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ID 램프용 디지털제어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연구

        김영동,강원찬,김남오,김형곤,김병철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2004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논문지 Vol.26 No.1

        In this paper, digitally controlled electronic ballast for the HID lamps driven by proposed frequency conversion method is described. This electronic ballast consists of a buck converter, a low frequency square wave full bridge inverter, a high voltage pulse generator for the lamp ignition, an over 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an 8-bit microcontroller. The fuzzy logic digital control operation is carried out by the 8-bit microcontroller. In spite of the limited control bandwidth caused by low operation speed of the 8-bit microcontroller, the good control performance for the constant lamp current in the warm-up period is obtained using the proposed frequency conversion driving method. The HID lamp is controlled in a constant current mode during the lighting warm up process and is controlled in a constant power mode during lighting steady state. A controlled variable power mode is used to extend the lamp lifetime.

      • SCISCIESCOPUS

        Identification of a sensitive urinary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for early detection of acute kidney injury

        Kim, Kyeong Seok,Yang, Hun Yong,Song, Hosup,Kang, Ye Rim,Kwon, JiHoon,An, JiHye,Son, Ji Yeon,Kwack, Seung Jun,Kim, Young-Mi,Bae, Ok-Nam,Ahn, Mee-Young,Lee, Jaewon,Yoon, Sungpil,Lee, Byung μ,Kim, Hyung TAYLOR & FRANCIS 2017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Vol.80 No.9

        <P>Acute kidney injury (AKI)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rate in patients but clinically available biomarkers for disease detection are currently not available. Recently, a new biomarker, selenium-binding protein 1 (SBP1), was identified for detection of nephrotoxicity using proteomic analy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ensitivity of urinary SBP1 levels as an early detection of AKI using animal models such as cisplatin or ischemia/reperfusion (I/R). Sprague-Dawley rats were injected with cisplatin (6 mg/kg, once i.p.) and sacrificed at 1, 3, or 5 days after treatment. Ischemia was achieved by bilaterally occluding both kidneys with a microvascular clamp for 45 min and verified visually by a change in tissue color. After post-reperfusion,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9, 24, and 48 hr intervals. Urinary excretion of protein-based biomarkers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In cisplatin-treated rats, mild histopathologic alterations were noted at day 1 which became severe at day 3.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rum creatinine (SCr)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day 3. Levels of urinary excretion of SBP1,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NGAL), and a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 were markedly elevated at day 3 and 5 following drug treatment. In the vehicle-treated I/R group, serum levels of BUN and SCr and AS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sham. Urinary excretion of SBP1 and NGAL rose markedly following I/R. The urinary levels of SBP1, NGAL, TIMP-1, and KIM-1 proteins excreted by AKI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Among these proteins, a marked rise in SBP1 was observed in urine of patients with AKI compared to normal subjects. Based upon receiver-operator curves (ROC), SBP1 displayed a higher area under the curve (AUC) scores than levels of SCr, BUN, total protein, and glucose. In particular, SBP1 protein was readily detected in small amounts of urine without purification. Data thus indicate that urinary excretion of SBP1 may be useful as a reliable biomarker for early diagnosis of AKI in patients.</P>

      • KCI등재후보
      • 봄철 익산지역 환경대기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일별 침적량

        김남송,강공언,김정숙,김현아,신지혜,김병수,최석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論文集 Vol.40 No.-

        Deposition samples were collected in wet gauge and dry gauge containers at downtown of Iksan city, located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April 20 to May 1, 2004. The volume of 30-50㎖ deionized water was added for wet gauge before sampling, but dry gauge was installed in the dry state with no deionized water adding. These samples were collected twice a day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and were analyzed for anions(Cl^(-), NO^(3-), SO₄^(2-)) and cations (NH₄^(+), Na^(+), K^(+), Mg^(2+), Ca^(2+)) using ion chromatography. Data quality was checked by the data obtained from re-injection of standard solution, Dionex cross check standard solutions, and random several deposition samples, and measured data was estimated to be reliable. Considering the deposition sample volume, the sampling time, the surface area of sampling container, and the ion concentration measured, the deposition amounts were calculated in mg/㎡/day. The sum of ion dry deposition amounts for dry gauge and wet gauge was 9.1±6.7 mg/㎡/day and 26.5±9.1 mg/㎡/day, respectively. A significant increase in deposition amount during rainfall days and Asian yellow dust period was observed for both wet gauge and dry gauge, especially during rainfall days having no difference of deposition amount between in wet gauge and in dry gauge. The mean deposition of all ion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higher in wet gauge than in dry gauge because of the surface difference of the sampling container. The mean deposition amount of NH₄^(+), SO₄^(2-), and NO^(3-) in wet gauge were found to be about 27.6 times, 5.5 times, and 3.4 times higher. than that in dry gauge, while the rest of the chemical species were equal or a little higher in wet gauge than in dry gauge. Dominant species in dry gauge were SO₄^(2-) and Ca^(2+), accounting for 14.7% and 47.3% of the total ion dry deposition, whereas those in wet gauge were SO₄^(2-) and NH₄^(+), accounting for 27.7% and 27.1% of the total ion dry deposition,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상지 단순반복작업 근로자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에 관한 조사

        손지언,장태원,김윤규,홍영습,정갑열,김동일,이강진,하남진,김상범,김준연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3

        목적 : 본 연구는 수근관 증후군의 발생위험이 높은 작업형태에 종사하는 상지 단순반복작업근로자로서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과 목재소 근로자에서 근전도검사를 이용하여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상지 단순반복작업근로자로서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 근로자 69명과 목재소 근로자 17명을 실험군으로, 관리직, 경리, 경비등 상지의 단순반복작업이 없는 근로자 28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작업적 및 병력조사, 이학적 검사와 근전도검사를 통해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 수근관 증후군의 유병률은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과 목재소에서 각각 26.09 % (18명)와 29.41 %(5명)로 조사되었으며, 육류 및 어류가공사업장과 목재소 근로자를 '7년 이상과 미만의 작업기간'으로 층화하여 비교한 결과 '상지부위의 통증 호소 유무', 'Visual Analogue Scale(VAS: 총 10점) 4점 이상 여부', 'Tinel teat 양성 유무', 'Phalen test 양성 유무'는 모두 단기 작업근로자군에서 양성의 빈도가 증가되었고 '수근관 증후군 유무'는 장기작업근로자군에서 양성의 빈도가 증가되었다. 결론 :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과 목재소의 수근관 증후군 유병률은 각각 26.09 %와 29.41 %로 육류 및 어류 가공 사업장과 목재소는 1996년 OSHA가 지정한 바와 같이 위험한 작업요인이 있는 작업장으로 분류하여 관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on the prevalence of Carpal Tunnel Syndrome(CTS) in high risk jobs(meat and fish processing plant and wood plant), by application of Nerve Conduction Study(NCS), a confirmatory diagnostic method. Methods : Experimental group was 69 workers sampled from meat and fish processing plants and 17 workers sampled from wood plants, who were simple, repetitive workers using upper extremities and control group was 28 workers sampled from managers, secretaries and keepers. All employees were examined through work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NCS. Results : 18 workers(26.09%) in meat and fish processing plants, and 5 workers(29.41%) in wood plants had compatible findings to NIOSH diagnostic criteria for C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symptoms (complaint of upper extremities, Visual Analogue Scale ≥4(VAS: total 10 point)), signs(Tinel and Phalen test) and prevalence of CTS than control group(p<0.05). The prevalence of symptoms and signs were higher in short term workers(<7 years), but the prevalence of CTS was higher in long term workers(≥7 years). Conclusions : The prevalence of CTS in meat and fish processing plant and wood plant were 26.09% and 29.41% respectively. Authors propose that meat and fish processing and wood plants should be managed as a risk job category which were designated by OSHA in 1996

      • SCISCIESCOPUS

        Erythrophagocytosis of Lead-Exposed Erythrocytes by Renal Tubular Cells: Possible Role in Lead-Induced Nephrotoxicity

        Kwon, So-Youn,Bae, Ok-Nam,Noh, Ji-Yoon,Kim, Keunyoung,Kang, Seojin,Shin, Young-Jun,Lim, Kyung-Min,Chung, Jin-Ho U.S. Dep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 2015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Vol.123 No.2

        <P>Background: Nephrotoxicity associated with lead poisoning has been frequently reported in epidemiological studies, but the underlying mechanisms have not been fully described.</P><P>Objectives: We examined the role of erythrocytes, one of the major lead reservoirs, in lead-associated nephrotoxicity.</P><P>Methods and results: Co-incubation of lead-exposed human erythrocytes with HK-2 human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resulted in renal tubular cytotoxicity, suggesting a role of erythrocytes in lead-induced nephrotoxicity. Morphological and flow cytometric analyses revealed that HK-2 cells actively phagocytized lead-exposed erythrocytes, which was associated with phosphatidylserine (PS) externalization on the erythrocyte membrane and generation of PS-bearing microvesicles.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up-regulation of nephrotoxic biomarkers, such as NGAL, were observed in HK-2 cells undergoing erythrophagocytosis. Moreover, TGF-β, a marker of fibrosis, was also significantly up-regulated. We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erythrophagocytosis in lead-induced nephrotoxicity in rats exposed to lead via drinking water for 12 weeks. We observed iron deposition and generation of oxidative stress in renal tissues of lead-exposed rats, as well as the histopathological alterations such as tubulointerstitial lesions, fibrosis, and up-regulation of KIM-1, NGAL, and TGF-β.</P><P>Conclusions: Our data strongly suggest that erythrophagocytosis and subsequent iron deposition in renal tubular cells could significantly enhance nephrotoxicity following lead exposure, providing insight on lead-associated kidney damages.</P><P>Citation: Kwon SY, Bae ON, Noh JY, Kim K, Kang S, Shin YJ, Lim KM, Chung JH. 2015. Erythrophagocytosis of lead-exposed erythrocytes by renal tubular cells: possible role in lead-induced nephrotoxicity. Environ Health Perspect 123:120–127; http://dx.doi.org/10.1289/ehp.1408094</P>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과 학생의 주관성 연구

        박은영 ( Eun Young Park ),이은남 ( Eun Nam Lee ),강지연 ( Ji Yeon Kang ),주현옥 ( Hyeon Ok Ju ),김삼숙 ( Sam Sook Kim ),최은정 ( Eun Jung Choi ),김학선 ( Hack Sun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보완대체의학은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접근법의 하나로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고, 교육에 있어서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의학이나 간호학의 정규 교과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대학이 늘어남에 따라 미래의 건강관리 제공자인 간호학생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을 유형화하고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간호학생의 반응은 4개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은 실용적 확신형, 견제형, 가치 인정형, 제한적 수용형으로 명명하였다. 각 유형의 명명에서 볼 수 있듯이 간호학생들은 인식에서 약간씩은 차이가 있지만 보완대 체의학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들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음을 보고한 Kim (2004), Kim, Erlen, Kim 과 Sok (2006), Uzun과 Tan (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1유형은 ‘실용적 확신형’으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를 단순히 인정하기보다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유형이다.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이를 오히려 실용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효과는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치료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자신한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제1유형의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효과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위이며 의학적 치료를 방해하거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데는 강하게 반대를 했다. 간호학생의 보완요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Kim (2004)의 연구에서도 보완대체요법이 엉터리 치료법이라는 데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간호학생의 주관성을 조사한 Hwang (2004)의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인식이 세 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긍정적 인정형’으로 명명된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이 건강의 유지와 증진에 도움이 되며,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고 몸을 보호하며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엉터리 치료법이고 환자의 치유에 방해가 되므로 사용을 피해야 하고 과학적인 근거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신뢰할 수 없다는 데대해서는 강한 반대의 의사를 표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실용적 확신형’으로 명명된 대상자들과 유사한 인식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용적 확신형’의 사람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효과를 한꺼번에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실용적인 면을 강조한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제2유형은 ‘견제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와 효과에 대한 정확한 작용기전의 뒷받침을 요구하는 유형으로, Hwang (2004)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은 체계적인 검증 후에 정통적인 치료와 병행해서 사용해야 효과가 있다고 하여 ‘객관적 수용형’으로 명명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Son (2002)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현대의학을 보완해주는 치료법으로 고려하면서 과학적인 근거를 확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것과 일치한다. Ernst (2000)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대해서 알고자 하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건강관리자와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할 때 안정성이 확립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견제형’ 유형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견제형’의 사람들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보완대체요법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기 이전에 임상적인 효율성에 대한 정확한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강조한 유형이다. 이러한 견해는 최근 의학이나 간호학 교육에서 근거중심의 행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제3유형은 ‘가치 인정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과학적 신뢰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보완대체요법의 건강증진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형이다. 의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치료 효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Jang 과 Park (2003)의 연구에서 62.2%는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고 하여 작용기전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부족하지만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대상자의 ‘가치 인정형’과유사한 태도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Kim, Kim과 Cho (2007)의 연구에서 40.5%가 ‘과학적인 검증의 부족으로 치료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하였지만 학교보건실무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72.1%가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78%가 보완대체요법의 적용이유로 ‘증상완화, 치료보조의 효과’ 때문이라고 답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의 치료적 효과에 대해조사한 Kim (2005)의 연구에서도 ‘건강유지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들도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에 대해 5점 만점에 3.7점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완대체요법이 체계적인 지식체로 인정하기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지만 신체의 자연 치유력과 면역력을 증가시켜 건강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치 인정형’과 유사하다고 할 수있다. 제4유형은 ‘제한적 수용형’으로 보완대체의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사람마다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유형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Gwon 등(2008)의 연구에서 ‘부작용을 예측할 수 없다’가 37.7%로 가장 높았고, 23.2%가 ‘비과학적이다’라고 응답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찾아 효과를 볼 수는 있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객관성 부족 및 작용기전에 대한 체계적 검증의 필요성을 언급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적 수용형’ 대상자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toward CAM and put the outcomes into use as basic facts and figures in developing and applying a curriculum associated with CAM. Methods: Q methodology was employed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subjectivity from their rank-order statements. For the Q popul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30 participants completed 40 Q statem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current survey that probed into the subjec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relative to CAM abstracted four categories, namely, practical and convinced type, keep-under-control/wait-and-see type, merit acknowledging type and limitedly accepting type.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shift the awareness of CAM on the part of the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set forth in the current study.

      • KCI등재후보

        국내 다기관에서 조사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빈도와 임상적 특성

        송진수,최평균,송경호,조재현,김성한,방지환,이창섭,박경화,박경운,신수,최희정,김의석,김동민,이미숙,박완범,김남중,오명돈,김의종,김홍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목적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CA-MRSA 감염증에 대한 증례보고만 있을 뿐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CA-MRSA의 빈도, 감염증의 임상적 양상,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7개 병원에서 MRSA가 분리된 환자의 명단을 파악한 후 의무기록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외래나 응급실에서 혹은 입원 후 72시간 이내에 균주가 분리되고 MRSA 획득과 관련된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CA-MRSA로 정의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임상적 의미에 따라 원인병원체(pathogen), 집락화(colonizer), 미결정(undetermined)으로 분류하였다. Penicillin과 oxacillin을 제외하고 3개 이상의 다른 계열 항균제에 내성이면 다제내성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동안 총 3,251주의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MRSA는 1,900주(58.4%)였다. MRSA 가운데 CA-MRSA는 114주(6.0%) 였으며, 이들이 분리된 부위는 귀(62주), 비뇨기계(14주), 피부 및 연부조직(11주), 호흡기계(10주), 혈액(3주) 등이었다. CA-MRSA 균주 가운데 집락균은 22주, 원인병원체는 22주였으며, 나머지 균주에 대해서는 그 임상적 의미를 결정할 수 없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73균주 중 47주(64.4%)는 다제내성이었다. CA-MRSA 감염증 22예 중 피부 및 연부조직 감염(9예)과 중이염/외이도염(9예)이 가장 흔하였다. 침습적 감염증(invasive infection)은 4명(원발성 균혈증 3예, 감염성 관절염 1예)에서 확인되었지만, CA-MRSA 감염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 병원내 감염증에서는 MRSA가 심각한 문제이지만, 아직까지 지역사회 감염증에서 CA-MRSA는 흔하지 않았다.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has emerged in patients who do not have the established risk factors.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RSA (CA-MRSA). Material and Methods :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 databases of 7 hospitals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patients from whom MRSA was isola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July 2005. Only one isolate per patient was enrolled. In order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MRSA acquisition, the medical records an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atabases were reviewed. CA-MRSA was defined as MRSA isolated from patient without established risk factors. We analyzed patient demographics,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Results : Of total 3,251 S. aureus isolates, 1900 (58.4%) were MRSAs. Of the MRSA isolates, 114 (6.0%) were CA-MRSA. Of 114 CA-MRSA isolates, 22 (19.3%) were colonizers, 22 (19.3%) were pathogens,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maining 70 (61.4%) could not be determined. Median age of the 22 patients with CA-MRSA disease was 47 years. Nine patients ha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9 ear infections, 3 bacteremia, 1 septic arthritis. Seven patients had underlying medical disease. None died of the CA-MRSA infections. Of the 73 isolates of CA-MRSA, 47 (64.4%) were resistant to more than 3 classes of antibiotics besides β-lactams. Conclusion : Although MRSA is highly prevalent among hospital-associated S. aureus infection, CA-MRSA infections are not comm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