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난소의 상피성 종양에서 신생혈관형성과 Cathepsin D 발현의 상관관계

        박일수,배용철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3

        목적 : 악성종양의 진행과 전이과정에 관여하는 인자로 신생혈관형성 및 단백분해효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러한 인자들의 예후에 대한 중요성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 경계성, 악성종양에서 신생혈관형성 유발인자인 VEGF의 발현도와 신생혈관수 및 Cathepsin D의 발현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수술로 절제된 난소조직중 장액성 종양 41예와 점액성 종양 50예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VEGF와 Cathepsin D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고, CD31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하여 미세혈관 수를 정량화 하였다. 장액성 종양은 양성 19예, 경계성 3예, 악성 19예였고, 점액성 종양은 양성 2예, 경계성 16예, 악성 14예였다. 결과 : 미세혈관 수, VEGF, Cathepsin D는 점액성과 장액성 모두에서 양성이나 경계성보다 악성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특히 미세혈관 수는 재발한 1예와 사망한 1예에서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임상인자인 병기, 종양크기 및 환자의 연령과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VEGF 발현과 미세혈관 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으나, Cathepsin D와 VEGF, 신생혈관 수의 발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종양의 혈관형성 에 있어 VEGF 이외에 다른 여러 가지 혈관형성인자 및 성장인자가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 결론적으로 미세혈관 수, VEGF, 그리고 Cathepsin D의 발현은 난소종양 진행의 유용한 지표로서 여겨지나, 아직 예후에 대한 유의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추적기간이 짧아 앞으로 환자의 장기 생존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umor angiogenesis and proteolysis have a role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in various types of tumor. Bu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in ovarian epithelial tumor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evaluate correlation of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with progression in ovarian tumor. Methods : Formalin fixed tumor tissues from 41 cases of serous and 50 cases of mucinous tumors were analyzed for the expresssion of VEGF and Cathepsin 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The authors quantified microvessel counts (MVC) using monoclonal antibody for CD31. The serous tumors included 19 cases of benign, 3 cases of borderline and 19 cases of malignant tumors. The mucinous tumors included 20 cases of benign, 16 cases of borderline and 14 cases of malignant tumors. Results :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in malignant tum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benign or borderline malignancy of both serous and mucinous tumors. One case of recurrence and another one case of death showed highly counted microvess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s to FIGO stage, tumor size or patient’s ag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VEGF expression and MVC, however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xpression of Cathepsin D and VEGF and MVC. These results suggest that other angiogenic factors may affect in the regulation of angiogenesis. Conclusion : MVC, VEGF and Cathepsin D expression seems to be suggested as a useful indicator of progression in ovarian tumors. But, the prognostic significance cannot be fully established and additionally long-term follow up study for patient’s survival rate is needed.

      • KCI등재후보

        상피성 난소종양에서 PTEN의 발현과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분석

        황진석,박일수,이윤순 대한부인종양학회 200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8 No.4

        Objective:Phosphate and tensin homolog deleted on chromosome 10 (PTEN) is a potent tumor suppressor gene, localized to chromosome 10q23, and shows extensive homology with auxilin and tension. PTEN has variety roles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invasion, and migration in tumorigenesis of solid tumors.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he PTEN in the ovarian epithelial tumors, including benign, borderline malignancy, and adenocarcinomas was investigated. Methods: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PTEN were analyzed in formalin fixed tumor tissues of 20 benign cystadenomas, 22 borderline tumors, and 49 malignant ovarian cancer. In the same tissue extract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were studied. Results:Most of benign and borderline ovarian tumors revealed strong positive reaction, but a few cases showed negative reaction or weak positive reaction. In adenocarcinomas, 33% of cases was negative, and 43% was focal weakly staining, grade 1. The remainder of adenocarcinomas showed strong nuclear staining. In SNP assay, A/A allele of rs1234213 shows low frequency, but A/G allele reveals high frequency. C/C allele of rs701848 shows high frequency, and rs9651492 is not detected polymorphism.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loss of PTEN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tumorrigenesis of ovarian epithelial tumors, and is related wit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목적:난소 종양을 대상으로 양성 종양, 경계성 종양 및 악성 종양에서 종양억제 유전자인 PTEN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 조사하여 난소의 발암기전에서 PTEN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s)을 이용하여 PTEN 유전자의 다양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본원에서 수술로 절제된 난소 조직 중 장액성 종양 47예, 점액성 종양 44예, 총 91예를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직학적 유형상 양성 종양 20예, 경계성 종양 22예, 악성 종양은 49예였다. 핵과 세포질내에 분명히 갈색의 과립상으로 염색된 경우를 양성으로 하여 PTE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조직 파라핀 블록을 탈파라핀 후 추출한 DNA를 template로 하여 PCR을 수행하고 그 산물로 SNPs를 분석하였다. 결과: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PTEN의 발현양상은 양성 종양 20예에서는 18예(90%)에서 염색반응 2와 3 정도의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경계성 종양 22예에서는 15예(68%)에서 강한 양성 염색반응을 보였다. 악성 종양 49예에서는 16예 (33%)에서 PTEN 염색반응이 완전히 소실되었고 21예 (43%)에서 염색강도 1의 약한 염색반응을 보였다. PTEN의 발현도의 평균치는 양성 종양에서 2.30, 경계성 종양에서 1.86, 악성 종양에서 0.96으로 양성 종양, 경계성 종양보다 악성 종양에서 PTEN의 발현 소실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양성 종양, 경계성 종양, 악성 종양에서 각각의 장액성 종양과 점액성 종양에 따른 PTEN 발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NP를 이용한 단일염기변이 검사에서 rs1234213의 경우 A/A allele의 빈도가 0.143, G/G allele이 0.129로 낮았으며 heterozygote인 A/G allele의 frequency는 0.729의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rs701848의 경우 C/C allele이 0.227, C/T allele는 0.515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T/T allele은 0.258의 비율로 관찰되었다. rs9651492는 모두 G/G allele이었으며, polymorphism이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PTEN의 발현소실은 난소상피종양의 진행에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이 유전자의 발현소실과정에는 단일염기변이가 일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난소 종양의 진단에서 동결절편의 정확도

        기다린,김기민,김철홍,조문경,박소정,김석모,최호선 대한부인종양학회 200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8 No.3

        Objective : As frozen sections play the role of determining the method or scope of operation for ovarian tumor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ccuracy, limitations and clinical utility of frozen sections. Methods : Among 1583 cases of ovarian tumor surgery conducted at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onnam and Hwaso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9 to September 2005, 372 for which frozen sections were sent to the Department of Pathology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ir frozen section diagnosis and final histopathological diagnosis. Results : Among the ovarian tumor cases, the accuracy of frozen section diagnosis was 91.1% and its sensitive to final diagnosis was highest as 96.0% for benign tumors, and 85.7% for malignant tumors, and as low as 62.9% for borderline‐tumors (p<0.01).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87.1% for malignant tumors, 68.8% for borderline tumors, and 94.6% for benign tumors. Among the 33 cases for which frozen section did not agree with final diagnosis, 15 cases were false positive and 18 cases were false negative. Among them, 14 cases were mucinous tumors (15.4%, 14/91), showing difficulty in diagnosis compared to non-mucinous tumors (6.8%, 19/281) (p=0.018). Conclusion : Despite its limitations, frozen section is a very useful method of high accuracy in diagnosing ovarian tumors. Thus, gynecologists and pathologists need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frozen section, which is not highly sensitive to borderline tumors and mucinous tumors, and to make accurate diagnosis. 목적 : 동결절편이 난소 종양에서 수술 방법이나 범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동결절편의 정확도와 한계 및 임상적 효용성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및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시행한 1583건 의 난소 종양 수술 중 병리과에 동결절편을 의뢰한 372예를 대상으로 동결절편 진단과 최종 병리조직 진단을 비 교하였다. 결과 : 전체 난소 종양에 대한 동결절편 진단의 정확도는 91.1% (339/372)였고, 최종 병리조직 진단에 대한 민 감도는 양성 종양이 96.0%로 가장 높았으며, 악성 종양이 85.7%, 경계성 종양이 62.9%로 낮았다 (p<0.01). 양성 예측도는 악성 종양이 87.1%, 경계성 종양이 68.8%, 양성 종양이 94.6%였다. 동결절편과 최종 병리조직 진단이 일치하지 않았던 33예 중 위양성이 15예, 위음성이 18예였다. 이 중 점액성 종양이 14예 (15.4%, 14/91)로 비점 액성 종양 (6.8%, 19/281)보다 진단에 어려움을 보였다 (p=0.018). 결론 : 동결절편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난소 종양의 진단에 있어서 정확도가 높은 매우 유용한 진단 방법이므로 부인과 의사와 병리 의사는 경계성 종양과 점액성 종양에서 민감도가 낮은 동결절편 진단의 한계와 문제점을 이 해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이차 종양감축술을 시행 받은 재발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들의 예후 인자 분석

        김희승,김태훈,정현훈,김재원,박노현,송용상,강순범 대한부인종양학회 2008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9 No.1

        Objective: To identify clinical prognostic factor improving survival of recurrent epithelial ovarian cancer (EOC) patients treated with secondary cytoreductive surgery (SCS). Methods: The indications of SCS were as follows; 1) complete response (CR) after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and adjuvant chemotherapy, 2) disease-free survival (DFS) (≥6 months). Clinical data of 17 patients including age, DFS, peritoneal seeding identified during SCS, the number of recurrent tumors (≥ 1 cm), serum CA-125 levels and maximal diameter of residual tumor after SC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between January 1990 and March 2007. Surviv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Kaplan- Meier method with log-rank test and univariate Cox’s regression analysis. Results: Mean age of them was 51.7 years. No peritoneal seeding identified during SCS was a prognostic factor improving progression-free survival after SCS (PFS-SCS) (30 vs. 6 months, P<.01). DFS (≥12 months) (100 vs. 39 months), 2 or less than localized recurrent tumor (≥ 1 cm) (100 vs. 44 months), serum CA-125 level (≤37 U/mL) (100 vs. 39 months) and maximal diameter of residual tumor (≤1 cm) after SCS (100 vs. 39 months)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improving overall survival (OS) (P<.05). Conclusions: DFS (≥12 months), 2 or less than recurrent tumors (≥1 cm), serum CA-125 levels with normal value after SCS, optimal debulking surgery and no peritoneal seeding may be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of survival in recurrent epithelial ovaria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SCS. 목 적: 이차 종양감축술을 시행 받은 재발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임상적 예후 인자를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대상으로 1990년 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일차 종양감축술 및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후 완전반 응을 보이고, 무병생존기간이 6개월 이상으로 이차 종양감축술을 시행 받은 17명의 재발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 들을 선정하였고, 연령, 복막파종의 유무, 무병생존기간, 1 cm 이상의 재발 병변의 수, 이차 종양감축술 후 혈 중 CA-125 및 잔여 종양의 크기를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차 종양감축술을 시행 받은 후 무진행생존기간과 전체생존기간을 Kaplan-Meier 생존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비교하였고, 단일변수 Cox 회귀분석을 시행하 여 생존율과 관련된 유의한 예후 인자들에 대한 통계적인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 과: 평균 연령은 51.7세였고, 수술 중 확인된 복막 파종이 없는 경우 이차 종양감축술을 시행 받은 후 무진 행생존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30 vs. 6 개월, P<.01). 무병생존기간이 12개월 이상인 경우 (100 vs. 39 개 월), 1 cm 이상의 재발 병변의 수가 2개 이하인 경우 (100 vs. 44 개월), 이차 종양감축술 후 혈중 CA-125가 37 U/mL 이하인 경우 (100 vs. 39 개월), 이차 종양감축술 후 잔여 종양의 크기가 1 cm 이하인 경우 (100 vs. 39 개월) 전체생존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P<.05). 결 론: 재발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들의 치료로 이차 종양감축술을 시행할 경우 12개월 이상의 무병생존기간, 2 개 이하의 1 cm 이상 재발 병변의 수, 이차 종양감축술 후 정상 범위의 혈중 CA-125 및 잔여 종양의 크기가 1 cm 이하인 경우, 수술 중 복막파종의 소견이 없을 경우 예후의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 원추절제면 양성 관련인자

        김병윤,성원준,정근오,이애현,정민지,박일수,이윤순,조영래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목적 : 원추절제술을 시행할 때 보다 정확하게 병변을 제거하여 원추절제면 양성의 빈도를 낮추기 위하여 절제면 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외래에서 환상투열요법을 이용하여 원추절제술을 시행한 139명의 중증 자궁경부상피내종양(CIN III)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원추절제면 양성인 환자와 음성인 환자에서 질확대경진 소견과 고위험형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백색상피병변의 색조상태와 병변의 위치가 원추절제면 양성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영향을 미쳤는데 2등급의 백색상피병변의 색조변화가 있을 때 기타 조건이 동일한 경우 원추절제면에 종양세포가 존재할 위험성이 2배 이상 높았으며 특히 자궁경부상피내종양 병변이 자궁경내막부 위에 존재할 때에 그 위험성은 5배 이상이나 되었다. HPV의 DNA의 양은 원추절제면 상태와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결론 : 중증 자궁경부상피내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원추절제면 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조사한 결과 자궁경부상피내종양 병변의 질확대경진 소견 중 고등급의 백색상피 색조 변화와 특히 자궁경 내막부위에 병변이 위치하는 소견이 있을 때 원추절제면에 종양세포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며 자궁경부상피내종양의 치료를 위해 원추절제술을 시행할 때 상기한 질확대경진의 소견이 있을때는 원추절제술의 범위를 좀 더 신중하고 충분하게 결정하는 것이 원추절제면 양성의 가능성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in association with positive cervical cone margin that is important for predicting residual neoplasia after cervical conizaton in patients with high grade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Methods : This study performed retrospective review of abnormal colposcopic findings based on Reid index and high risk HPV viral load by using Hybrid Capture II on 139 patients of CIN III who had undergone cervical conization in outpatient department. Results : In chi-square test, abnormal colposcopic findings of margin, color and lesion location were related to cervical cone margin statu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 grade of acetowhite epithelium (relative risk=2.23, 95% confidence limit=1.003-4.995) and endocervical location of the lesion (relative risk=5.19, 95% confidence limit=2.375-11.320) were significant predictor for cervical cone margin involvement. High risk HPV viral load of the cervical lesion did not affect cone margin status.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abnormal colposcopic findings are useful in predicting cervical cone margin status in patients with high grade of cervical intraepithelial lesions and careful reassessment of colposcopy with exact geometry of the conization specimen is necessary before cervical conization.

      • KCI등재후보

        난소 악성 혼합 뮬러리안 종양에서의 종양 감축술 후 Platinum 항암요법에 대한 임상적 고찰

        마진영,정민형,김대연,김영탁,남주현,박상민,김종혁,김용만,목정은 대한부인종양학회 2005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herapeutic results and the clinical outcome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and platinum-based chemotherapy for malignant mixed müllerian tumors (MMMTs) of the ovary. The evaluate the role of such treatments in ovarian MMMTs.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edical records that nine patients underwent complete surgical staging from February 1993 to January 2004 at Asan Medical Center, Korea. Seven patients received IP (ifosfamide/cisplatin) chemotherapy as a first-line chemotherapy and the other patients received other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Demographic data, pathologic findings, treatment and survival time were studied. Results : Nine patients diagnosed with MMMTs of the ovary after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stages for the 9 women were none stage Ⅰ, 1 stage Ⅱ, 6 stage Ⅲ, 2 stage Ⅳ. The median survival time of all patients was 41 months (1-76 months).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55.5% at 1 year and 40% at 2 years. Conclusion : Malignant mixed müllerian tumors of the ovary grow very rapidly and are usually in advanced stages when diagnosed. But our results of clinical experience for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after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could be a standard treatment for ovarian MMMTs. 목적 : 난소 악성 혼합 뮬러리안 종양(Malignant mixed m llerian tumor, MMMT)는 매우 드문 부인과 악성종양으로 진단당시 진행된 병기를 가지고, 그 경과 또한 빠르게 진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불량한 예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난소 MMMT치료법으로 종양감축술 및 항암치료, 방사선치료가 도입되고 있으나, 그 치료법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 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종양 감축술 후 조직병리학적으로 난소 MMMT로 진단 받은 환자에게 ifosfamide 및 platinum 복합화학항암요법 시행한 후 임상성적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3년 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 MMMT로 진단 받은 총 9명의 환자에 대해 의무기록 및 조직병리소견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종양감축술 및 항암치료를 받은 후 생존기간 및 생존율에 대해 알아보 았다. 결과 : 총 9명의 난소 MMMT 환자는 적절한 종양감축술을 시행 받고, 육안적 임상적으로 잔존 종양이 없는 상태에서 복합 화학항암요법을 시행 받았다. 9명의 환자에서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병기체계에 따라 분류한 바, 제 Ⅰ병기는 단 한 명도 없었고, 제 Ⅱ병기 1명, 제 Ⅲ병기 6명, 제 Ⅳ병기 2명이었다. 평균 생존기간은 41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은 55.5%, 2년 생존율은 40%이었다. 결론 : 난소 MMMT는 진단당시 진행된 병기에서 발견되며, 그 희소성으로 인 해 아직까지 확립된 치료방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최대한 잔존종양 없이 감축술 시행 후 platinum제제 복합화학항암요법으로 치료하여 좀 더 우수한 치료성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술 후 남겨둔 일측 난소에서 발생한 악성 Brenner 종양 1예

        이승호,김진희,이동욱,박성철,김미진,이두진,이승호 대한부인종양학회 200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8 No.2

        The Brenner tumors of the ovary are uncommon and constitute 1.5~2.5% of all ovarian neoplasms. And their malignant counterparts are rare. Although the first malignant Brenner tumor was described by Von Numers in 1945,1 only a few malignant Brenner tumors have been reported. The definition and its biologic behavior, and the optimal treatment has not been established. We present a patient who ha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un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due to adenomyosis . The resected ovary had only follicular cysts and the remained ovary was grossly normal . Malignant Brenner tumor developed at the remained ovary 15 years after operation. Operation and adjuvant chemotherapy was applied and patient is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malignant Brenner tumor developed at the remained ovary after contralateral oophorectomy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Brenner 종양은 드물게 나타나는 상피성 난소종양으로 대부분 양성이다. 1898년 Mcnaughton-Jones 에 의해 처 음 기술되었고 1907년 Fritz Brenner에 의해 Brenner 종양이라고 명명되었으며, 발견된 초기에는 양성종양으로 생각되었으나 1945년 Von Number 의 보고 이후 악성 Brenner 종양도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경계성 및 악성 Brenner 종양에 대한 보고는 드물며 특히 수술 후 남겨진 일측 난소에서 생긴 악성 Brenner 종양은 매우 희귀하 다. 양성 Brenner 종양은 수술적 제거 후 보조적 치료가 필요 없으나 악성의 경우 수술 후 방사선요법 및 화학 요법 등의 보조적 치료가 필요하며 예후에는 외과적 적출 및 종양 분화도 정도 등이 중요하다. 질환의 희귀성으 로 인해 악성 Brenner 종양에 대한 정의와 특성, 치료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정립되지 못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수술 후 남겨둔 일측 난소에서 발생한 악성 Brenner 종양을 수술적 절제와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 여 현재까지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와 자궁내막에 발생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 1예

        장인석,이정희,신정규,이순애,이종학,백원영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4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은 한 개체에 서로 종속관계가 없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암이 동시에 혹은 시간을 달리하여 발생하는 경우를 말하며 처음 보고된 이래로 악성종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법의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고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 중 여성 생식기의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은 전체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의 알 1~6%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자궁경부와 자궁내막에 동시에 발생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자궁경부와 자궁내막에 동시에 발생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means that more than 2 cancers are independently developed in one individual. The incidence of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is increasing gradually due to accurate cancer registry, earlier diagnosis and treatment and increased exposure to carcinogen.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however, involving the uterine cervix and the endometrium has been regarded as a rare entity.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multip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involving the uterine cervix and the endometrium and report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항암치료 중인 부인암 환자에서 고용량 비타민 C 사용 시 항암제 보조치료효과와 부작용 감소에 대한 연구

        이천준,정명수,정지영,박혜은,김원규 대한부인종양학회 2007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8 No.2

        Objective: The high-dose vitamin C is useful in the cancer. Consequently its use should have become how many help even from gynecological cancer patient who is in chemotherapy.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prospective on 57 patients who is diagnosed initially the gynecological cancer during chemotherapy at Gospel hospital of Kosin university between January 2005 and October 2006. The study was divided to its use 29(cervix cancer: 17, ovarian cancer 12) and no high- dose vitamin C use 28(cervix cancer: 11, ovarian cancer 17). The cervix cancer was treated by FP chemotherapy for all stage and the ovarian cancer was treated by CC chemotherapy for stage 1, CT or PT chemotherapy for advanced stage for 6 times respectively regarding a treatment in tumor marker change aspect and the side effect researched GOG classifications. Results: It evaluated the nausea and vomiting significantly in ovarian cancer(p<0.05). It evaluated for liver enzyme, Hb, WBC, platelet serum creatinine, sensory, motor nervous system and tumor marker with the high-dose vitamin C group does not have the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Conclusions: The high-dose vitamin C is a possibility of reducing nausea and vomiting in the ovarian cancer chemotherapy without other side effect. The regarding a tumor marker change it was not significantly but when it analyzed a recurrence a survival rate with more patient and follow up in long period, its use of should have become how many help in gynecological cancer treatment. 목적: 많은 연구에서 고용량의 비타민 C는 암 환자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화학요법 중인 부인암환자에서 도 고용량의 비타민 C 사용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연구방법: 고신의과대학 복음병원에서 2005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처음 부인암으로 진단받고 화학요법으 로 치료중인 57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화학요법 전후에 혈관으로 20-30g의 고용량의 비타민 C를 투 여하였다. 비타민 C를 투여한 군은 29예이고 대조군은 28예이었고 비타민 C를 투여한 군 중 자궁경부암이 17예 이고 난소암은 12예이었고, 대조군은 자궁경부암이 11예이었고 난소암은 17예이었다. 자궁경부암은 5-FU, cisplatin(FP)항암화학요법을 , 난소암은 FIGO병기가 Ⅰ기초에서는 cyclophosphamide, cisplatin(CC)를 그 이상 의 병기에서는 carboplatin, paclitaxel(CT) 또는 cisplatin, paclitaxel(PT)화학요법을 각각 6회를 시행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종양표지자의 변화양상으로 관찰하였고 부작용은 Gynecologic Oncology Group의 분류를 기 준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소화기계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설사를 평가하였으며 난소암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시 오심과 구토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고용량 비타민 C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결과가 나왔다(p<0.05). 혈색소, 백혈구, 혈소 판, 간효소(AST/ALP),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감각신경계와 운동신경계 부작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종양표지자의 변화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부인암 중 난소암으로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하는 환자에서 고용량의 비타민 C 사용군은 오심 및 구토의 소화기계 부작용을 줄일 수가 있었고 다른 부작용에 대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치료효과에 대한 반 응으로 단기간의 종양표지자의 변화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보다 많은 수의 환자에 대한 연구와 장기간 의 추적관찰로 재발 및 생존율을 분석하면 고용량의 비타민 C 사용이 부인암치료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난소의 성숙 기형종과 동반하는 점액성 경계성 종양

        조연진,이기헌,강선영,고윤희,성석주,이제훈,김주명,임경택,김태진,박인서,심재욱,박종택,홍성란,전이경 대한부인종양학회 2005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1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cinous borderline tumor associated with mature cystic teratoma and the origin of its cell type. Methods : Fiv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mucinous borderline tumor associated with mature cystic teratoma and treated in Samsung Cheil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September 2004 were analyzed. In addition MEDLINE, other data bases in English as well as in Korean revealed two more cases. We analyzed the result with patient’s characteristics, preoperative symptoms, mass sizes, serum CA-125, operative procedure, stages, recurrence and survival period. Histological slides of the specimens were analysed for expression of cytokeratin (CK)-7 and cytokeratin (CK)-20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o know the origin of the cell. Results : The mean age was 45 years (25-61 years). Preoperative symptoms were palpable abdominal mass, abdominal pain and urinary frequency. The mean level of CA-125 was 46.05 U/mL and the mean tumor size was 16.75 cm (8.8-22.0 cm). Post surgical FIGO staging was; stage Ia in 6 cases, stage Ic in 1 case. Four cases were CK7(-)/CK20(+), reflecting gastrointestinal origin, and also showed pattern of pseudomyxoma peritoneii. Mean survival period was 32.7 months (6-67 months) without evidence of recurrence, except one case. Conclu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mucinous borderline tumor associated with mature cystic teratoma, is diagnosed at relatively young age and early stage, associated with good prognosis. 목적 : 난소의 성숙 기형종과 동반하는 점액성 경계성 종양의 임상 병리학적 양상 및 세포학적 기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삼성제일병원에서 난소 종양으로 수술한 49,112예 중에서 성숙 기형종과 동반하는 점액성 경계성 난소종양을 동반한 것으로 나온 5예와 해외 논문 및 국내 논문 검색상 증례 보고된 2예를 포함하여 환자의 나이, 수술 전 증상, 종양의 크기, 혈중 CA-125의 농도, 수술방법, 병기, 재발여부 및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또한 cytokeratin-7, cytokeratin-20 염색을 통하여 점액성 경계성 종양의 세포학적 기원을 알아보았다. 결과 : 환자의 평균 연령은 45세, 수술 전에 대부분 복부에서 촉지되는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복통, 빈뇨 및 복부팽 만감을 동반하였다. 수술 전 혈중 CA-125는 평균 46.05 U/mL이었으며, 종양의 평균 크기는 16.75 cm (8.8-22.0) 이었다. 수술은 난소암에 준해서 시행하였으며 병기는 한 예에서만 FIGO 병기 Ic였으며, 나머지 6예는 FIGO 병기 Ia였다. CK7(-)/ CK20(+)으로 위장관계열의 세포로부터 분화한 경계성 종양이 4예였으며, 이 경우 특이하게 Pseudomyxoma ovarii를 동반 하였다. 생존기간은 평균 32.7개월(6-67)이었으며 한 예를 제외하고는 재발의 증거도 없었다. 결론 : 난소의 성숙 기형종과 동반된 점액성 경계성 종양은 일반적인 난소의 경계성 종양처럼 비교적 젊은 나이 및 초기 병기에 진단되며 생존률도 양호한 경과를 보이며, 세포학적 기원은 기형종의 세포에서 악성전환을 한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