제와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career adaptation,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areer adapt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by wirelessly sampling 450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nam and analyzing the final 400 data sampl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3.0.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using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differenti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dapt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but it did not directly affect career adaptation. Emotional intelligence was verifie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areer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onfirm that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career adaptation, and at the same time verify that career adaptation can be improved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adapta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task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career adaptation,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career adaptation,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areer adapt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by wirelessly sampling 450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nam and analyzing the final 400 data sampl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3.0.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using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differenti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dapt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but it did not directly affect career adaptation. Emotional intelligence was verifie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career adapta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onfirm that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career adaptation, and at the same time verify that career adaptation can be improved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adapta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task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정,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5 (15): 19-46, 2007

      2 윤석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성 관계: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239-256, 2017

      3 조성현,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임수진,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173-194, 2017

      5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6 김지근, "진로결정자율성이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7 (17): 205-223, 2016

      7 이은실, "중학생의 자아분화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임지혜,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05

      9 김금미, "정서지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1 (11): 739-753, 2010

      10 문용린, "정서지능의 현재와 미래" 1-16, 1998

      1 정혜정,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5 (15): 19-46, 2007

      2 윤석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성 관계: 정서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8 (18): 239-256, 2017

      3 조성현,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인지적 정서조절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임수진,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173-194, 2017

      5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6 김지근, "진로결정자율성이 진로적응성과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 어려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7 (17): 205-223, 2016

      7 이은실, "중학생의 자아분화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임지혜,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05

      9 김금미, "정서지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1 (11): 739-753, 2010

      10 문용린, "정서지능의 현재와 미래" 1-16, 1998

      11 박용두,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041-1056, 2007

      12 유희정, "전문대학생의 자아분화 정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및 진로준비행동"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05

      13 김병숙,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18

      14 유은주, "육군병사의 진로적응성과 희망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2015

      15 하선영, "우리나라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커리어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소 8 (8): 97-119, 2018

      16 이수분, "여대생의 진로지향성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49-68, 2016

      17 육근선, "여고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8 김달호, "엑셀을이용한 통계학" 자유아카데미 2008

      19 유나현, "애착, 심리적 독립, 정서지능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451-466, 2005

      20 탁진국, "성별과 직급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와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과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07-324, 2007

      21 김영란, "상담소 이용 만족도 조사 연구" 22 : 17-36, 2001

      22 송영주, "분리-개별화와 진로미결정의 관계 : 불안, 자아정체감의 매개역할을중심으로" 18 (18): 119-146, 2001

      23 최인재, "부자유친성정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24 전춘애,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25 어항숙, "부부의 원가족건강성, 자기분화, 의사소통, 그리고 자녀의 정서지능에 대한 연속적 인과관계 분석"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415-436, 2016

      26 김지인, "부모화와 자아분화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 비교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5 (25): 59-91, 2014

      27 문은미, "부모의 심리적 통제, 진로신념, 내적동기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8 (8): 105-124, 2019

      28 김은진, "부모에 대한 갈등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4 (4): 147-162, 2001

      29 강주영, "부모애착과 정서지능이 자기지각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6

      30 김중호, "발달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기능적 자아분화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2

      31 김장회, "미래의 직업 세계에 대한 인식: 초, 중, 고, 대학생 비교 분석" 한국상담학회 10 (10): 323-340, 2009

      32 김수아,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체계유형에 따른 자아분화 정도 및 의사결정의 관계"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3

      33 전미현,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분화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4 이영희,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자아분화 및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3-22, 2013

      35 장다온,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7 (17): 59-70, 2019

      36 노윤신,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해 조절된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8 (48): 107-129, 2016

      37 허강석,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2017

      38 정지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9 김진숙,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관련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경북대학교 2017

      40 노윤신,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8 (48): 55-81, 2016

      41 김성앙, "대학생의 진로개발지원, 진로역량,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관계" 동아대학교 2020

      42 이중희,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의사결정 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43 김종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279-300, 2014

      44 권순진,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진로의사결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1

      45 강신철,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진로정체감의 매개 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6 (36): 41-60, 2015

      46 이광희, "대학생의 애착과 정서지능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간의 관계" 2 (2): 1-20, 2017

      47 윤지현, "대학생의 아버지 애착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자아분화와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7 (17): 205-223, 2016

      48 진현정,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49 송광호, "대학생의 부모애착, 진로태도성숙, 자아분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7 (27): 373-396, 2019

      50 이승은, "대학생의 마인풀니스와 진로자기조절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2016

      51 유기은,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통제력 착각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65-86, 2015

      52 이순희,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2525-2544, 2013

      53 박은규, "대학생 진로적응성 관련 영향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35-56, 2018

      54 김소영, "남자 중학생의 자아분화와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5 강원덕,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739-764, 2015

      56 한승희, "고등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 수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57 김은재, "고등학생의 자기분화와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9 (19): 177-194, 2018

      58 김송희, "고등학생의 배경변인별 자아분화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05

      59 서경희,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5 (5): 57-88, 2015

      60 이원옥, "가족체계유형과 미혼성인의 자아분화, 우울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03

      61 諸錫鳳, "自我分化와 逆機能的 行動과의 關係 : Bowen의 家族體制理論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1989

      62 Koen, J., "Training career adaptability to facilitate a successful school-to-work transition" 81 (81): 395-408, 2012

      63 Hirschi, A., "The role of chance events i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personality and career development variables" 77 (77): 39-49, 2010

      64 Brown, C., "The role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career commitment & decision-making process" 11 (11): 379-392, 2003

      65 Wong, C. S.,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 An exploratory study" 13 (13): 243-274, 2002

      66 Skowron, E. A.,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45 (45): 235-246, 1998

      67 Blos, P., "The adolescent passage: Developmental issues"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9

      68 Di Fabio, A., "The Contribu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f Adaptive Career Progress Among Italian Youth" 42 (42): 48-59, 2015

      69 Di Fabio, A., "Promot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decision making among Italian high school students" 19 (19): 21-34, 2011

      70 Havighurst, R. J.,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8 : 20-23, 1968

      71 Miller, R. B., "Is Bowen theory valid? A review of basic research" 30 : 281-300, 2004

      72 Blustein, D. L.,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in career exploration" 33 : 203-216, 1988

      73 Han, H., "Gender-specific models of work-bound Korean adolescents’ social supports and career adaptability on subsequent job satisfaction" 42 (42): 149-164, 2015

      74 Bowen, M.,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Jason Aronson, Inc 1978

      75 Bowen, M., "Family therapy" Gardner Press 42-90, 1976

      76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77 Herpertz, S., "Enhancing emotion perception, a fundamental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 Using multiple-group SEM to evaluate a training program" 95 : 11-19, 2016

      78 Cotezee, M., "Employ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preparation support satisfaction among adolescents in the school to work transition phase" 20 (20): 439-446, 2010

      79 Coetzee, M., "Emotional intelligence as a predictor of employees’ career adaptability" 84 (84): 90-97, 2014

      80 Emmerling, R. J.,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areer choice process" 11 : 153-167, 2003

      81 Brackett, M. A.,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relation to everyday behavior" 36 (36): 1387-1402, 2004

      82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9 (9): 185-211, 1990

      83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Books 1995

      84 Kidd, J. M., "Emotion : An absent presence in career theory" 14 : 119-133, 1998

      85 Super, D. 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57 : 151-163, 1955

      86 Skowron, E. A., "Differentiation of self and attachment in adulthood relational correlates of effortful control" 26 (26): 337-357, 2004

      87 Skorikov, V., "Continuity in adolescent career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70 (70): 8-24, 2007

      88 Lopez, F. G., "Career indecision : A family systems perspective" 65 : 304-307, 1987

      89 Super, D. E., "Career development in adulthood : Some theoretical problems and a possible solution" 9 (9): 194-201, 1981

      90 Krieshok, T. S., "Career decision making : The limits of rationality and the abundance of non-conscious processes" 75 (75): 275-290, 2009

      91 Savickas, M. L.,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49-205, 2002

      92 Hirschi, A., "Career adaptation development in adolescence : Multiple predictors and effect on sense of power and life satisfaction" 74 (74): 145-155, 2009

      93 Merino-Tejedor, E., "Career adaptability and its relation to self-regulation, career constru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among Spanish university students" 93 : 92-102, 2016

      94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ies scale;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13 countries" 80 : 661-673, 2012

      95 Tien, H. L., "Career adapt-abilities scale-Taiwan form :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struct validity" 80 : 744-747, 2012

      96 Tak, J., "Career adapt-abilities scale-Korea form :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struct validity" 80 : 712-715, 2012

      97 Santilli, S., "Career Adaptability, hope and life satisfaction in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85 (85): 767-784, 2014

      98 Kafetsios, K., "Attach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abilities across the life course" 37 : 129-14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5 1.7 1.914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