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lavobacterium meningosepticum에 의한 균혈증 1예

        장성원,유진홍,진승원,김선우,김연식,박순민,이대훈,최민호,최주연,신완식,강문원,강지민 대한화학요법학회 1997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5 No.1

        1996년 6월 카톨릭대학교 부천성가병원에 뇌경색으로 입원했던 61세 남자 환자의 혈액에서 Flavobacterium meningosepticum을 분리하였다. 환자는 폐렴을 동반한 패혈증의 예로 ceftriaxone과 metronidazole을 투여하였으나 입원 48시간만에 사망하였다. Flabovacterium meningosepticum is a rae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 which shows multi-drug resistance. It mainly invades patients with impaired immunity.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F. meningosepticum bacteremia in a patient with chronic debilitated state owing to stroke. The clinical progress was so rapid that he died within 48 hours. Blood culture revealed F. meningosepticum which showed characteristic yellow colony in blood agar plate.

      • 야생 설치류의 한타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연구

        백락주,송진원,송기준,박광숙,최영주,강주일,이용주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6

        목적:국내 야서중에 한타바이러스의 숙주는 등줄쥐와 집쥐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야생 설치류를 채집하여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검사를 실시하여 새로운 혈청형의 한타바이러스가 있는지를 혈청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 설치류를 1995년 10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7종 551수의 야시와 4종 97수의 소형동물을 채집하여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검사를 간접형광항체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1) 야서 7종 551수와 소형동물 4종 97수를 대상으로 한탄바이러스의 감염율은 등줄쥐 17.2%(29/162), 흰넓적다리붉은쥐 8.7%(2/23), 대륙밭쥐는 25%(2/8), 그리고 땃쥐는 7.1%(1/14)이었다. 그리고 야생토끼는 8.8%(7/80)가 서울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었다. 등줄쥐의 양성혈청중 대부분은 서울바이러스와 일부는 푸말라바이러스, 프로스펙트힐바이러스, 뉴욕바이러스와도 교차반응이 있었다. 흰넓적다리붉은쥐 2수와 대륙밭쥐 2수는 5가지 한타바이러스 모두에 교차 반응이 있었다. 2) 다람쥐는 9.5%(28/283)가 채집지역에 관계없이 한탄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었고 항체기는 1:16 내지 1:256으로 비교적 낮았으며 서울바이러스, 푸말라바이러스, 프로스켁트힐바이러스와 뉴욕바이러스에 각각 반응하는 것도 일부는 교차반응을 보이는것도 있다. 청설모는 10.3%(7/68)가 한탄바이서르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었으며 항체가는 1:16 내지 1:1,024이었으며 일부는 교차반응이 있었다. 3) 야생토끼의 서울바이러스에대한 항체양성율은 8.8%(7/80)이었으며 이중에 2수는 한탄바이러스와 교차반응이 있었고, 푸말라바이러스, 프로스켁트힐바이러스, 뉴욕바이러스와는 교차반응이 없었다. 항체가는 1:16 내지 1:64로 비교적 낮았다. 결론:등줄쥐는 한탄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지만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다람쥐 그리고 청설모의 일부는 한탄바이러스가 보다 다른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가 높았고 특히 일부 다람쥐 혈청은 푸말라바이러스 혹은 프로스켁트힐바이러스에만 반응하였다. 그리고 야생토끼는 서울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국내에 한탄바이러스와 서울 바이러스 이외에 새로운 혈청형의 한타바이러스가 있는 것을 사료된다. Background: Hantavirus are widley distributed in rodents populations even in geographical areas where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HFRS) has not been reported. Multiple species of Murid and Arvicolid rodents serve as the natural reserviors of hantaviruses. Serologic diagnosis using hantaviral antigens indicates that hantaviruses are widley distibuted in wild rodents. This study were designed to find the distribution of hantaviruses among wild rodents and small mammals in Korea, 1995-1996. Methods: Rodents were trapped alive in selected areas. A total of 551 wild rodents from 7 species and 97 small mammals from 4 species were captured in Korea. Serologic evidence for hantavirus infection were tested using five hantavirus antigens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IFA). Among 162 Apodemus agrarius, 23 Apodemus peninsulae, 8 Clethrionomys regulus, 6 Microtus fortis, 1 Mus musculus, 283 Tamias sibiricus, 68 Sciurus vulgaris, 14 Crocidura laciura, 80 Lepus sinensis, 2 Capereolus capereolus and 1 Nyctereutes procyonoides. Results: 29 A. agrarius, 2 A. peninsulae, 1 C. laciura, 2 C. regulus, 27 T. sibiricus and 7 S. vulgaris were sero positive agaist hantaan virus and 7 L. sinensis were IF antibody positive against Seoul virus. Some of Tamias sibiricus were only seropositive against puumala virus or prospect hill virus. Conclusion: This data suggests that new serotypes of hantavirus might distribute among rodents in Korea.

      • KCI등재

        광범위 베타 락탐계 항생제 분해 효소를 생성하는 폐렴간균에 의한 균혈증이 발생한 환자에서 감영의 위험 인자 및 치료 결과

        강철인,김성한,방지환,김홍빈,박상원,최영주,오명돈,김의종,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2

        목적 : 본 연구는 ESBL을 생성하는 K. pneumoniae에 의한 균혈증 환자에서 감염의 위험 인자 및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혈액 배양 검사에서 동정된 K. pneumoniae를 대상으로 NCCLS guidelines과 이중 디스크 확산법(double-disk diffusion test)을 이용하여 ESBL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ESBL 생성 균주에 의한 균혈증 환자 60명(환자군)에 대해 ESBL을 생성하지 않는 균주에 의한 균혈증 환자들(대조군)을 연령, 성별, 균혈증 발생 시점을 고려하여 1:2 또는 1:3으로 배정하였다. 총 159명의 대조군을 선정하였고 후향적인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에 연령, 성별, APACHE Ⅱ score, 주된 감염 부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ESBL을 생성하는 K. pneumoniae에 의한 균혈증이 발생할 독립적인 위험 인자에는 요관 삽입, 균혈증 발생 이전 72시간 동안 침습적인 시술을 받은 경우, 균혈증 발생 이전 30일 동안 투여받은 항생제 개수가 있었다. 초기 항생제 치료 72시간 후의 반응을 평가하였을 때, 완전 반응(complete response)은 대조군에서 더 많았고(13.3% vs. 40.3%, P<0.001), 치료 실패(treatment failure)는 환자군에서 더 많았다(33.3% vs. 11.9%, P<0.001). 7일 사망률은 환자군에서 20% (12/60), 대조군에서 15.6% (25/159)이었고(P=0.451), 30일 사망률은 환자군에서 30% (18/60), 대조군에서 24.5% (39/159)이었다(P=0.410). ESBL 생성 균주에 의한 균혈증이 있는 환자들에서 최종 항생제 치료가 부적절했던 환자들을 제외하고 30일 사망률을 분석하였을 때 효과적인 항생제 치료의 지연은 사망률을 높이지 않았다(11.1% vs. 9.1%, P=1.000). 결론 : ESBL을 생성하는 K. pneumoniae에 의한 균혈증이 있는 환자에서 초기 항균제 치료 72시간 후의 치료 반응률은 낮지만 사망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원인균이 동정된 후 최종 치료 항생제의 선정이 적절하다면 초기에 효과적인 항생제 투여의 지연은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infection and treatment outcome of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s(ESBL)-producing K. pneumoniae. Methods: ESBL production was evaluated by NCCLS guidelines and/or double-disk synergy test in K. pneumoniae blood isolates stored from January, 1998 to April, 2002. Sixty patients with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ESBL-producing K. pneumoniae (cas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159 matched control patients with bloodstream infection of non-ESBL-producing K. pneumoniae.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APACHE Ⅱ score, and the primary site of infection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In multivariate analysis, significant independe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ESBL-producing K. pneumoniae were urinary catheterization, invasive procedure within previous 72 hours, and the number of antibiotics administered within previous 30 days. In clinical response at 72 hours after initial antibiotic treatment, complete response rate was higher in the controls (13.3% vs. 40.3%, respectively, P<0.001), however, treatment failure rate was higher in the cases (33.3% vs. 11.9%, respectively, P<0.001). Overall 7-day mortality rates in the cases and the controls were was 20% (12/60) and 15.7% (25/159) (P=0.451), respectively, and overall 30-day mortality rates were 30% (18/60) and 24.5% (39/159), respectively (P=0.410). When the patients with bloodstream infection of ESBL-producing organism were evaluated and the patients who received inadequate definitive antibiotic treatment were excluded, delayed effective antibiotic treatment was found to be not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Conclusion : In patients infected with ESBL-producing K. pneumoniae bacteremia, clinical response rate at 72 hours after antimicrobial therapy was lower, but the increase of mortality rate was not significant. Delayed effective antibiotic treatment was not associated with higher mortality, when definitive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was prescribed.

      • KCI등재

        연마방법에 따른 탄성의치의 표면거칠기와 Candida albicans의 부착율 변화

        오주원,서재민,안승근,박주미,강철균,송광엽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탄성의치 제작 시 주로 사용되는 polyamide를 수종의 연마방법을 사용하여 처리 후 Candida albicans의 부착정도와 표면거칠기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5×15×2 mm 크기의 polyamide 시편을 4군으로 나누어 연마재를 사용하여 기공용 lathe 연마하는 방법(기공실내 연마방법)과 각기 다른 2종의 실리콘 포인트로 진료실내 연마하는 방법, 그리고 실리콘포인트 연마 후 pumice로 연마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C. albicans의 부착성을 평가하기 위해 5×106 CFU/ml의 C. albicans 현탁액에 시편을 2시간 동안 침적하였고 5회 수세처리 후 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리고 주사전자 현미경(JSM-5900, JEOL LTd., Tokyo, Japan) 촬영을 시행하였다. Profilometer (Surf-pak; Kawasaki, Japan)를 이용하여 표면거칠기를 측정하였고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일원변량분석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C. albicans의 부착성 검증을 위해 Scheffe test를 시행하였으며 표면조도검증을 위해 Tamhane’s T2 test를 시행하였다(α=.01). 결과: 최대 거칠기 값을 보인 군은 2단계의 연마용 버를 사용한 것으로 0.32 ㎛±0.10 값을 나타냈으며, 가장 낮은 거칠기 값을 보인 것은 tungsten carbide를 사용하지 않고 기공용 lathe로만 연마를 한 군으로 0.02 ㎛±0.00의 거칠기 값을 나타냈다. C. albicans 부착 실험에서는 기공용 lathe만을 이용한 연마방법이 가장 적은 부착수를 보였으며 다른 세 군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P<.01). 결론: 표면거칠기 및 미생물 부착능 실험 결과 기공실 연마만을 시행한 경우 유의하게 낮은 거칠기 값과 부착율을 보였다. Pumice로 추가 연마한 군은 진료실연마를 시행한 군에 비해 낮은 거칠기 값을 보였으나 C. albicans 부착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3 chairside polishing methods and laboratory polishing methods on surface roughness and C. albicans adhesion of polyamide denture base. Materials and methods: Using contact profilometer, the surface of polyamide specimens (25×15×2 mm) was studied after conventional polishing without finishing and after chiarside polishing with 2 chiarside polishing kits and chairside-pumice polishing following finishing with tungsten carbide bur. To evaluate the adhesion of C. albicans, C. albicans suspension was overlayed on the test specimen. And the specimens were incubated for 2 hours. Imprint culture method was achieved and counted the colony on the agar plate. Polished polyamide were evalua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statistics were conducted using one-way ANOVA and in case of difference, Scheffe test and Tamhane’s T2 test were used. Results: Surface roughness (Ra) of surfaces polished with 2 chairside polishing kits had higher than conventional polishing and pumice polishing. The highest roughness value was 0.32 ± 0.10 ㎛, and the lowest was 0.02 ± 0.00 ㎛. The adhesion of C. albicans on the specimens polished with chairside polishing group and pumice polishing group were increased than conventional polishing group (P<.01). Conclusion: Conventional laboratory polishing was found to produce the smoothest surface and the lowest adhesion of C. albicans. Two groups polished with Chairside polishing kits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surface roughness. Surface of the specimen polished with pumice is significantly smoother than 2 chairside polishing groups, but the result of C. albicans adhesion is that group polished with pumice was similar with 2 chairside polishing groups (P>.01).

      • 목포해역의 확산양상

        강주환,박선중,문승록,박민원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5 공업기술연구 Vol.5 No.-

        Tidal currents had been reduced remarkably since the constructions of Youngsan River Seadike and Youngam/Keumho Seawalls at the semi-enclosed Mokpo coastal zone. This deteriorates the water quality of the zone seriously, because reduced currents prevent pollutants flushing out or diluting easily. Three cases are simulated numerically with HD and AD modules of the MIKE21 software; continuously pollutants discharging case at Mokpo Harbor, intermittent discharging case at the gate of the Seadike, and continuously pollutants discharging case at Chungkye Bay. The results of all the cases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pollutants does not flush out but remains at Mokpo coastal zone. Especially, the release from gates of the Seadike may cause that fresh water concentration prevails near Mokpo Harbor.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생존, 성장 및 산소소비에 미치는 수은의 만성적 독성

        강주찬,황운기,지정훈,김성길,김재원 한국어병학회 2002 한국어병학회지 Vol.15 No.1

        산업활동의 증가로 인해 해양에 유입되는 수은 (Hg)이 저서성 연안정착 어류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생존, 성장, 사료효율 및 산소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6주 동안 0~0.13mg/L의 아치사 농도에서 넙치를 사육하며 Hg 독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Hg 농도와 노출기간이 증가할수록 생존육은 감소했으며 6주 후, 0.05mg/L 이상의 농도 구에서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했다. 성장률과 사료효율 또한, 각각 0.028mg/L (P<0.01)와 0.05mg/L (P<0.01) 이상의 농도 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산소소비율은 0.05mg/L와 0.13mg/L의 농도구에서 각각 대조 구에 비해 25(P<0.01)와 32% (P<0.01) 감소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Hg 독성은 넙치의 성장, 사료효율 및 산소소비와 같은 생리적 기능을 저해해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mercury (Hg) toxicity on survival, growth, feed efficiency and oxygen consumption were examined in the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ishes were exposed to sublethal concentrations of Hg ranging from 0 to 0.13mg/L for 6 weeks. Hg reduced survival rate in a concentration and exposure period-dependent way and suddenly reduction occurred at Hg concentrations greater than 0.05mg/L after 6 weeks. Growth rate and feed efficiency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at greater than 0.028 and 0.05 mg/L respectively. Oxygen consumption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25 and 32% than that of the control at the Hg concentration of 0.05 and 0.13 mg/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g toxicity inhibit physiological function including growth, feed efficiency and oxygen consumption in the juvenile olive flounder, resulting in survival failure at high concentration.

      • 알코올리즘 환자에서 뇌교외수초용해증과 연관된 주기교대눈떨림과 주기교대주시편위

        강성원,이명제,정주리,김영진,양현덕 원광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9 圓光醫科學 Vol.24 No.1

        주기교대눈떨림와 주기교대주시편위는 이상안구 운동에서도 흔히 관찰되지 않는다. 이런 안구운동은 뇌교와 소뇌에 병변이 있을 때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50세 남자 환자가 과음을 하고 난 이후 심하게 구토를 하여 입원하였다. 다음날 아침에 의식이 없었으며 주기교대눈떨림과 주기교대주시편위가 관찰되었다. 뇌자기공명영상에서는 뇌교나 소뇌에 병변없는 교뇌외수초용해증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저자는 아마도 교뇌외수초용해증이 소뇌와 전정신경핵의 경로중에 GABA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여 주기교대눈떨림과 주기교대 주시편위가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한다. Background; Periodic alternating gaze deviation(PAGD) and periodic alternating nystagmus(PAN) are rare forms of abnormal eye movement. Multiple lesions in the cerebellum and brainstem have been reported with PAN and PAGD. Case Report; A 50-year-old man presented with severe vomiting after binge drinking. The next morning he. became vegetative state and showed PAGD and PAN. Brain MRI showed findings compatible with extrapontine myelinolysis(EPM) without any brainstem or cerebellar lesions. Conclusions; We postulate that the disturbed GABAnernic system in the pathway from the cerebellum to vestibular nuclei caused probably by EPM developed PAGD and PAN.

      • 미세 골절 진달을 위한 초음파 C-scan의 활용 가능성

        박원근,최민주,이원흠,이윤준,이헌주,강창익,박전홍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첨단기술연구소 2001 尖端技術硏究所論文集 Vol.12 No.2

        The study examines the medical potential of an ultrasonic C-scanning technique and for diagnosis of the fatigue induced micro-fractures of the bone. In general, it is not easy to detect the micro­fracture by a simple radiological technique. In the study, the micro­fractures were made on the tibia taken from pigs using a three point bending.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ultrasonic C-scan images (25 MHz) and X-ray images of the bones with the micro-fractures, It was found that the micro-fractures invisible on the X-ray images were observed on the ultrasonic images. It is proposed further in-vitro and in-vivo studies making the ultrasonic C-scan technique clinically useful for the diagnosis of the fatigued induced micro-fractures of the bone which are not possible to detect by the conventional radiological method.

      • 다량의 하부위장관출혈이 병발된 Vibrio vulnificus 패혈증 1예

        최주연,유진홍,한석원,이대훈,최민호,박순민,김연식,김선우,신완식,강문원,강성구 대한화학요법학회 1996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4 No.2

        최근 저자들은 Vibrio vulnificus 감염에 의해 패혈증 및 이차성 피부 병변을 보인 42세의 남자 환자의 치료중 하부 위장관 출혈이 병발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We experienced a case of Vibrop vulnificus septicemia which showed an unusual manifestation such as hematochezia. The patient was a 42-year-old man with chronic liver disease. The blood and wound culture revealed the organism. During intensive care, he suffered from massive hematochezi for several days. Colonoscopy and abdominal CT showed findings suspicious of ischemic coliti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unusual case of V.vulnificus infection which showed massive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 KCI등재후보

        다기관 기능부전을 초래한 치명적인 삼일열 말라리아 증례

        박상원,김동우,박주원,이순일,신영학,김의종,오명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2

        삼일열 말라리아는 국내에서 재유행하고 있는 감염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양성의 임상경과를 거친다. 저자들은 특이한 질병력이 없이 건강하였던 젊은 성인이 국내에서 삼일열 말라리아에 걸린 후 다기관기능부전과 폐출혈으로 사망한 증례를 경험하였다. 환자의 중증 임상경과를 설명할 만한 특이한 인자가 발견되지 않았다. Vivax malaria is a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 in Korea with cumulating 19,416 cases as of December 2003 since 1993. Vivax malaria is generally a benign disease with few severe complications. Even in the worldwide literature, there are only small number of case reports on severe complications. We experienced a fatal vivax malaria in a previously healthy young adult with severe multi-organ failure and fatal massive pulmonary hemorrhage. The patient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nd shock. There were splenic hemorrhage,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oliguric acute renal failure requiring dialysis, and pulmonary hemorrhage leading the patient finally to death. The initial parasitemia was 2,046/μL. Thin smear and PCR revealed only Plasmodium Vivax. There was no explainable cause of death except for the only serological suggestion of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without correlating clinical evidence. This is a first case of fatal vivax malaria in Korea since its re-emergence in 1993. Further case monitoring is needed to define whether this is a index case or an isolated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