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H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송윤희,김성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종합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반면, 대학생들의 기초 수학능력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들은 기초수학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학습지원을 위해 튜터링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참가율과 기대효과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대학교의 수학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튜터링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 113명과 미참여자 183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 –검정, 반복측정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통제집단에 비해 튜터링집단의 학업성취도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별 비교에서 통제집단보다 튜터링집단의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 학업성취도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로 통제집단에 비해 튜터링집단의 학습만족도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별 비교에서는 통제집단에 비해 튜터링집단의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 학습만족도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수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수학기초능력이 부족한 사전지식 하위학습집단의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대학 내 튜터링 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수학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s of a tutoring program on learning outcomes in mathematics. The methodology for its analysis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a tutored group and a control group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tutored group was composed of 113 students who were involved in a tutoring program as tutees,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183 non-involved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tutor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o be specific,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low prior knowledge learners in the tutor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a tutoring program can enhanc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low prior knowledge learners. Second, the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the tutor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o be concrete, the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the low prior knowledge learners in the tutor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tendance in a tutoring program has an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s in mathema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reference for promoting tutoring programs in universities. (234 words)

      • KCI등재

        집단지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송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집단지성에 대한 연구와 적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기와 발맞춰 교육상황에서의 집단지성 측정도 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크게 1차 집단지성 측정도구 개발과 2차 개발된 측 정도구를 기반으로 집단지성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1차 연구는 예비척도의 문항을 기반으로 구조를 탐색 하고 확인하고자 두 개의 표본으로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A대학교 397명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H대학교 351명의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지성 측 정도구는 총 15문항으로 인지적 탐색 4문항, 인지적 협력 5문항, 집단적 통합 6문항으로 도출되었다. 2차 연구에서는 1차 연 구에서 확정된 집단지성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을 위해 집단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A대학교, G대학교 및 H대학 교의 대학생 277명 자료를 기반으로 팀신뢰, 팀효능감 및 집단지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팀신뢰와 팀효능감은 집단지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교육상황을 기반으로 집단지성 측정도구를 개발 하고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수업에서의 집단지성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학습자중심교 육을 촉진시킴으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 기독교 교사의 영적안녕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및 교수효능감 관계

        송윤희,유지은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piritual well being,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aptation, and teaching efficacy for enhancing qualities of preliminary Christianit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90 students of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in A universi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 - test, one -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of the study, the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aptation level of male students i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variables by grades. The spiritual well-being,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aptation, and teaching efficacy level of students with high religious enthusias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low religious enthusiasm. Spiritual well-being,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ing efficacy. In additio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aptation mediated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teaching capacity of prospective christia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기독교 교사의 자질 강화를 위해 신앙관련 변인으로 영적 안녕감, 대학과정 변인으로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그리고 교사전문성 변인으로 교수효능감을 선정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경기지역의 A대학교 기독교교육과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서는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의 남학생 평균이 여학생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서는 네 변인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열심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영적 안녕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및 교수효능감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적 안녕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이 교수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은 영적 안녕감과 교수효능감 사이를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 기독교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영적 안녕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Faculty Learning Community) 활동에 대한 사례 분석 : 최종보고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송윤희,박미순,엄미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faculty learning community by analyzing the final report which was written after activities. Our review focusing on three main questions: who was the participants, what they researched, and how they did it. 54 final reports of 54 groups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three universities used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12.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To analyze final data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ntent analysis, Reliability (Cohen’s kappa coefficient),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largest group accounting for 77.5 percent of the total was those in their 30-40s, characteristics of major revealed a wide variety of filed such as technology, social science, cultural sciences, science of arts, and so on, and Top on the position was assistant professor. The groups were based on the department (major) than the topic, and were mostly comprised of from 3 to 5. Second, in the aspect of research domains, most groups researched abou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llowed by ‘curriculum’, ‘instructor-learner’, ‘theory/concept/philosophy’ and ‘technology’. Third,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s, most groups were used the ‘development research type Ⅲ and Ⅰ’, followed by ‘development research type Ⅱ’, ‘survey’,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Though we had limitation which were analyzed few date of three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data for activating Faculty Learning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대학들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작성된 최종보고서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교원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그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구성원 및 유형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연구내용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이다 .3개교에서 수집된 54 개팀 (그룹)의 54 개 최종보고서를 선정하여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내용분석, 교차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대학교원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교수는 대부분 30대-40대가 가장 많았으며 전공은 공학, 사회과학, 어문학, 인문과학, 예체능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직급은 조교수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교수, 부교수, 시간강사, 전임강사, 겸임·대우·초빙교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과중심의 모임 형태가 주제 중심의 모임 형태보다 많았으며 구성원 수는 대부분 3-5 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내용 (주제) 측면에서는 교수학습전략, 교육과정, 교수자 및 학습자, 이론·개념·철학, 테크놀로지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전략이 70%가 넘어 대부분의 대학교원 학습공동체의 관심사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대다수 개발연구 3과 개발연구 1이었으며, 개발연구 2, 조사연구, 문헌연구, 사례연구 순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교원의 의도와 요구가 반영된 효과적인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활동을 지원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양오염 위험지수와 방제능력을 고려한 방제선 재배치 전략에 관한 연구

        송윤희,이기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5

        The numbers of occurrences and the amount of spills of marine oil pollution have increased,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cure additional control capabilitie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present an empirical basis for improving the overall idle capacity through the relocation of control ships existing in each region. First, the marine pollution index was derived and the control capability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index of each region was compare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ployment of control ships. The marine oil pollution risk index was derived by multiplying the nine items that cause marine pollution by the weight derived by experts. We checked the control capacity (A)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F) for each sea area. Mokpo (F:13.4, A:1.9), Busan (F:14.3, A:6.4), and Yeosu (F:21.5, A:16.6) are the areas that lack control capabilities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On the other hand, the areas that have room for control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for each sea area are Masan (F: 5.9, A:13.3), Gunsan (F:1.7, A:8.3), and Jeju (F:2.7, A:6.9). Therefore, for improving the standardized control capacity proportional to the risk of marine pollution nationwid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trol ships of Masan, Gunsan, and Jeju should be relocated to Mokpo, Busan, and Yeosu, which lack control capacity. 해양 유류오염 및 유출량 증가에 따라 방제능력을 추가로 확보에는 많은 위험이 있다. 현재 해역에 배치된 방제선을 재배치하여 유휴능력을 개선하고 부족한 해역에 배치하고자 하고자 해양오염지수를 도출하고 해역별 해양오염지수 대비 방제능력을 비교하여 방제선 배치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해양오염을 유발하는 항목에 대한 해역별 수치에 전문가 집단에서 도출한 가중치를 곱하여 해양유류 오염위험지수를 도출하였다. 해역별 해양오염 위험지수(F) 대비 방제능력(A)이 부족한 해역은 목포(F:13.4, A:1.9), 부산(F:14.3, A:6.4), 여수(F:21.5, A:16.6)이고, 여유있는 해역은 마산(F:5.9, A:13.3), 군산(F:1.7, A:8.3), 제주(F:2.7, A:6.9)이다. 따라서 해양오염 위험도에 비례한 평준화된 방제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방제능력 여유 해역인 마산, 군산, 제주의 방제선을 방제능력 부족해역인 목포, 부산, 여수으로 재배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 협력학습에서 개인창의성, 팀신뢰, 팀효능감 및 집단지성의 구조적 관계

        송윤희,Song, Yun-Hee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최근 대학수업에서 공유된 교육목표를 토대로 집단을 이루어 함께 학습하는 협력학습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집단지성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협력학습에서 집단지성을 높일 수 있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개인변인으로 개인창의성, 팀관련 변인으로 팀신뢰와 팀효능감, 학습성과변인으로 집단지성을 선정하여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협력학습에 참여한 경기지역 A대학교, 대전지역 H대학교 및 충청지역 K대학교의 학부생 77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창의성은 팀효능감과 집단지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팀신뢰는 팀효능감과 집단지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팀효능감은 집단지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향후 대학 협력학습의 수업설계 및 운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collabo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courses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literature reviews, individual creativity was used a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istic, team trust and collective efficacy were used as variables of teams to see the relationship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as a variable of learning outcome. Data were collected from 770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Gyeonggi-do, H University in the Daejeon, and K University in Chungcheong-do, and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As results, individual creativit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ctive efficac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eam trust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ctive efficac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collective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study will be able to utiliz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instructional design and strategie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universities.

      • KCI등재

        대학생 취업 소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송윤희,송원영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3

        Recently, difficulties in job-searching among youth have become a more severe social problem in our society. Youths suffer from fear, anxiety and worry during their preparations for jobs, so that they become burned out. But, there is no appropriate measure for this kind of burn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Job Search Burnout Scale (JSBS), which measures university students’ burnout syndrome during the job searching process. Initially, 22 items were developed; after conducting interviews and a face validity test, the scale was reduced to 20 items. First of all,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with the data from the three universities. Secondl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the dimensions of the construct of the scale, and to test its construct validity. As a result, 17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version of the JSBS, and the five dimensions of employment burnout included: exhaustion (7 items), antipathy (2 items), inability (3 items), negative belief (3 items), dehumanization (2 items). This scale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and social fields in which any interventions for youths engaged in job-searching are utilized. The implications for the JSBS and its subscales, possible usag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최근 청년의 취업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심화되고 있다. 취업 준비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부조화를 이루어 두려움, 불안, 걱정 등을 느끼는 상태인 취업 소진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은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로 인한 장기적 반응인 취업 소진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관련 문헌을 개관하여 22문항의 예비척도를 개발하였고, 그 다음 2차의 전문가 검토와 전문가 인터뷰를 한 후, 40명의 대학생에게 안면타당도를 실시하여 20문항을 도출하였다. 1차 연구는 수도권 2개 대학과 지방 1개 대학에서 20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2차 연구는 수도권 1개 대학 21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적 합치도 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3문항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대학생 취업 소진 척도는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취업소진 척도는 탈진 7문항, 반감 2문항, 무능감 3문항, 부정적 신념 3문항 및 비인간화 2문항으로 도출해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취업 소진 척도는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 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교육 및 사회현장에서 취업 소진을 측정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찾는데 기초적인 토대가 될 것이다.

      • 가정주부의 스포츠활동 참가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송윤희 圓光大學校 附設 體力科學硏究所 2003 體力科學硏究 Vol.26 No.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arried women's sport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married women residing as used of 2002 in Jeonbuk area. From our target sample of 420, excluding those who dropped out in the course of research or those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unreliable, the sample number in actual analysis was 406 people.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used a SPSS/PC+ program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n regard to the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who were participating group in sport activity were lower than those of married women who were nonparticipating group in sport activity. Second, The degree of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was effected to the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was effected by duration but was not effected by frequency and inten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