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일반병동의 간호관리료 차등제 간호사 배치기준 및 수가체계 개선방안

        조성현,성지영,정영선,유선주,심원희 병원간호사회 2022 임상간호연구 Vol.28 No.2

        목적: 본 연구는 실제 및 적정 간호사 배치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한 간호관리료 차등제 개정안을 제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간호관리료 차등제 현황 분석을 위해 2022년 1분기 일반병동을 운영하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배치등급과 입원환자 간호관리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간호관리자와 일반간호사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및 적정 간호사 배치수준, 근무일수, 보수월액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관리자 101명과 일반간호사 588명이 참여하였다. 결과: 간호관리료 차등제 배치등급 분석 결과, 상급종합병원의 73.3%, 종합병원의 63.7%가 1등급에 해당하였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실제 간호사 배치수준은 각각 1:9.3과 1:10.4였다. 간호관리자와 일반간호사가 판단한 적정 배치수준은 상급종합병원에서 각각 1:7.6, 1:7.0이었으며, 종합병원에서는 각각 1:8.7, 1:8.8이었다. 일반간호사의 평균 추정 연간 근무일수는 상급종합병원 235.2일, 종합병원 240.0일로 나타났다. 일반간호사의 보수월액 중앙값은 상급종합병원 4,957천원, 종합병원 4,140천원이었다. 개정 간호관리료 차등제는 1:6 (1등급)에서 1:12 (5등급)을 제안한다. 개정 간호관리료는 배치등급별 환자 1일당 1일 간호시간에 따라 차등 지급할 것을 권고한다. 결론: 간호관리료 차등제 및 간호관리료 개정을 통해 간호사 배치수준과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간호업무환경을 개선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데이컴기법을 활용한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활동 분석

        김현주,임종순,최선미,박소희,박수혜,안성은,김희정,김은실,정인아,김수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arious nursing services of delivery room nurses by hospital level, and identify importance and frequency to provide baseline data to establish delivery room nurses' roles. Methods: Through DACUM analysis technique, service descriptions, duties, and tasks were derived from the literature. A survey was done of 242 nurses from delivery rooms of hospitals, general hospitals, superior general hospitals, and special hospitals. Importance and frequency of each service were measured using a 4point scale, and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Nursing services for delivery room nurses consisted of 18 duties and 86 tasks. Duties with the highest importance were 'labor support' and 'infection management', and those with lowest importance were 'collaborative care' and 'communication'. The duty with the highest frequency was 'labor support', and lowest frequency was 'communica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frequency depending on the size of hospitals. Conclusion: Results of this first study on nursing services of delivery room nurses. delivery room nurses are performing a wide range of nursing services and the various types are clarified including importance and frequency.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전문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분만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활동을 파악하고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분만실 간호사의 간호 업무활동 수행도와 중요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Methods: 데이컴 직무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만실 간호업무를 임무, 일, 일의 요소로 분류하였으며 간호 수행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서울 및 경기, 인천의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전문병원의 32개의 병원에서 1년 이상 분만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Results: 분만실의 업무는 4개의 임무, 18개의 일과 86개의 일의 요소로 분류되었다. 일의 중요도가 높은 항목은 진통 중 간호, 감염관리였으며 낮은 항목은 협력적 간호,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수행도는 진통 중 간호가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의료기관분류에 따른 일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보면 산후관리, 감염관리가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고, 진통 중 간호, 산후관리, 수술지원, 투약, 감염관리, 안전간호, 협력적 간호, 교육, 의사소통, 환경관리, 약물과 의료기구 관리 등 11가지 항목이 병상규모에 따라 업무별 수행도 차이가 있었다. Conclusion: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를 목록화하고 분만실 간호사의 업무를 표준화하고 질 관리를 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나 병원이상 의료기관과 지역적 제한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KCI등재

        외국인 환자 간호조직 실태 조사

        김금순,최윤경,안정원,정은희,김을순 병원간호사회 2015 임상간호연구 Vol.21 No.1

        목적: 본 연구는 외국인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간호 관련 병원간호조직의 실태를 파악하여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36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관리자 혹은 외국인 환자 담당부서 관리자이다. 설문문항은 외국인 환자 간호 관련 간호조직 실태, 외국인 환자 간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 평가, 병원의 문화역량지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35개 병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외국인 환자 간호조직을 위한 조직의 외국인 환자 간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 평가점수는 10점 만점 중 6.49점이었다. 병원의 문화역량지지 점수는 4점 만점 중 평균 2.61점이었다. 외국인 환자에게 효과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과제는 통역서비스 제공, 보호자 없는 외국인 전용 병동 구비,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직원들의 태도와 인식 개선과 외국인용 서식 구비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외국인 환자 간호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조직에 대한 투자와 외국인환자간호를 위한 정책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organizational nursing service for foreign patients in tertiary hospitals in order to build up a database for nursing care policy development for foreign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ing managers or department managers of international care center in 36 tertiary hospitals nationwid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the items measuring the details of and evaluations for nursing care for foreign patients within the given organizations and any organizational support for culturally competent care. The data from 35 hospitals out of 36 were analyzed finally. Results: The organizational nursing service for foreign patients was rated 6.49 points out of 10. Organizational support for culturally competent care was 2.61 points out of 4. Challenges to improving nursing care for foreign patients were listed such as developing interpreter services and international care units without accompanying by a family member, improving nursing staffs’ attitudes and behaviors for providing culturally competent care, and preparing various medical documents using multiple language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nursing care for foreign patients in tertiary hospitals, we need to be more aware of cultural knowledge and sensitivity toward the care needs of foreign patients.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윤보경,이현주 병원간호사회 2022 임상간호연구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conducted with 125 nurses as subjects who had been working for at least six months in four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28, 2021 and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6.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mpowerment (r=.36, p<.001),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r=.51, p<.001),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r=.75,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infection control awareness (β=.70, p<.001). Empowerment,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explained approximately 60.0% of the variance i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Conclusion: Findings indicated that various factors are related to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o enhance empowerment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소재 4개 요양병원에 6개월 이상 근무 중인 간호사 125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3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수행되었으며,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으로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감염관리 수행도는 임파워먼트(r=.36, p<.001), 감염관리 조직문화(r=.51, p<.001), 감염관리 인지도(r=.75,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감염관리 인지도(β=.70, p<.001)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임파워먼트, 감염관리 인지도, 감염관리지침 인지 여부 변수의 설명력은 60.0%였다. 결론: 연구결과는 다양한 요인이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임파워먼트와 감염관리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의료기관의 일반병동, 성인 중환자실, 신생아 중환자실의 간호등급 변화

        홍경진,조성현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stributions of nurse staffing grades and to report changes in staffing grades in general wards and adult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ICUs) by hospital type and location. Methods: Data collecte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re analyzed. Nurse staffing was categorized from grades 1 to 6 or 7 for general wards, 1 to 9 for adult ICUs, and 1 to 4 for neonatal ICUs based on the nurse-to-bed ratio. Results: The staffing grade for the general wards improved during 2008 -2016 in 69.8% of the tertiary hospitals, 58.5% of the general hospitals, and 31.7% of the non-general hospitals. The adult ICUs at tertiary hospitals exhibited a greater improvement in staffing grades (48.8%) than did those of general hospitals (44.2%) during 2008-2015. Tertiary hospitals in non-capital regions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than those in the capital region. The majority of neonatal ICUs (67.1%) had no change in the staffing grade during 2008-2015. Conclusion: Improvements in nurse staffing differed by hospital type and location. Government policies to improve nurse staffing in non-tertiary hospitals and those in non-capital regions are required to reduce variations in nurse staffing. 목적: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일반병동, 성인 중환자실,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등급을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그 분포를 탐색하고, 간호등급 변화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구득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간호등급은 병상수 대 간호사수의 비를 바탕으로, 일반 병동은 1등급 내지 6등급 또는 7등급, 성인 중환자실은 1등급 내지 9등급, 신생아 중환자실은 1등급 내지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일반병동의 간호등급은 2008년과 2016년 사이에 상급종합병원의 69.8%, 종합병원의 58.5%, 병원의 31.7%에서 향상되었다. 성인 중환자실의 경우 2008년과 2015년 사이에 간호등급이 향상된 기관은 상급종합병원이(48.8%) 종합병원(44.2%)보다 많았다. 결론: 간호등급 향상 여부는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간호등급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상급종합병원 이외의 의료기관과 비수도권 지역 의료기관의 간호등급 향상을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특성이 근거기반혈액투석간호지식과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수,정은숙,최경아,유승오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Purpose : 본 연구는 혈액 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 지식과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최신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 지식과 수행정도를 증진하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Method : 본 연구는 서울·경기에 있는 개인병원, 종합병원의 혈액투석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8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3.0 ver.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파악하였다. Result : 대상자의 근거기반 혈액 투석지식 점수는 100점 만점에 69,0점이였다. 대상자가 종합 병원에 근무할수록, 근거기반 혈액투석간호를 준수할수록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변수들이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 지식을 30% 예측 설명하였다. 대상자의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 수행정도는 5점 만점에 4.52점이였다. 수행정도 대상자들이 투석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느낄수록, 임상경력이 많을수록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onclusion : 지식과 수행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거기반 혈액투석간호를 준수할 수 있는 표준화된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의 지침서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nurses on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f evidence based hemodialysis nursing practice among hemodialysis unit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0 nurses working in hemodialysis unit for more than 6 months in 23 private and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March 30th to April 15t in 2016 and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ults: Nurses’ knowledge on evidence based hemodialysis nursing practice was 15.87±4.52 out of 23 points. Type of hospitals working in and adherence to evidence based hemodialysis guidelines were significant factors to knowledge and these two factors explained 30.0%. Nurses’ nursing performance on evidence-based hemodialysis nursing practice was 4.52 out of 5 points. The performace leve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otal nurisng career and necessity of hemodialysis nursing education and these two factors explained 8.0%. Conclusion: A development of guideline and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improving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evidence based hemodialysis nursing practice.

      • KCI등재

        종합병원 간호사의 섬망 간호수행 영향요인

        김지연,이은주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among general hospital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and conducted from July 20 to July 30 2015, with a sample consisting of 167 registered nurses in three general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Results: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knowledge about delirium(r=.25, p=.001), self-confidence in caring for patients with delirium(r=.45, p<.001) and nursingwork environment (r=.29, p<.001).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were self-confidence in caring for patientswith delirium (β=.33,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 (β=.26, p<.001), experience in nursing education about delirium(β=.18, p=.007) and clinical experience (β=.18, p=.007). The factors explained 32%of nursing performance of delirium.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deliriumcare through continuing education and to improve work environment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enhance nursing performance for patients with delirium. 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섬망 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7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SPSS 21.0을 이용하였다. 결과: 섬망 간호 수행도와 섬망 관련 지식(r=.25, p=.001), 섬망 간호 자신감(r=.45, p<.001), 간호 근무환경(r=.29,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섬망 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섬망 간호 자신감(β=.33, p<.001), 간호 근무환경(β=.26, p<.001), 섬망 간호 교육경험(β=.18, p=.007), 임상경력(β=.18, p=.007)이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력은 32%이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섬망 간호 수행 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 시 섬망 간호 자신감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지속적인 교육 및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일 상급종합병원 병동간호사의 수술 후 섬망 사례를 이용한 섬망 선별과 섬망 지식 및 섬망 간호

        최재인,김정희,박정윤 병원간호사회 2022 임상간호연구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spital nurses’ delirium screening for postoperative delirium, delirium knowledge, and delirium care using case scenarios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Methods: A total of 235 nurses working at surgical units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based study. Five cases scenarios were developed based on diagnosed postoperative delirium case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1, 2021. Results: The delirium screening score was 4.20±1.17 out of 5. The delirium knowledge score was 34.35±4.57 out of 47. The delirium care score was 67.61±9.26 out of 9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lirium screening and delirium knowled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18, p=.00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lirium knowledge and delirium c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25,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continuing educations of delirium for hospital nurses and the development of a delirium education programs were important to improve delirium screening and care. 목적: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 병동간호사의 수술 후 섬망 사례를 이용한 섬망 선별, 섬망 지식 및 섬망 간호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6개월이상 외과계 병동에서 근무한 간호사 235명이 참여하였다. 수술 후 섬망을 진단받은 사례를 토대로 5개의 섬망 아형별 사례를 개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4월1일부터 5월1일까지 였다. 결과: 대상자의 섬망 선별은 5점 만점 중 4.20±1.17점이었고, 섬망 지식은 47점 만점 중 34.35±4.57점이었으며, 섬망 간호는 92점 만점 중 67.61±9.26점 이었다. 섬망 선별과 섬망 지식은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18, p=.005), 섬망 지식은 섬망 간호와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5, p<.001). 결론: 본 연구를 토대로 병동간호사의 섬망환자 사정 증진 및 섬망 간호 향상을 위해 섬망 선별을 경험할 수 있는 섬망 아형별 사례 개발과 다차원적 섬망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속적인 섬망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의 활용도

        은영 ( Eun Young ),전미양 ( Jeon Mi Yang ),구미옥 ( Gu Mee Ock ),조용애 ( Cho Young Ae ),김정연 ( Kim Jung Yeon ),권정순 ( Kwon Jeong Soon ),김경숙 ( Kim Kyeong Sug ) 병원간호사회 2021 임상간호연구 Vol.2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utiliz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developed by Hospital Nurses Associ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70 nurses who were in charge of guideline distributions in 70 advanced general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s with 500 beds or more nationwid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ne and August, 2020 by mail (return rate: 88.6%).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with SPSS/WIN 24.0. Results: Among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developed by Hospital Nurses Association, 72.9~90.1% were placed with book and electronic file in nursing department and 24.3~35.8% were placed with book and electronic file in each nursing unit at hospital. The average number of utiliz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ere 3.96±3.88, and average score of guideline utilization was score 2.85±0.79 which means ‘use sometimes’. Conclusion: To improve th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recognition of values of evidence based nursing practice targeting head of nursing department and to stimulate th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using diverse education programs for staff nurses.

      • KCI등재

        병원의 조직문화와 직무환경이 간호사의 잔류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명주(Yun, Myeong Ju),최미영(Choi, Mi Young) 병원간호사회 2018 임상간호연구 Vol.24 No.3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hospi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 environment on nurses’ intent to stay at work. Method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34 nurses who have worked at a local general hospital in the Chungcheong province for at least 6 month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7 to 28, 2017,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2.0. Results: Clinical experience (β=.38, p<.001), institutional support (β=.33, p<.001), and relation-oriented culture (β=.24, p<.001) affected intent to stay at work among nurses.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34.8% of the variance in intent to stay at work among nurse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effect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nurses’ intent to stay at work. Efforts for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need for retaining nurses in a hospital. We suggest further research to identify the other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 to stay at work among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