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Surgical technique for single-port laparoscopy in huge ovarian tumors: SW Kim`s technique and comparison to laparotomy

        ( Jeong Sook Kim ),( In Ok Lee ),( Kyung Jin Eoh ),( Young Shin Chung ),( Inha Lee ),( Jung-yun Lee ),( Eun Ji Nam ),( Sunghoon Kim ),( Young Tae Kim ),( Sang W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0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method to remove huge ovarian tumors (≥15 cm) intact with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and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with those of laparotom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SPLS (n=21) with SW Kim`s technique using a specially designed 30×30-cm2-sized 3XL LapBag or laparotomy (n=22) for a huge ovarian tumor from December 2008 to May 2016. Perioperativ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In 19/21 (90.5%) patients, SPLS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tumor spillage or conversion to multi-port laparoscopy or lapar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umor diameter and total operation time, between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than for the laparotomy group (median, 2 [1 to 5] vs. 4 [3 to 17] days; P<0.001). The number of postoperative general diet build-up days was also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median, 1 [1 to 4] vs. 3 [2 to 16] days; P<0.001).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score was lower in the SPLS group (median, 2.0 [0 to 8] vs. 4.0 [0 to 8]; P=0.045).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was used less in the SPLS group (61.9% vs. 100%). Conclusion SPLS was successful in removing most large ovarian tumors without rupture and showed quicker recovery and less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in comparison to laparotom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could be a feasible solution to removing huge ovarian tumors.

      • KCI등재

        두경부 마사지가 중환자실 환자의 수면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김미용,전선영,송윤희,최은진,김재희,김미성,주명순,김남선 병원간호사회 2006 임상간호연구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apply head and neck massage to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and to inventigate the effect of that massage on sleep and state anxiety.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hru September of 2005 on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sleep, state anxiety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head and neck massage. For data analysis,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tilized. Result: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subjects might have a better sleep after being exposed to head and neck massage was accepted.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subjects might feel less state anxiety afrer being exposed to head and neck massage was accepted.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sleep of the ICU patients maight be correlated to their anxiety was accepted, as there appeared correlation between their sleep and anxiety. Conclusion: Head and neck massage is identified as one of independent nursing interwentions to improve the sleep of ICU patients and ease their anxiety,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o clinical practices.

      •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으로 근관충전시 치근면 온도상승 분석

        김영주,황윤찬,김선호,황인남,최보영,정영진,정우남,오원만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3 구강과학 Vol.1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afety to the supporting tissues of the root while the root canal is obturated using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A extr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prepared for repeated canal obturation. After conventional access opening, working length was then established to the point 1㎜ from anatomical root apex. The root canal was prepared with GT rotary Ni-Ti file (Dentsply Maillefer, Switzerland). Five thermocouples (Onega Engineering Inc., USA) were placed at 2㎜ increments on one side beginning 1㎜ from the anatomical root apex and the other five thermocouples at 2㎜ increments on the other side beginning 2㎜ from it. For obturation, a nonstandardized medium size gutta-percha cone and a ML Buchanan plugger (Analytic technologies, USA) were selected. After drying of root canal, AH 26 root canal sealer (Dentsply Detrey, Germany) was applied on the wall of the root canal. Baseline temperature was measured on the root surface. The ML size plugger was preheated for 2seconds and then the real temperature of it was recorded before insertion into the root canal. The root canal was obturated with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as described by Buchanan. The root surface temperature was recorded during obturation and it was performed ten times at each of the following temperature settings: 150℃, 200℃, 250℃ and 300℃. After completion of the temperature recording, the dentinal-cementum thickness at each sites where thermocouples were attached was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followed by Scheffe's test and linear regressio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temperature was set at 150℃, 200℃, 250℃ and 300℃ on the digital display of System B HeatSource, the real temperature of the plugger at the 1㎜ point from the tip revealed 130.82±2.96℃, 158.00±5.26℃, 215.92±6.91℃ and 249.88±3.65℃ respectively. 2. The position of 8 ㎜ from the anatomical apex showed the highest temperature increase at each temperature settings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ositions (p<0.01). The temperature rise was constantly increased toward coronal portion from apex of the root. 3. The maximum temperature increase on the root surface was 2.37±0.09℃ at 150℃ setting, 3.11±0.12℃ at 200℃ setting, 3.93± 0.09℃ at 250℃ setting and 5.69± 0.15℃ at 300℃ sett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be relatively kind to the supporting tissues of the root that the root canal is obturated using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at 150℃, 200℃, 250℃ and 300℃ temperature settings on digital display of System B HeatSource.

      • KCI등재후보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으로 근관충전시 치근면 온도상승 분석

        김영주,황윤찬,김선호,황인남,최보영,정영진,정우남,오원만 大韓齒科保存學會 2003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emperature rise on the root surface while the root canal is being obturated using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prepared for repeated canal obturation. Ten thermocouples (Omega Engineering Inc., Stanford, USA) were placed at 1mm increment from the anatomical root apex. The real temperature of Buchanan plugger was recorded before insertion into the root canal. The root canal was obturated with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as described by Buchanan and the root surface temperature was recorded during obturation at 150℃, 200℃, 250℃ and 300℃ temperature settings of System B HeatSource (Model 1005, Analytic technologies, Redmond, WA, USA). After completion of the temperature recording, the dentinal-cementum thickness at each sites was measur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followed by Scheffe's test and linear regressio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temperature was set at 150℃, 200℃, 250℃ and 300℃ on the digital display of System B HeatSource, the real temperature of the plugger at the 1mm point from the tip revealed 130.82±2.96℃ 158.00±5.26℃, 215.93±6.91℃ and 249.88±3.65℃ respectively. 2. The position of 8 mm from the anatomical apex showed the highest temperature increase at each temperature settings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positions (p<0.01). The temperature rise was constantly increased toward coronal portion from apex of the root. 3. The maximum temperature increase on the root surface was 2.37±0.09℃ at 150℃ setting, 3.11±0.12℃ at 200℃ setting, 3.93±0.09℃ at 250℃ setting and 5.69±0.15℃ at 300℃ settin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be relatively kind to the supporting tissues of the root that the root canal is obturated using continuous wave of condensation technique at 150℃, 200℃, 250℃ and 300℃ temperature settings on digital temperature display of System B HeatSource.

      • KCI등재

        고대산 북서사면(경기도 연천군) 지역의 식물상 및 산림군락 분류에 관한 연구

        김남영,김흥식,김영설,김정유,박완근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2004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20 No.-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고대산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산림군락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94과 299속 481종 1아종 66변종 4품종 1교잡종으로 총 553종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8과 11속 13종 총 13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12과 15속 15속 15종 총 15종류, 귀화식물은 9과 15속 17종 총 17종류로 나타났다. 산림군락은 신갈나무-철쭉군목,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갈참나무-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 당단풍-신갈나무군락으로 전체 1군목, 1군단, 3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Godae from March to October, 2003. As a result of that, the vascular plants were 94 families, 299 genera, 481 species, 1 subspecies, 66 varieties, 4 formae, 1 hybrid, 553 taxa in all; korean endemic plants were 8 families, 11 genera, 13 species, 13 taxa in all; rare or endangered plants were 12 families, 15 genera, 15 species, 15 taxa in all; naturalized plants were 9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17 taxa in all.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 3 communities;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Fraxinus rhynchophyll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B. Quercus variabi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Acer pseudo-sieboldianum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 KCI등재후보

        백서 척수후근절로부터 슈반세포의 효과적인 체외 배양법

        김성민,이종호,김남열,안강민,최원재,최시호,차미주,이주영,황순정,장정원,명훈,최진영,서병무,정필훈,김명진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3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5 No.4

        Schwann cells(SC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tract with nerous to mutually support growth and replication for the peripheral nerve regentation. Recently, ading SCs to the lumen of guidance channel is widely tried to improve regeneration or to make regeneration possible over otherwise irreparable gaps. however, it is not easy to isolate and multiplicate SCs as much as enough to help the axonal regeneration. For the allogeneic SCs source for tubular nerve guidance, we developed a little bit improved technique of harvesting and multiplicating SCs. by culturing dispersed dorsal root ganglia in specially designed medium with growth factors and serial processing, we repeatedlly generate relatively homogenous SC cultures. Our technique was compared with other methods of literature using immunostaining methods such as GFAP, S100, BDNF and the total SC count assessment at different time interval after primary culture.

      • 그레이브스병에서 치료에 따른 폐동맥압의 변화

        남택만,조한수,이진서,송영림,김두만,두영철,박철영,정인경,홍은경,이성진,오기원,김현규,유재명,최문기,유형준,박성우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5

        연구배경: 갑상선기능항진증에 의한 갑상선중독증 환자들은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그 원인으로 호흡근의 근력 약화, 좌심실부전으로 인한 폐모세혈관의 울혈, 기도저항의 증가, 갑상선종으로 인한 기관의 압박, 호흡기능 이상 등이 거론되고 있다. 폐동맥고혈압이 동반된 그레이브스병 환자가 여러 증례가 보고되었으며, 폐동맥고혈압 환자에게서 갑상선 자가항체와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빈도가 높음이 알려지면서 갑상선중독증이 동반된 그레이브스병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호흡곤란의 한 원인으로 폐동맥압 증가가 작용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저자 등은 그레이브스병 환자를 대상으로 폐동맥압을 측정하고 치료 전후의 폐동맥압의 변화를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방법: 갑상선중독증이 동반된 그레이브스병 환자와 정상 갑상선기능을 나타낸 대조군을 대상으로 갑상선기능검사 및 갑상선 자가항체를 측정하고,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치료 전후로 폐동맥압을 측정하여 폐동맥압과 갑상선기능 및 갑상선 자가항체와의 관계, 폐동맥압의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결과: 1. 연구대상은 대조군 10명 (남녀비 1:9, 관해 상태의 그레이브스병 3명, 갑상선종 3명, 정상인 4명), 그레이브스병 환자 26명 (남녀비 7:19)이었다. 2. 대조군과 치료 전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폐동맥압은 각각 23.5±2.32 mmHg, 29.6±10.3 mmHg이었고, 치료 전의 폐동맥압과 혈청 갑상선자극호르몬 결합억제 면역글로불린 (TBII) 농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3. 26명의 그레이브스병 환자 중에서 10명 (38.5%)이 폐동맥고혈압 (기준: 폐동맥압 > 30 mmHg)으로 진단되었다. 4. 치료 전후로 폐동맥압을 측정한 13명은 폐동맥압이 치료 전 29.6±10.3 mmHg에서 치료 후 폐동맥압 22.2±6.48 mmHg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결론: 갑상선중독증을 보이는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약 40% 정도에서 폐동맥고혈압이 발견되어 폐동맥고 혈압은 그레이브스병에 흔하게 동반하는 질환으로 생각된다. 향후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관찰되는 폐동맥압의 증가와 관련한 병인, 발생기전 및 임상적 의의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Exertional symptoms, dyspnea and impaired effort tolerance are common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Proposed explanations include: high-output left heart failure, ineffective oxygen utilization and respiratory muscle weakness. In addition, pulmonary hypertension has also been reported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 high prevalence of hypothyroidism and positive thyroid autoantibody were also observed in patients wit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Therefore, the pulmonary artery pressure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was evaluated. Methods: Two-dimensional and Doppler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s (Hewlett Packard Sonos 2500)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ulmonary artery (PA) pressure in 26 Graves' disease patients, bo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23 patients with propylthiouracil and 3 with RAI), and in 10 euthyroid controls. The changes in the PA pressure after treatment were evaluated in 13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who became euthyroid after treatment. Results: The pulmonary artery pressure was increased in the untreated Graves' disease patient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s (23.5±2.32 vs. 29.6±10.3 mmHg). 38.5% of the Graves' disease patients (10/26) showed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30 mmHg) and the serum TBII level was higher in the Graves' disease patients wit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than in those with normal PA pressure (P<0.05). In the Graves' patients who became euthyroid after treatment, the PA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 38.5% of the untreated Graves' disease patients showed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and the pulmonary artery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ose who became euthyroid after treatment. The pathogenesis and clinical importance of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in Graves' disease requires further studies (J Kor Soc Endocrinol 18:465∼472, 2003).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복식 자궁적출술의 비교 연구

        김종혁,이상수,김천복,김대연,김용만,김영탁,목정은,남주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목적 :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수술의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고 수술적 지표 및 재발률에 대하여 기존의 개복 수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8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저자들은 임상적 병기 I기인 79명의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자궁적출술과 골반 및 부대동맥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총 79명의 환자 중, 수술적 병기 I기와 II기로 판명된 74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기간 동안에 개복수술을 시행한 환자중 복강경 수술군과 병기가 같은 168예를 선정하였다. 결과 : 평균 수술 기간, 수혈량은 양군에서 비슷하였으며, 평균 재원 기간은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수술전후 및 만성 합병증의 발생은 개복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획득한 림프절의 수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더 많았다. 복강경 수술군에서 1예, 개복 수술군에서는 2예에서 재발하였고, 2년 무병 생존률은 복강경 수술군과 개복 수술군에서 각각 97.5%와 98.6%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자궁내막암 치료로서 복강경 수술은 기존의 개복술을 대신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시술 방법이다. 개복 수술과 비교해 볼 때, 재발 및 생존율 면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향후 전향적이고 더 오랜 추적기간을 갖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outcomes of laparoscopic surgery and to compare surgical parameters and recurrence rate of these with those of conventional abdominal surgery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ethods : From August 1997 to November 2003, we have performed 79 cases of LAV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with or without lymph node dissection. Laparoscopic approach was adapted in patients with FIGO clinical stage I by imaging study. Of the 79 patients, 74 patients who were proved to be surgical stage I and II were enrolled in this comparative study. As a control group, We selected 168 cases for the laparotomy group of the same stages. Results : The mean duration of surgery, th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and hemoglobin chamges were similar in both the laparoscory and the convertional alparotomy group. The mean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patients treated by laparoscopic surgery (10.2 vs. 15.5 days). The number of lymph node obtain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paroscopy group. Two 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s were 97.5% in laparoscopy group and 98.6% in laparotomy group (p=0.763). Conclusion : Laparoscop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early stage endometrial cancer is safe and effective altematives in terms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veral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however long term risk for recurrence and survival has yet to be defined.

      • KCI등재

        유치 및 초기 영구치아의 치수 신경분포

        김영진,남순현,김현정,이재문,이인정 大韓小兒齒科學會 199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3 No.2

        유치 및 초기 영구치의 치수신경분포 및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정치료를 위해 발치한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정상 탈락기의 유치,맹출중인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맹출이 완료되어 교합하고 있는 1소구치를 대상으로 neurofilament protein(NEP)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에서도 영구치와 유사한 신경총의 존재와 신경분포 형태가 관찰되었으나,영구치에 비해 그 신경분포 밀도가 낮았으며 분지형성 또한 미약하게 나타났고,전상아질로 진입하는 섬유의 수가 적었다. 정상탈락기의 유치에서는 신경의 변성으로 소포(vesicle),단절(fragmentation)등이 관찰되었으며,그 신경분포가 현저히 감소되어 나타났고,총상의 형태도 소실되었다.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에서 치수내의 신경은 말단가지의 숫자가 적고,치수 조상아 세포 경계에 도달하였으며,비교적 가는 신경 섬유가 많았다. 교합하고 있는 제 1소구치에서 치수내의 신경은 말단이 조상아층으로 진출하고,어떤 신경섬유는 전상아질층까지 진입하였으며,비교적 굵은신경 섬유의 분포가 많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dental pulp of early extracted primary teeth,normal exfoliated teeth,partially-erupted,nonfunctional,premolars,and erupted,functional,premolars.Numbers of sample were 10 teeth in each group.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dental pulp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for detection of neurofilament protein(NF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arly extracted primary teeth exhibited patterns of innervation similar to those observed for young permanent teeth.The plexiform arrangement of fibers was not evident in the primary teeth.Most nerves appear to terminate about the odontoblasts. As primary teeth began to undergo root resorption,degenerative changes such as vesicles and fragmentation appear in nerves.The quantity of neural tissue also decreased.In teeth in which the roots were almost completely resorbed only a small number of nerves remain. There w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erminal branches in the pulp of the partiallyerupted,nonfunctional,premolars and those present reached the pulpo-odontoblastic border. The nerve terminals in the pulp of the erupted,functional,premolars were traced to the dentinal tubule and a few nerve fibers formed loops in the predent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